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국내 외국인 유학생들의 한류인식과 한국 관광이미지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the cognition of korean wave(Hallyu) and an image of Korean tourism by foreign students in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29736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Most of the studies on Korean tourism and Korean Wave (Hallyu) have been done focusing on Chinese and Japanese tourists. On the contrary, this study, targeting foreign students in Korea, has five main topics: (1) the effects of Korean Wave on the cognition of Korea’s national image; (2) the effect of Korean Wave on the cognition of an image of Korean tourism; (3) the effect of Korean Wave on intension of purchasing Korean tourism products; (4) the correlation of Korea’s national image and an image of Korean tourism; (5) the effects of Korean tourism on the cognition of purchasing Korean tourism products. Through these, this study aims at widening the foreign source markets for the promotion of Korean tourism. The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foreign students living in Seoul. A total of 183 samples were analyzed using SPSS Win 19.0 program.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and as a result, the following results have been drawn up. First, Korean Wave showed a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friendly image, stable image, and advanced image.
      Second, Korean Wave showed a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agreeable image, convenient image about cognition of Korean tourism. Third, the speciality of culture, excellence of athletics and excellence of food in Korean Wave showed a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purchasing intention of Korea tourism products.
      Forth, Korea’s national image and an image of Korean tourism are correlated. Fifth, an image of Korean tourism showed a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purchasing intention of Korea tourism products.
      Implications from this study are that the development of Korea’s tourism products would be necessary for the promotion of Korean tourists through the Korean Wave.
      번역하기

      Most of the studies on Korean tourism and Korean Wave (Hallyu) have been done focusing on Chinese and Japanese tourists. On the contrary, this study, targeting foreign students in Korea, has five main topics: (1) the effects of Korean Wave on the cogn...

      Most of the studies on Korean tourism and Korean Wave (Hallyu) have been done focusing on Chinese and Japanese tourists. On the contrary, this study, targeting foreign students in Korea, has five main topics: (1) the effects of Korean Wave on the cognition of Korea’s national image; (2) the effect of Korean Wave on the cognition of an image of Korean tourism; (3) the effect of Korean Wave on intension of purchasing Korean tourism products; (4) the correlation of Korea’s national image and an image of Korean tourism; (5) the effects of Korean tourism on the cognition of purchasing Korean tourism products. Through these, this study aims at widening the foreign source markets for the promotion of Korean tourism. The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foreign students living in Seoul. A total of 183 samples were analyzed using SPSS Win 19.0 program.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and as a result, the following results have been drawn up. First, Korean Wave showed a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friendly image, stable image, and advanced image.
      Second, Korean Wave showed a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agreeable image, convenient image about cognition of Korean tourism. Third, the speciality of culture, excellence of athletics and excellence of food in Korean Wave showed a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purchasing intention of Korea tourism products.
      Forth, Korea’s national image and an image of Korean tourism are correlated. Fifth, an image of Korean tourism showed a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purchasing intention of Korea tourism products.
      Implications from this study are that the development of Korea’s tourism products would be necessary for the promotion of Korean tourists through the Korean Wav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한류와 한국관광에 관련된 연구는 주로 그 대상을 중국인과 일본인 관광객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연구는 연구의 대상을 국내 외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첫째, 한류가 한국 국가이미지에 미치는영향, 둘째, 한류가 한국관광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셋째, 한류가 한국 관광 상품의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넷째, 한국 국가 이미지와 한국 관광 이미지의 상관관계, 다섯째, 한국 관광 이미지가 한국관광 상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하였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한국관광의 활성화 방안의 일환으로 관광객 대상의 확대를 찾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설문지 조사방법을 실시하였고, 요인분석(factor analysis), 상관관계분석(correlation analysis)과 회귀분석(regression)을 중심으로 검증하였다. 그 결과 첫째, 한류가 우호적 이미지(Friendly Image), 안정적 이미지(Stable Image), 선진적 이미지(Advanced Image) 중 일부가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한류가 한국 관광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유쾌한 이미지(agreeable Image)와 편리한 이미지(convenient Image)의 일부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한류 중 문화의 전문성(speciality of culture), 체육의 우수성(excellence of athletics), 음식의 우수성(excellence of food)이 한국 관광 상품 구매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한국 국가 이미지와 한국 관광 이미지는 상관관계가 있다. 다섯째, 한국 관광 이미지는 한국 관광 상품 구매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한류를 통한 한국관광의 활성화를 위해 추후 외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한국 관광 상품의 개발이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번역하기

      한류와 한국관광에 관련된 연구는 주로 그 대상을 중국인과 일본인 관광객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연구는 연구의 대상을 국내 외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첫째, 한류가 한국 국가이미지...

      한류와 한국관광에 관련된 연구는 주로 그 대상을 중국인과 일본인 관광객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연구는 연구의 대상을 국내 외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첫째, 한류가 한국 국가이미지에 미치는영향, 둘째, 한류가 한국관광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셋째, 한류가 한국 관광 상품의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넷째, 한국 국가 이미지와 한국 관광 이미지의 상관관계, 다섯째, 한국 관광 이미지가 한국관광 상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하였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한국관광의 활성화 방안의 일환으로 관광객 대상의 확대를 찾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설문지 조사방법을 실시하였고, 요인분석(factor analysis), 상관관계분석(correlation analysis)과 회귀분석(regression)을 중심으로 검증하였다. 그 결과 첫째, 한류가 우호적 이미지(Friendly Image), 안정적 이미지(Stable Image), 선진적 이미지(Advanced Image) 중 일부가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한류가 한국 관광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유쾌한 이미지(agreeable Image)와 편리한 이미지(convenient Image)의 일부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한류 중 문화의 전문성(speciality of culture), 체육의 우수성(excellence of athletics), 음식의 우수성(excellence of food)이 한국 관광 상품 구매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한국 국가 이미지와 한국 관광 이미지는 상관관계가 있다. 다섯째, 한국 관광 이미지는 한국 관광 상품 구매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한류를 통한 한국관광의 활성화를 위해 추후 외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한국 관광 상품의 개발이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동준, "호텔브랜드이미지가 고객만족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8 (8): 377-386, 2014

      2 사문, "해외 수용자의 문화적 근접성 인식이 케이팝 이미지와 한국 국가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아시아권 수용자와 서구권 수용자 비교" 한국언론학회 59 (59): 267-300, 2015

      3 이희열, "한식에 대한 인지가 한국음식 평가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및 한류의 매개효과에 관한 연구 - 중국인 단체 여행객을 중심으로 -" 한국외식경영학회 14 (14): 269-286, 2011

      4 이재은, "한류콘텐츠 노출도가 일본인의 한국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자민족중심주의, 한류콘텐츠 만족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관광연구학회 31 (31): 51-65, 2017

      5 장규수, "한류의 어원과 사용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11 (11): 166-173, 2011

      6 여정경, "한류의 문화콘텐츠 브랜드 개성이 한국관광재방문에 미치는 영향: 중국 관광객을 중심으로" (사)한국관광레저학회 26 (26): 23-44, 2014

      7 제상원, "한류와 관광산업" 45 : 88-92, 2011

      8 이현주, "한류문화콘텐츠가 관광지이미지와 방한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중국인 방한관광 잠재수요자를 중심으로-" 중국연구소 54 : 123-148, 2012

      9 문화체육관광부, "한류문화 진흥 방안 연구" 1-199, 2012

      10 이종주, "한류관여도와 국가 및 관광지 이미지 그리고 방문의도와의 영향관계" 한국콘텐츠학회 16 (16): 454-466, 2016

      1 김동준, "호텔브랜드이미지가 고객만족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8 (8): 377-386, 2014

      2 사문, "해외 수용자의 문화적 근접성 인식이 케이팝 이미지와 한국 국가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아시아권 수용자와 서구권 수용자 비교" 한국언론학회 59 (59): 267-300, 2015

      3 이희열, "한식에 대한 인지가 한국음식 평가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및 한류의 매개효과에 관한 연구 - 중국인 단체 여행객을 중심으로 -" 한국외식경영학회 14 (14): 269-286, 2011

      4 이재은, "한류콘텐츠 노출도가 일본인의 한국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자민족중심주의, 한류콘텐츠 만족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관광연구학회 31 (31): 51-65, 2017

      5 장규수, "한류의 어원과 사용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11 (11): 166-173, 2011

      6 여정경, "한류의 문화콘텐츠 브랜드 개성이 한국관광재방문에 미치는 영향: 중국 관광객을 중심으로" (사)한국관광레저학회 26 (26): 23-44, 2014

      7 제상원, "한류와 관광산업" 45 : 88-92, 2011

      8 이현주, "한류문화콘텐츠가 관광지이미지와 방한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중국인 방한관광 잠재수요자를 중심으로-" 중국연구소 54 : 123-148, 2012

      9 문화체육관광부, "한류문화 진흥 방안 연구" 1-199, 2012

      10 이종주, "한류관여도와 국가 및 관광지 이미지 그리고 방문의도와의 영향관계" 한국콘텐츠학회 16 (16): 454-466, 2016

      11 이익수, "한류관광객의 관광동기 및 체험성이 관광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11 (11): 387-395, 2011

      12 노선희, "한류관광객 행태분석 연구: 2014년과 2015년 비교 연구" 한국호텔외식관광경영학회 25 (25): 35-50, 2016

      13 노선희, "한류관광객 행태분석 연구 - 2010년과 2011년 비교 연구 -" 한국호텔리조트학회 12 (12): 79-97, 2013

      14 김미경, "한류관광 관련 연구동향 내용분석: KCI등재 및 등재후보지를 중심으로(2003년-2012년)" 한국호텔외식관광경영학회 23 (23): 1-18, 2014

      15 김도희, "한류가 한식이미지, 한식선호도, 한식만족도 및 한국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외식경영학회 16 (16): 7-26, 2013

      16 장양례, "한류가 한국관광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중국인들을대상으로 한 인지적, 정서적 평가" 8 (8): 319-336, 2004

      17 채지영, "한류 확산을 위한 재외 한국문화원 활용 연구" 한국예술경영학회 (22) : 239-265, 2012

      18 문효진, "한류 인기 요인에 대한 지역별 차이와한류콘텐츠 호감도와의 관계 비교연구- 아시아, 미주, 유럽지역을 중심으로 -" 국제지역연구센터 17 (17): 19-48, 2013

      19 김성필, "한류 이미지가 한국교육상품의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중국대학생들의 몰입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한국콘텐츠학회 13 (13): 460-474, 2013

      20 박성현, "한류 소비자 관련 연구에 대한 메타분석, 2012~2013년까지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을 중심으로" (창간) : 49-71, 2014

      21 한국문화산업교류재단, "한류 메이커스, 대한민국 한류산업론" KOFICE 300-335, 2017

      22 민혜성, "한국의료관광에 있어서 미국 내 한인교포의 인식고찰: 관광이미지와 의료관광이미지, 구매의도에 대해" 한국호텔외식관광경영학회 25 (25): 237-256, 2016

      23 송윤아, "한국의 국가이미지와 제품이미지가 베트남 소비자의 전자제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류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통상정보학회 17 (17): 73-96, 2015

      24 오정근, "한국 체류 외국인 유학생의 국내 관광동기 및 관광지 선택속성과 관광만족, 행동의도의 관계: 서울 주요대학 유학생을 중심으로" (사)한국관광레저학회 28 (28): 25-42, 2016

      25 왕명명, "한국 영상매체 접촉과 관광지이미지, 방문의도 간의 관계 -중국인 잠재 방한 관광자를 중심으로-" 한국관광연구학회 25 (25): 129-142, 2011

      26 정수영, "한ㆍ일 주요 일간지의 한류 관련 뉴스 프레임과 국가 이미지: 기사 헤드라인에 대한 의미연결망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59 (59): 300-334, 2015

      27 손은하, "지각된 위험과 한류문화 관여도가 한국 의료관광서비스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중국 잠재소비자를 중심으로" 한국광고홍보학회 18 (18): 1-36, 2016

      28 임학순, "우리나라 한류연구의 경향분석" (창간) : 31-47, 2014

      29 임화순, "외국인 관광객의 관광지 이미지가 만족도와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성산일출봉 방문 중국인 관광객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17 (17): 298-307, 2017

      30 김이향, "방한 중국인의 한류태도, 관광목적지 이미지, 만족의 관계연구" 7 (7): 143-159, 2007

      31 오미숙, "미국 내 한류가 한국의 관광지 이미지, 관광활동 참여의사 및 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관광연구학회 29 (29): 63-78, 2015

      32 김진옥, "문화적 유사성이 K-pop 인식, 국가이미지, 및 방문의도에 미치는 구조적 관계 분석" 한국관광학회 38 (38): 223-247, 2014

      33 웬티트엉, "문화계발이론과 계획행동이론을 통한 한류 문화콘텐츠와 베트남인의 한국방문에 관한 연구" 대한관광경영학회 26 (26): 245-268, 2011

      34 한국문화산업교류재단, "글로벌 한류 이슈 매거진" 18 : 52-53, 2017

      35 서울특별시, "국제기숙사 건립 타당성 및최적 모델 연구" 2015

      36 문효진, "국내 외국인 유학생의 한류 인식과 한류콘텐츠 만족도 및 제품 선호도, 국가 호감도 관계 연구" 한국광고홍보학회 (100) : 142-171, 2014

      37 이상훈, "국가이미지가 관광지 이미지와 재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 국가이미지 개념 간 비교를 중심으로" (사)한국관광레저학회 29 (29): 5-24, 2017

      38 임정우, "국가이미지 및 관광지이미지의 인식차이 비교에 관한 연구 - 방한 외국인 관광객을 대상으로 -" 대한관광경영학회 27 (27): 461-478, 2012

      39 오미자, "관광목적지 방문 전․후 이미지 차이에 관한 연구 - 재미교포 관광객을 대상으로 -" 한국관광학회 35 (35): 263-282, 2011

      40 Lee, Bumjun, "The effects of likability of Korean celebrities, dreams, & music on preferences for Korean restaurants, A mediating effect of a country image of Korea" 46 : 200-212, 2015

      41 Lee, Suejin, "The Korean Wave, The Seoul of Asis" 2 (2): 85-93, 2011

      42 Whang, H., "Pop culture, destination images, & visit intention, Theory & research on travel motivation of Chinese & Russian tourists" 69 (69): 631-641, 2016

      43 Chang, Jungchun, "Korean wave as a factor on Taiwan’s entertainment, consumer begavior, & cultural identity, A case study about “My Love” from the Star“" 6 (6): 74-79, 2015

      44 Jung, Jimin, "A Historical Consideration into Two Perspectives on Culture Revealed in the New Korean Wave Discourse" 5 (5): 730-734, 2015

      45 한국문화산업교류재단, "2015 대한민국한류백서" 1-748, 201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8 학회명변경 영문명 : (KHTA) -> Korean Hospitality and Tourism Academe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5-11-27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Hospitality and Tourism Academe(KOHTA) -> (KHTA) KCI등재
      2015-05-19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호텔외식경영학회 -> 한국호텔외식관광경영학회
      영문명 : Korean Academic Society Of Hospitality Administration(Kasha) -> Korean Hospitality and Tourism Academe(KOHTA)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9-27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Korea Academic Society of Hotel Administration -> Korean Journal of Hospitality and Tourism(KJHT)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8-13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호텔경영학회 -> 한국호텔외식경영학회
      영문명 : Korean Academic Society Of Hospitality Administration(Kasha) -> Korean Academic Society Of Hospitality Administration(Kasha)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5-26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Korean Journal of Hotel Administration -> Korean Journal of Hospitality Administration
      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Hotel Administration -> Korean Journal of Hospitality Administration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62 2.62 2.6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68 2.64 3.073 0.5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