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의 수련활동 참여태도가 도전정신과 협력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청소년기 수련활동의 교육적 가치를 조명하고 그 활성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788687
2025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193-205(13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의 수련활동 참여태도가 도전정신과 협력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청소년기 수련활동의 교육적 가치를 조명하고 그 활성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의 수련활동 참여태도가 도전정신과 협력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청소년기 수련활동의 교육적 가치를 조명하고 그 활성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부산광역시교육청학생인성교육원의 수련활동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중학생 4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 하였으며, 이 중 348부를 최종 분석에 활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상관분석, 다 중회귀분석 및 단순회귀분석을 통해 처리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수련활동 참여태도는 도전정신에 일부 긍정 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수련활동 참여태도는 협력적 문제해결력에도 일부 긍정적인 영향 을 미쳤다. 셋째, 도전정신은 협력적 문제해결력에 일부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 는 청소년기의 수련활동이 학생의 도전의식과 공동체적 역량 함양에 기여함을 시사하며, 중학교 인성교육의 실 천 방안으로 수련활동의 활용 가능성을 보여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middle school students’ participation attitudes in youth training activities on their spirit of challenge and collaborative problem-solving abilities. By doing so, the study aimed to highlight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middle school students’ participation attitudes in youth training activities on their spirit of challenge and collaborative problem-solving abilities. By doing so, the study aimed to highlight the educational value of youth training programs during adolescence and to provide foundational data for promoting such activities. A survey was conducted with 400 students who had previously participated in training programs at the Student Character Education Center under the Busan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and 348 valid respons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sim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indicated the following: First, students’ participation attitudes in training activities had a partially positive effect on their spirit of challenge. Second, participation attitudes also had a partially positive impact on collaborative problem-solving abilities. Third, the spirit of challenge was found to partially influence collaborative problem-solving abilitie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youth training programs contribute to fostering a sense of challenge and collective competence in adolescence, demonstrating their potential as an effective approach for implementing character education in middle schools.
12주간 골프 운동이 남자 중학생의 뇌 성장 인자 및 뇌 인지 관련 물질에 미치는 영향
2015·2022 개정 <독일어> 교육과정의 역량기반 관점 비교 분석
초등 및 중등 체육교사의 스포츠인성에 대한 인식 유형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