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Flexible Identity의 현대적 패러다임에 관한 연구 -형태심리학 및 시뮬라끄르 이론을 중심으로- = A Study on New Paradigm of Flexible Identity -Centering on Gestalt Psychology and Simulacre Theor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86101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기업 아이덴티티는 디지털 기술의 변화에 따라 전통적이고 단일한 아이덴티티에서 벗어나 유기적이고 가변적인 아이덴티티의 디자인 개념이 대두하게 되었다. 다시 말해 일방적으로 받아들이는 아이덴티티가 아니라 지속적으로 변화하기도 하며 그것을 받아들이는 소비자(사용자)에게 참여의 여지를 남겨주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Flexible Identity 구성의 기본적 특성은 게슈탈트 심리학에서 사용되고 있는 폐쇄성의 법칙, 근접성의 법칙, 유사성의 법칙, 연속성의 법칙등에 기반하고 있으면서도, 이미지의 변화과정에서는 가변화 되는 시스템에서 보드리야르의 시뮬라시옹 같은 철학적 이론에서도 영향을 받고 있다.

      Flexible Identity의 전체적인 구조 변화는 메인 아이덴티티 또는 개체에 의해 생성되어도 아이덴티티의 정체성 즉 원본과 한 그룹으로 보여야 하는 게슈탈트의 형태심리학 법칙으로 설명 가능하다. 또한 인간이 인공의 현실을 만들어 낼지라도 실재보다 더 실재적인 재현과 재현, 반복과 반복에 의한 시뮬라끄르 이론적 특성으로도 설명이 가능하다. Flexible Identity는 어떠한 상황에서도 유연하게 적응할 수 있기 때문에 전형적인 기존 아이덴티티 시스템의 문제점을 보완해주는 전략적인 디자인의 한 방법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번역하기

      최근 기업 아이덴티티는 디지털 기술의 변화에 따라 전통적이고 단일한 아이덴티티에서 벗어나 유기적이고 가변적인 아이덴티티의 디자인 개념이 대두하게 되었다. 다시 말해 일방적으로 ...

      최근 기업 아이덴티티는 디지털 기술의 변화에 따라 전통적이고 단일한 아이덴티티에서 벗어나 유기적이고 가변적인 아이덴티티의 디자인 개념이 대두하게 되었다. 다시 말해 일방적으로 받아들이는 아이덴티티가 아니라 지속적으로 변화하기도 하며 그것을 받아들이는 소비자(사용자)에게 참여의 여지를 남겨주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Flexible Identity 구성의 기본적 특성은 게슈탈트 심리학에서 사용되고 있는 폐쇄성의 법칙, 근접성의 법칙, 유사성의 법칙, 연속성의 법칙등에 기반하고 있으면서도, 이미지의 변화과정에서는 가변화 되는 시스템에서 보드리야르의 시뮬라시옹 같은 철학적 이론에서도 영향을 받고 있다.

      Flexible Identity의 전체적인 구조 변화는 메인 아이덴티티 또는 개체에 의해 생성되어도 아이덴티티의 정체성 즉 원본과 한 그룹으로 보여야 하는 게슈탈트의 형태심리학 법칙으로 설명 가능하다. 또한 인간이 인공의 현실을 만들어 낼지라도 실재보다 더 실재적인 재현과 재현, 반복과 반복에 의한 시뮬라끄르 이론적 특성으로도 설명이 가능하다. Flexible Identity는 어떠한 상황에서도 유연하게 적응할 수 있기 때문에 전형적인 기존 아이덴티티 시스템의 문제점을 보완해주는 전략적인 디자인의 한 방법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기현, "제 4장 장 보드리야르-시뮬라끄르 세계와 초미학, 문화컨텐츠를 위한 미디어 미학" 도서출판 만남 73-,

      2 오근재, "오근재의 그래픽 디자인 특강" 미진사

      3 장호현, "영상컨텐츠의 은유적 복합성에 의한 아우라 효과에 관한 연구:시뮬라시옹의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2005

      4 루돌프 아른하임, "미술과 시지각" 미진사 2000

      5 미셸 푸코, "말과 사물" 민음사

      6 박정자, "마그리트와 시뮬라크르" 에크리 2011

      7 프랭크 R.치섬, "디자인의 개념과 응용"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1997

      8 박영원, "디자인 기호학" 청주대학교 출판부 2001

      9 조열, "기초디자인을 위한 형태지각과 구성원리" 창지사 277-, 1999

      10 필립B.맥스, "그래픽디자인의 역사" 월간디자인

      1 박기현, "제 4장 장 보드리야르-시뮬라끄르 세계와 초미학, 문화컨텐츠를 위한 미디어 미학" 도서출판 만남 73-,

      2 오근재, "오근재의 그래픽 디자인 특강" 미진사

      3 장호현, "영상컨텐츠의 은유적 복합성에 의한 아우라 효과에 관한 연구:시뮬라시옹의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2005

      4 루돌프 아른하임, "미술과 시지각" 미진사 2000

      5 미셸 푸코, "말과 사물" 민음사

      6 박정자, "마그리트와 시뮬라크르" 에크리 2011

      7 프랭크 R.치섬, "디자인의 개념과 응용"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1997

      8 박영원, "디자인 기호학" 청주대학교 출판부 2001

      9 조열, "기초디자인을 위한 형태지각과 구성원리" 창지사 277-, 1999

      10 필립B.맥스, "그래픽디자인의 역사" 월간디자인

      11 데이비드 A, 바이스, "구글, 성공신화의 비밀"

      12 김경희, "게슈탈트 심리학" 학지사 2000

      13 "http://www.melbourne.vic.gov.au"

      14 "http://mcop.ytn.co.kr/kor"

      15 김민, "UIT 디자이너를 위한 아이덴티티 디자인 방법론" 국민대학교 출판부 143-, 2005

      16 Koffka,K, "Principle of Gestalt Psychology" P & K Paul 171-174, 1995

      17 이점모, "Gestalt 개념의 형성사" 4 (4): 97-, 1983

      18 손일권, "Brand Identity" 경영정신 200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17 평가예정 신규평가 신청대상 (신규평가)
      2016-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2-08-30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디자인지식저널 [디자인지식저널] -> 디자인지식저널
      외국어명 : Korea Design Knowledge Journal -> Journal of Korea Design Knowledge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11-08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디자인지식산업포럼 -> 한국디자인지식학회
      영문명 : Korea Design Knowledge & Industrial Forum -> Korea Design Knowledge Society
      KCI등재후보
      2010-11-08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디자인지식포럼 학술지 [디자인지식논총] -> 한국디자인지식저널 [디자인지식저널]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9-09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디자인지식포럼 -> 한국디자인지식산업포럼
      영문명 : Korea Design Knowledge Forum -> Korea Design Knowledge & Industrial Forum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 KCI등재후보
      2008-04-18 학회명변경 한글명 : 아시아퍼시픽디자인학회 -> 한국디자인지식포럼
      영문명 : Asia Pacific Society of Design -> Korea Design Knowledge Forum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