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study primarily aims to present policy directions through an analysis of welfare levels in eighteen regions of Gangwon Province. So, the study is going to focus on analyzing gaps in welfare level among the cities and counties of the Province...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0440112
2015
Korean
지역격차 ; 복지 ; 강원도 ; Regional Disparity ; Welfare ; Gangwon province
KCI등재
학술저널
165-180(16쪽)
1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primarily aims to present policy directions through an analysis of welfare levels in eighteen regions of Gangwon Province. So, the study is going to focus on analyzing gaps in welfare level among the cities and counties of the Province...
This study primarily aims to present policy directions through an analysis of welfare levels in eighteen regions of Gangwon Province.
So, the study is going to focus on analyzing gaps in welfare level among the cities and counties of the Province. To ensure an appropriate response to regional reality and residents’ demand for welfare in implementation of welfare policy and welfare services, we need to closely examine demand and supply in setting policy direction. Therefore, by performing a systematic analysis through setting specific indicators for welfare in regions of Gangwon Province, we want to provide them as basic data for directions of future welfare policy implementation.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맹다미, "지표로 본 서울시 도시공간특성에 관한연구-생활환경 격차 분석을 중심으로" 2009
2 이민영, "지역사회 복지욕구수준 모니터링을위한 지표개발 연구" 2006
3 안상후, "새로운 복지지표체계 발굴 및 정책과의 연계방안" 2010
4 초의수, "부산광역시 도시균형발전사업 수정계획 수립 연구" 2011
5 남상호, "보건복지 종합지수 연구 보고서" 2012
6 김영순, "경남도민 삶의 질 평가 지표 개발 방안" 2010
7 최석현, "경기도 지역 결핍지수 개발방안 연구" 2013
8 김승희, "강원도 지역간 복지수준분석과 정책방향" 강원발전연구원 2014
9 真継 陸, "地域経済論-地方の時代の可能性 実教" 出版株式会社 1986
10 Liu, B.C., "Quality of Life Indicators in U.S. Metropolitan Area; A Statistical Analysis" Praeger 1976
1 맹다미, "지표로 본 서울시 도시공간특성에 관한연구-생활환경 격차 분석을 중심으로" 2009
2 이민영, "지역사회 복지욕구수준 모니터링을위한 지표개발 연구" 2006
3 안상후, "새로운 복지지표체계 발굴 및 정책과의 연계방안" 2010
4 초의수, "부산광역시 도시균형발전사업 수정계획 수립 연구" 2011
5 남상호, "보건복지 종합지수 연구 보고서" 2012
6 김영순, "경남도민 삶의 질 평가 지표 개발 방안" 2010
7 최석현, "경기도 지역 결핍지수 개발방안 연구" 2013
8 김승희, "강원도 지역간 복지수준분석과 정책방향" 강원발전연구원 2014
9 真継 陸, "地域経済論-地方の時代の可能性 実教" 出版株式会社 1986
10 Liu, B.C., "Quality of Life Indicators in U.S. Metropolitan Area; A Statistical Analysis" Praeger 1976
11 Smith,D.M., "Patterns in Human Geography ; An Intoroduction to Numerical Methods" David & Charles 1975
도시개발 패러다임 변화에 따른 도시 주거환경 특성 비교 분석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8 | 0.8 | 0.8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87 | 0.86 | 0.868 | 0.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