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살바도르 달리의 회화 작품과 영화 <안달루시아의 개>에 나타난 공통 이미지의 언캐니성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03107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영화 <안달루시아의 개>는 초현실주의 화가 살바도르 달리와 영화 감독 루이스 브뉴엘이 공동으로 제작한 작품이다. 이 작품은 오토마티즘을 이용하여 장면-씬(scene)들의 인과성이 배제...

      영화 <안달루시아의 개>는 초현실주의 화가 살바도르 달리와 영화 감독 루이스 브뉴엘이 공동으로 제작한 작품이다. 이 작품은 오토마티즘을 이용하여 장면-씬(scene)들의 인과성이 배제된 초현실주의 경향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영화이다. 영화 <안달루시아의 개>(1929)는 영화제작 이전의 살바도르 달리의 회화작품에서 발견되는 기표-이미지들이 재현된다는 점에서 영화와 회화의 상호 관련성에 대한 검토를 필요로 한다. <안달루시아의 개>는 형식과 내용적 측면에서 기존 영화와 차별화된 양상을 보여준다. 첫번째 형식적 측면에서는 파편화된 신체 이미지들이 인과성에 의한 선형적 서사 구조를 탈피하고 있다. 두 번째 내용적 측면에서는 모핑 기법을 통한 형질 변환(Metamorphosim) 이미지를 제시해 무의식적 욕망을 표출하고 있다. 형식과 내용에서 기존의 영화와 차별화된 양상을 보여주며 이는 달리의 회화의 영향에 기인한다고 여겨진다. 달리의 회화와 <안달루시아의 개>에서는 ‘낯설게 하기’인 언캐니성이 공통적인 미학적 요소로 배치되어있다. 이는 영화적 미장아빔과 언캐니성의 상호 관련성이라는 점에서 미학적 해명이 요구된다. <안달루시아의 개>는 영화 제작 이전의 달리 회화 작품들의 이미지가 가시적인 미장아빔으로 배치되어 <안달루시아의 개>의 언캐니성을 형성한다. 회화와 영화의 상호 텍스트성은 <안달루시아의 개>에서 달리의 회화 이미지가 영화적 미장아빔으로 배치되고 언캐니성을 재현함으로써 입증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n Andalusian dog> is a collaboration with surrealist painter Salvador Dali. This work is a representative movie that shows the surrealist tendency in which the causality of scenes-scenes is excluded by using automatism. <An Andalusian dog&g...

      <An Andalusian dog> is a collaboration with surrealist painter Salvador Dali. This work is a representative movie that shows the surrealist tendency in which the causality of scenes-scenes is excluded by using automatism. <An Andalusian dog> shows different aspect from existing film in terms of form and contents. In the first formal aspect, the images of fragmented body images escape the linear narrative structure by causality. In the second contextual aspect, we express the unconscious desire by presenting the transformation image(Metamorphosim) through the morphing technique. It shows different aspect from the existing film in form and contents, and it is considered to be caused by the influence of Dali"s painting. In Dali"s paintings and films, An Andalusian dog, uncanny, which is "unfamiliar", is arranged as a common aesthetic element. This requires aesthetic clarification in terms of the interrelation of cinematic mise en abyme with uncanny. <An Andalusian dog> forms the uncanny character of <An Andalusian dog> by arranging visual images of Dali"s paintings prior to film production as visibles.
      The intertextuality between painting and movie is proved by the image of Dali in <An Andalusian dog>, which is arranged as a cinematic mise en abyme and reproduces uncann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Ⅱ. 언캐니의 개념과 달리의 연관성
      • Ⅲ. 달리의 회화에 나타난 언캐니의 유형
      • Ⅳ. 달리의 언캐니성이 영화 <안달루시아의 개>에 구현된 경향
      • Ⅴ. 결론
      • Ⅰ. 서론
      • Ⅱ. 언캐니의 개념과 달리의 연관성
      • Ⅲ. 달리의 회화에 나타난 언캐니의 유형
      • Ⅳ. 달리의 언캐니성이 영화 <안달루시아의 개>에 구현된 경향
      • Ⅴ. 결론
      • 참고문헌
      • 국문초록
      • Abstrac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