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단행본] 약산과 의열단: 조선독립순국열사전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목차
      약산과 의열단
      제1. 어린시절 = 13
      제2. 해외로 나가서 = 22
      제3. 의열단 탄생 = 33
      제4. 제1차 암살파괴 계획 = 38
      제5. 부산경찰서 폭탄사건 = 48
      제6. 밀양경찰서 폭탄사건 = 55
      제7. 조선총독부 폭탄사건 = 59
      제8. 상해 황포탄 사건 = 77
      제9. 제2차 대암살 파괴계획 = 93
      제10. 동경2중교 폭탄사건 = 136
      제11. 제3차 폭동계획 = 161
      제12. 북경 밀정 암살사건(1) = 165
      제13. 북경 밀정 암살사건(2) = 176
      제14. 경북 의열단사건 = 179
      제15. 식은·동척 습격사건 = 184
      제16. 잊히지 않는 동지들 = 197
      후기 = 204
      조선독립순국열사전
      제1장 민충정공 = 209
      제2장 이준 = 218
      제3장 안중근 = 227
      제4장 이재명 = 235
      조선최근세사초(朝鮮最近世史抄) = 243
      부록 약산 김원봉(若山 金元鳳) 연보(年譜) = 269

      (출처: http://www.riss.kr/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d7345961987b50bf&control_no=64998b4effd1ab0d#redirect)
      번역하기

      목차 약산과 의열단 제1. 어린시절 = 13 제2. 해외로 나가서 = 22 제3. 의열단 탄생 = 33 제4. 제1차 암살파괴 계획 = 38 제5. 부산경찰서 폭탄사건 = 48 제6. 밀양경찰서 폭탄사건...

      목차
      약산과 의열단
      제1. 어린시절 = 13
      제2. 해외로 나가서 = 22
      제3. 의열단 탄생 = 33
      제4. 제1차 암살파괴 계획 = 38
      제5. 부산경찰서 폭탄사건 = 48
      제6. 밀양경찰서 폭탄사건 = 55
      제7. 조선총독부 폭탄사건 = 59
      제8. 상해 황포탄 사건 = 77
      제9. 제2차 대암살 파괴계획 = 93
      제10. 동경2중교 폭탄사건 = 136
      제11. 제3차 폭동계획 = 161
      제12. 북경 밀정 암살사건(1) = 165
      제13. 북경 밀정 암살사건(2) = 176
      제14. 경북 의열단사건 = 179
      제15. 식은·동척 습격사건 = 184
      제16. 잊히지 않는 동지들 = 197
      후기 = 204
      조선독립순국열사전
      제1장 민충정공 = 209
      제2장 이준 = 218
      제3장 안중근 = 227
      제4장 이재명 = 235
      조선최근세사초(朝鮮最近世史抄) = 243
      부록 약산 김원봉(若山 金元鳳) 연보(年譜) = 269

      (출처: http://www.riss.kr/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d7345961987b50bf&control_no=64998b4effd1ab0d#redirec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영웅의 표상을 통해 나타난 박태원의 건국 이야기를 살피기 위한 자료인 「약산과 의열단」과「조선독립순국열사전」을 수록한 단행본입니다.

      영웅의 표상을 통해 나타난 박태원의 건국 이야기를 살피기 위한 자료인 「약산과 의열단」과「조선독립순국열사전」을 수록한 단행본입니다.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