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시․청각장애인의 정보화 교육 만족도 및 인식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The satisfaction and awareness of computer education for persons with visual and hearing impairmen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37969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21세기는 정보화 사회이며, 정보화의 흐름 속에서 다양한 사람들의 정보를 얻고자 하는 욕구는 매우 다양하다. 장애인 역시 비장애인과 같은 맥락에서 본다면 신체적인 차이 외에는 정보를 ...

      21세기는 정보화 사회이며, 정보화의 흐름 속에서 다양한 사람들의 정보를 얻고자 하는 욕구는 매우 다양하다. 장애인 역시 비장애인과 같은 맥락에서 본다면 신체적인 차이 외에는 정보를 얻고자 하는 욕구 뿐만 아니라 다른 서비스를 제공받고자 하는 욕구도 같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장애인은 지역사회의 한 일원으로서 자신의 능력을 최대한으로 발휘하고자 하는 욕구도 있으며, 현재의 자신보다는 앞으로의 자신을 위해 노력하는 것 또한 비장애인과 다를 바 없다. 중증 장애인들은 지역사회적응기술을 통해 얻어진 경험과 지식을 바탕으로 사회적 기관이나 시설을 이용하여 자신이 원하는 서비스를 제공받고 욕구를 충족하려고 한다. 정보화 교육 서비스 역시 장애인들이 원하는 사회 서비스 욕구 중의 하나이다. 이러한 욕구 해결을 위해 장애인들은 지역사회적응기술을 이용하여 서비스 제공 기관까지 찾아가게 된다. 본 연구는 이러한 내용을 바탕으로 시․청각장애인들의 정보화 교육에 대한 만족도와 인식에 대해 알아보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Entering 21 century. People tend to have urgent needs of computer utilization skills. This trend resulted in the pursuit of information technology and the improvement of personal computer utilization skills among people in general, as well as persons ...

      Entering 21 century. People tend to have urgent needs of computer utilization skills. This trend resulted in the pursuit of information technology and the improvement of personal computer utilization skills among people in general, as well as persons with visual and hearing impairments. This computer education is very important program for persons with visual and hearing impairment in commun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ctual conditions of information education for people with visual impairments and hearing difficulties. The survey sample included 154 people with visual impairments and 101 people with visual impairments and hearing difficult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age unit was hold plentifully most of 20-30, the ratio of the capital region was upper 30%. Persons with visual impairments were higher education than hearing difficulties in case plentifully from educational background. Second, the evalu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al contents and program substitutionally educational contents it is easy but education at quality of information educational contents is not easy is a possibility of knowing, the place where the visually impaired understand an educational contents a possibility of knowing it is not easy there is. Third, compared to it will give the craving which it bears to the students of education whom information educational institution it goes round satisfactorily and as well good image and the agency and facility it was had. Fourth, the objective which information education of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is principal the objective of information anger education the computer, the internet and the back the place where it is active from this daily life becomes big help is a possibility of knowing the thing. Fifth, Information education is until still it does not do a hazard actual alternative presentation without doing a job life or an employment. Sixth, the kind change which receives information anger education gives not only providing information anger educational service psychological partial life of the disabled people is joyful.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 서 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방법 IV. 연구결과 V. 결론 및 제언
      • I. 서 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방법 IV. 연구결과 V. 결론 및 제언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