공간을 창출하고 의미를 부여하는 것은 인간이지만, 이 공간은 다시금 인간 삶의 형태를 통합적으로 재형성한다. 더 나아가 인간과 공간의 상호작용은 문화화로 나타난다. 공간을 어떻게 조...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99540822
김휘정 (숭실대학교)
2012
Korean
교회 공간 ; 문화화 ; 영적 성장 ; 양적 성장 ; 장소성의 재발견 ; 장소감 ; church space ; enculturation ; spiritual growth ; quantitative growth ; re-discovery of the placeness ; sense of place
KCI등재
학술저널
201-233(33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공간을 창출하고 의미를 부여하는 것은 인간이지만, 이 공간은 다시금 인간 삶의 형태를 통합적으로 재형성한다. 더 나아가 인간과 공간의 상호작용은 문화화로 나타난다. 공간을 어떻게 조...
공간을 창출하고 의미를 부여하는 것은 인간이지만, 이 공간은 다시금 인간 삶의 형태를 통합적으로 재형성한다. 더 나아가 인간과 공간의 상호작용은 문화화로 나타난다. 공간을 어떻게 조성하느냐에 따라 상이한 장소성이 생산되며, 인간은 이로부터 서로 다른 장소감과 정체성을 부여받는다. 수많은 공간 중에서도 교회 공간은 다소 독특하다. 그 이유는 교회 공간이 수직적으로는 신과의 만남이, 수평적으로는 인간과의 사귐이 일어나는 성스러우면서도 일상적인 터전이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교회 공간의 문화화가 영적ㆍ양적 성장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이를 입증하기 위해 이론적 틀로 물리적 요인과 심리적 요인으로 나눠 설문을 진행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두 요인을 통해 개인적으로는 영적 성장을 경험하게 되고 공동체적으로는 양적 성장이 일어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교회 공간의 문화화 접근 모색으로 다양한 경험, 원활한 소통, 참된 쉼을 제공할 수 있는 진성한 장소성의 재발견과 교회 공간이 지향해야할 공간으로 하나님, 이웃, 젊은이 그리고 사회적 약자와 함께하는 교회 공간을 제시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t is human being who creates space and defines its meaning but also this space makes human beingslife style integrately. Moreover the interaction between human being and space causes enculturation. The different sense of place can be made according t...
It is human being who creates space and defines its meaning but also this space makes human beingslife style integrately. Moreover the interaction between human being and space causes enculturation. The different sense of place can be made according to how to compose the space and human beings are given the identification and different sense of place by this. Among various spaces, the church space is somewhat special. Because the church space is holy and ordinary place where people meet with God vertically and make relationships with another horizontally. This study asserts that the church space enculturation affects spiritual and quantitative growth. To prove this, a questionnaire was made and analyzed divided into physical and psychological causes. As a result of this analysis, it was confirmed to experience spiritual growth as an individual and quantitative growth as a community. With the approach of enculturation of church space, this paper presents re-discovery of the placeness that can offer various experiences, active communication, genuine rest. And also it shows church space where God, neighbors, the youth and the social weak should stay together.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회권, "하나님 나라 신학의 관점에서 읽는 모세오경 1" 대한기독교서회 2005
2 Wenham, Gordon J, "창세기 1-15" 솔로몬 2001
3 Heidegger, Martin, "존재와 시간" 동서문화사 2008
4 박은규, "예배의 재발견" 대한기독교출판사 1996
5 김소영, "예배와 생활" 대한기독교출판사 1974
6 민장배, "어린이예배의 문제점과 대처방안" 한국복음주의실천신학회 25 : 160-185, 2012
7 은준관, "신학적 교회론" 한들 2006
8 MacArthu, John, "솔라 에클레시아: 프로텐스탄드 교회관" 생명의 말씀사 2001
9 니시다 기타로, "선의 연구/퇴계 경철학" 동서문화사 2009
10 Sailhamer, John H, "서술로서의 모세오경(상)" 크리스챤서적 2007
1 김회권, "하나님 나라 신학의 관점에서 읽는 모세오경 1" 대한기독교서회 2005
2 Wenham, Gordon J, "창세기 1-15" 솔로몬 2001
3 Heidegger, Martin, "존재와 시간" 동서문화사 2008
4 박은규, "예배의 재발견" 대한기독교출판사 1996
5 김소영, "예배와 생활" 대한기독교출판사 1974
6 민장배, "어린이예배의 문제점과 대처방안" 한국복음주의실천신학회 25 : 160-185, 2012
7 은준관, "신학적 교회론" 한들 2006
8 MacArthu, John, "솔라 에클레시아: 프로텐스탄드 교회관" 생명의 말씀사 2001
9 니시다 기타로, "선의 연구/퇴계 경철학" 동서문화사 2009
10 Sailhamer, John H, "서술로서의 모세오경(상)" 크리스챤서적 2007
11 Babbie, Earl R., "사회조사방법론" 그린 2002
12 Benedict, Ruth, "문화의 패턴" 까치 1993
13 김휘정, "다문화가정 청소년을 위한 목회적 접근 모색" 한국복음주의실천신학회 22 : 216-239, 2010
14 한익희, "눈으로 보는 그리스도-성막" 쿰란 2002
15 Kuper, R. B, "누가 그리스도의 영광을 탈취했는가?" 성광문화사 1985
16 김휘정, "기독교와 문화의 만남" 숭실대학교 한국기독교문화연구소 99-125, 2008
17 한영제, "기독교사전" 기독교문사 1991
18 기독교백과사전 편찬위원회, "기독교 백과대사전" 기독교문사 1984
19 Webber, Robert E, "기독교 문화관" 엠마오 1987
20 Niebuhr. Richard H, "그리스도와 문화" 대한기독교서회 1989
21 김휘정, "교회 공간의 문화화 연구"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1
22 정시춘, "교회 건축의 이해" 발언 2000
23 한상연, "時間과 空間" 대원 1988
24 Relph, Edward, "Place and Placelessness" Pion 1976
실천신학의 과제와 전망 - 한국복음주의 실천신학회를 중심으로
교파별 예배 모델 모색 : 성결교회의 비예전적 예배 유형을 중심으로
"헨리 나우웬 영성이 현대 기독교 영성에 미친 영향 : 한 복음주의자의 견해"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6-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 |
201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8-12-30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복음주의 실천신학 논총 -> 복음과 실천신학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19 | 1.19 | 1.0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 | 0.88 | 0.878 | 0.3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