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비교문화적 관점에서 한국, 중국, 일본 및 북한의 무형문화유산의 보호 활동의 현황을 검토한 후 특이사항을 분석하였다. 오늘날 국제 사회에서 현재와 같은 방식의 무형문화유산...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비교문화적 관점에서 한국, 중국, 일본 및 북한의 무형문화유산의 보호 활동의 현황을 검토한 후 특이사항을 분석하였다. 오늘날 국제 사회에서 현재와 같은 방식의 무형문화유산...
본 논문은 비교문화적 관점에서 한국, 중국, 일본 및 북한의 무형문화유산의 보호 활동의 현황을 검토한 후 특이사항을 분석하였다. 오늘날 국제 사회에서 현재와 같은 방식의 무형문화유산 보호활동은 2003년 유네스코의 무형문화유산 협약으로 시작되었으나, 각 나라의 특수한 사정으로 인해서 협약체제의 실천양상은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다. 본고에서는 비교검토가 유용한 동아시아의 4개국에 국한해서 현황을 알아보았다. 특히 네 나라의 무형문화유산 보호활동을 분석하면서 이들의 역학관계를 살펴보았다. 즉 한국, 일본, 중국 그리고 북한의 보호활동이 서로 연관 관계를 맺고, 영향력을 주고받으면서 진행되고 있다는 점을 부각한 것이다. 이러한 분석은 동아시아 4개국의 무형문화유산 협약체제를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참고문헌 (Reference)
1 세키네히데유키, "일본의 무형민속문화재의 속성과 문제점" 한국일본근대학회 (44) : 321-338, 2014
2 김현정,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보호협약의 성립과 일본의 무형문화재 보호정책" 일본학연구소 (21) : 155-179, 2012
3 신현욱, "북한의 무형문화유산 법제 도입 현황과 무형문화유산 분야 남북 교류 협력 방안" 한국민요학회 41 (41): 127-151, 2014
4 국가법령정보센터, "문화재보호법 [법률 제 13964호]"
5 국가법령정보센터, "무형문화재 보전 및 진흥에 관한 법률(약칭:무형문화재법) [법률 제13248호, 2015. 3.27. 공포)"
1 세키네히데유키, "일본의 무형민속문화재의 속성과 문제점" 한국일본근대학회 (44) : 321-338, 2014
2 김현정,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보호협약의 성립과 일본의 무형문화재 보호정책" 일본학연구소 (21) : 155-179, 2012
3 신현욱, "북한의 무형문화유산 법제 도입 현황과 무형문화유산 분야 남북 교류 협력 방안" 한국민요학회 41 (41): 127-151, 2014
4 국가법령정보센터, "문화재보호법 [법률 제 13964호]"
5 국가법령정보센터, "무형문화재 보전 및 진흥에 관한 법률(약칭:무형문화재법) [법률 제13248호, 2015. 3.27. 공포)"
제주해녀문화의 보전 및 전승 활성화를 위한 정책 현황 및 발전 방안 연구
무형문화자원으로서 근현대 산업유산의 가치와 의미 -인천 지역을 중심으로-
동아시아에서의 역사 인식과 화해(The Historical Recognition and Reconciliation in East Asia)
K-MOOC 경남대학교 이상만,조진구동아시아에서의 역사 인식과 화해(The Historical Recognition and Reconciliation in East Asia)
K-MOOC 경남대학교 이상만,조진구동아시아에서의 역사 인식과 화해(The Historical Recognition and Reconciliation in East Asia)
K-MOOC 경남대학교 이상만,조진구동아시아에서의 역사 인식과 화해(The Historical Recognition and Reconciliation in East Asia)
K-MOOC 경남대학교 이상만,조진구4차산업과 동아시아의 이해
신한대학교 신경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