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청소년의 독서활동, 진로성숙도, 자기주도학습 능력의 종단적 종단적 관계와 진로성숙도의 종단적 매개효과를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경기교육종단연구 초4 패널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6928070
2020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389-412(24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청소년의 독서활동, 진로성숙도, 자기주도학습 능력의 종단적 종단적 관계와 진로성숙도의 종단적 매개효과를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경기교육종단연구 초4 패널 ...
본 연구는 청소년의 독서활동, 진로성숙도, 자기주도학습 능력의 종단적 종단적 관계와 진로성숙도의 종단적 매개효과를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경기교육종단연구 초4 패널 데이터 4차년도(중1)부터 6차년도(중3)까지 3년 동안의 데이터에 다변량 잠재성장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독서활동과 진로성숙도는 시간이 지날수록 감소 추세를 보였으나, 자기주도학습 능력은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 성장하였다. 다변량 잠재성장모형의 경로계수를 살펴본 결과, 중1 시기의 독서활동과 진로성숙도가 중1 시기의 자기주도학습 수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중1∼중3시기의 독서활동과 진로성숙도의 변화율은 자기주도학습 수준의 변화율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한편, 청소년의 독서활동이 진로성숙도를 매개로 자기주도학습 능력에 미치는 종단적 영향을 검증한 결과, 중1 시기의 독서활동이 진로성숙도를 매개로 자기주도학습 능력 수준에 간접적으로 정적인 효과를 보였다. 또한 중1∼중3 기간 동안 독서활동의 변화율이 진로성숙도 변화율을 매개로 자기주도학습 능력의 변화율에 간접적으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의의와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참고문헌 (Reference)
1 김경식, "학습태도 결정에 영향을 주는 학생 내.외적 요인 분석: 인문계 고등학생을 중심으로" 사범대학부속중등교육연구소 57 (57): 181-207, 2009
2 교육부, "학생을 자기주도 학습자로 키우는 방법"
3 김예수, "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자아개념 및 진로의식성숙과의 관계" 2 (2): 87-103, 2009
4 이주리, "초등학생의 진로성숙도 발달궤적과 예측요인" 한국아동학회 30 (30): 43-55, 2009
5 김향숙, "초등학교 학생들의 다양한 읽기 활동을 통한 자기주도 학습 능력 배양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55-58, 2013
6 김병환, "초등학교 독서 교육과 자기 주도적 학습의 연계성 연구"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7 원정은, "청소년의 창의적 체험활동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동시 및 지연효과 연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30 (30): 5-37, 2019
8 임효진, "청소년의 진로경험 및 부모지지가 진로성숙도의 종단변화에 미치는 동시 및 지연효과" 한국상담학회 17 (17): 289-306, 2016
9 김경희, "청소년들의 신문 읽기가 사회적 태도와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텔레비전⋅인터넷 이용정도에 따른 영향과의 비교연구"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25) : 5-33, 2013
10 조미아, "창의력과 자기주도적학습능력에 미치는 독서교육의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 40 (40): 53-71, 2006
1 김경식, "학습태도 결정에 영향을 주는 학생 내.외적 요인 분석: 인문계 고등학생을 중심으로" 사범대학부속중등교육연구소 57 (57): 181-207, 2009
2 교육부, "학생을 자기주도 학습자로 키우는 방법"
3 김예수, "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자아개념 및 진로의식성숙과의 관계" 2 (2): 87-103, 2009
4 이주리, "초등학생의 진로성숙도 발달궤적과 예측요인" 한국아동학회 30 (30): 43-55, 2009
5 김향숙, "초등학교 학생들의 다양한 읽기 활동을 통한 자기주도 학습 능력 배양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55-58, 2013
6 김병환, "초등학교 독서 교육과 자기 주도적 학습의 연계성 연구"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7 원정은, "청소년의 창의적 체험활동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동시 및 지연효과 연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30 (30): 5-37, 2019
8 임효진, "청소년의 진로경험 및 부모지지가 진로성숙도의 종단변화에 미치는 동시 및 지연효과" 한국상담학회 17 (17): 289-306, 2016
9 김경희, "청소년들의 신문 읽기가 사회적 태도와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텔레비전⋅인터넷 이용정도에 따른 영향과의 비교연구"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25) : 5-33, 2013
10 조미아, "창의력과 자기주도적학습능력에 미치는 독서교육의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 40 (40): 53-71, 2006
11 김수연, "진로인식 중심 독서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아개념과 진로성숙에 미치는 효과" 사회과학연구소 26 (26): 249-265, 2015
12 박미란, "진로성숙에 미치는 개인적 변인과 학교교육의 효과 검증" 학생생활상담연구소 31 (31): 65-88, 2010
13 임효진, "진로성숙도의 변화와 관련된 교육포부와 독서활동의 동시지연효과" 한국초등교육학회 30 (30): 147-168, 2017
14 한정아, "진로독서프로그램이 여고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태도 성숙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육학회 45 (45): 101-125, 2007
15 류보라, "중학생의 독서와 진로 탐색의 관계" 한국독서학회 (33) : 353-385, 2014
16 황매향, "중고등학생들의 학업동기와 진로성숙도의 관계" 한국교육심리학회 18 (18): 177-191, 2004
17 최윤정, "중·고등학생의 진로발달 관련 변인 및 진로교육 경험과 자기주도 학습태도와의 관계: 다수준 분석의 적용" 교육연구소 13 (13): 81-106, 2012
18 김지영, "중·고등학생의 자기주도학습, 교사사기, 건강 및 진로의식 간의 관계 분석" 한국홀리스틱융합교육학회 19 (19): 33-60, 2015
19 허균, "잠재성장모형을 활용한 진로성숙도의 변화궤적과 성별, 자아존중감 및 부모애착 시간효과의 구조관계" 한국직업교육학회 31 (31): 193-209, 2012
20 정주영, "자기주도학습능력과 진로성숙도 간 자기회귀교차지연 효과검증: 서울지역 중・고등학생을 중심으로" 한국직업교육학회 35 (35): 89-107, 2016
21 하옥선, "수준별 독서 활동이 자기주도적 학습에 미치는 효과" 26 : 309-364, 2003
22 박산하, "분할함수 및 다항함수 비선형 잠재성장모형을 이용한 진로성숙도 성장선 모형화" 한국교육평가학회 33 (33): 1-21, 2020
23 최선영, "독서활동을 활용한 진로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여자 중학생의 진로정체감과 진로준비행동을 중심으로" (사)한국청소년문화연구소 (33) : 61-86, 2013
24 하혜란, "독서기반 진로 탐색 보고서 쓰기가 여고생의 진로 성숙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도서관·정보학회 46 (46): 621-640, 2015
25 김영식, "독서 활동이 고등학생의 인지적, 비인지적 발달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1121-1139, 2019
26 교육부, "교육과정 다양화로 고교 교육 혁신을 시작한다"
27 강흥수, "경기교육종단연구 5차년도 문항개발" 경기도 교육연구원 2016
28 Super, D. E, "The psychology of career" Parper & Row 1957
29 Browne, M. W, "Tes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Sage 136-162, 1993
30 Knowles, M. S, "Self-directed learning: A Guide for learners and teachers" Association Press 1975
31 Kline, R. B,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Guildford Press 2010
32 Muthén, L. K, "Mplus user’s guide" Muthén & Muthén 2019
33 Zimmerman, B. J, "Development of self-regulated learning; Which are the key subprocesses" 11 (11): 307-313, 1986
34 Hu, L, "Cutoff criteria for fit indexes in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Conventional criteria versus new alternatives" 6 (6): 1-55, 1999
35 Sharf, R. S, "Applying career development theory to counseling" Cengage Learning 2009
36 Crites, J. O, "A model for the measurement of vocational maturity" 8 (8): 255-259, 1961
토픽모델링을 적용한 한국산업응용수학회지의 연구 동향 및 산업수학 교육의 시사점
An Error Analysis of Current Middle School English Textbooks
고등학생의 진로성숙도와 행복에 미치는 영향변인 분석 및 학교유형에 따른 차이분석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자유학년제 과학과 물리 영역 주제선택 프로그램 분석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3-24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SECONDARY EDUCATION RESEARCH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4-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63 | 1.63 | 1.42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38 | 1.27 | 1.781 | 0.13 |
정역학 자기주도학습
안동대학교 양철호CPD Package: Early Reading, Module D1: Activity 2 V1
Teachers TV Teachers TVCPD Package: Early Reading, Module C2: Activity 4 V2
Teachers TV Teachers TVCPD Package: Early Reading, Module C2: Activity 4 V1
Teachers TV Teachers TVCPD Package: Early Reading, Module C2: Activity 3 V1
Teachers TV Teachers T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