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 적: 최근 새로이 개발된 두 개의 백신(Rotarix, RotaTeq)의 효능은 지역사회에 유행하는 로타바이러스 genotype에 따라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저자는 제주지역에 유행하는 로타바이러스 genotype의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2002649
강기수 ; 신경수 ; 김원용 ; Kang, Ki Soo ; Shin, Kyung-Sue ; Cui, Xiu Ji ; Kim, Wonyong
2006
Korean
SCOPUS,KCI등재,ESCI
학술저널
147-152(6쪽)
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목 적: 최근 새로이 개발된 두 개의 백신(Rotarix, RotaTeq)의 효능은 지역사회에 유행하는 로타바이러스 genotype에 따라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저자는 제주지역에 유행하는 로타바이러스 genotype의 ...
목 적: 최근 새로이 개발된 두 개의 백신(Rotarix, RotaTeq)의 효능은 지역사회에 유행하는 로타바이러스 genotype에 따라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저자는 제주지역에 유행하는 로타바이러스 genotype의 분포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2005년 7월부터 2006년 6월까지 급성 설사로 제주대학교병원 소아과에 내원 또는 입원하여 로타바이러스 위장관염으로 진단 받았던 154명 중 81명에서 대변 검체를 수집하였다. 대변 검체에서 RNA를 추출하여 역전사-중합효소 반응(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을 시행하여 로타바이러스 VP7 genes을 증폭하였으며 여섯개(1, 2, 3, 4, 8, 9)의 G 유전형을 확인하였다. 결 과: 역전사-중합효소 반응을 시행한 81개의 대변 검체에서 모두 VP7유전자가 증폭됨을 확인하였다. 이들 검체에서 VP 7 단백의 유전형을 보면 G1이 53예(65.5%)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G2 12예(14.8%), G3 11예(13.6%), G8 1예(1.2%), G9 1예(1.2%), G4 0예(0%) 그리고 G1/G3 혼합형이 3예(3.7%)로 나타났다. 결 론: 제주 지역의 로타바이러스 VP7 genotypes의 분포는 국내의 다른 지역들과 달랐으며, G1 유전형이 가장 흔하게 검출되었다.
참고문헌 (Reference)
1 심재건, "충주 지역 설사 환아의 rotavirus G serotype 분포에 관한 연구" 3 : 41-46, 2000
2 강기수, "제주지역에서 최근 수년간 관찰된 Rotavirus 위장관염의 발생 양상" 대한소아소화기영양학회 8 (8): 113-116, 2005
3 김효헌, "서울 지역 영아 설사 환자로부터 분리한 로타바이러스의 유전자형 및 G9 VP7 유전자 염기서열" 35 : 67-74, 2005
4 김은정, "서울 지역 설사 환자에서 분리한 A군 Rotavirus의 Multiplex PCR을 이용한 VP4, VP7 유전자형" 대한미생물학회 32 (32): 291-291, 2002
5 김정수, "로타바이러스 백신" 한국소아감염병학회 13 (13): 44-48, 2006
6 Bishop RF, "Virus particles in epithelial cells of duodenal mucosa from children with acute non-bacterial gastroenteritis" 8 : 1281-3, 1973
7 Bass DM, "Viral infections" BC Decker 668-672, 2004
8 Park HK, "VP7 Genotypes of human rotavirus from hospitalized children with severe diarrhea by 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 32 : 675-683, 1997
9 Desselberger U, "The rotavirus genome" 185 : 31-66, 1994
10 Clark HF, "The new pentavalent rota-virus vaccine composed of bovine(strain WC3)-human rotavirus reassor-tants" 25 : 577-583, 2006
1 심재건, "충주 지역 설사 환아의 rotavirus G serotype 분포에 관한 연구" 3 : 41-46, 2000
2 강기수, "제주지역에서 최근 수년간 관찰된 Rotavirus 위장관염의 발생 양상" 대한소아소화기영양학회 8 (8): 113-116, 2005
3 김효헌, "서울 지역 영아 설사 환자로부터 분리한 로타바이러스의 유전자형 및 G9 VP7 유전자 염기서열" 35 : 67-74, 2005
4 김은정, "서울 지역 설사 환자에서 분리한 A군 Rotavirus의 Multiplex PCR을 이용한 VP4, VP7 유전자형" 대한미생물학회 32 (32): 291-291, 2002
5 김정수, "로타바이러스 백신" 한국소아감염병학회 13 (13): 44-48, 2006
6 Bishop RF, "Virus particles in epithelial cells of duodenal mucosa from children with acute non-bacterial gastroenteritis" 8 : 1281-3, 1973
7 Bass DM, "Viral infections" BC Decker 668-672, 2004
8 Park HK, "VP7 Genotypes of human rotavirus from hospitalized children with severe diarrhea by 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 32 : 675-683, 1997
9 Desselberger U, "The rotavirus genome" 185 : 31-66, 1994
10 Clark HF, "The new pentavalent rota-virus vaccine composed of bovine(strain WC3)-human rotavirus reassor-tants" 25 : 577-583, 2006
11 Griffin DD, "Surveillance of rotavirus strains in the United States:identification of Unusual strains" 38 : 2784-2787, 2000
12 Ruiz-Palacios GM, "Safety and efficacy of an attenuated vaccine against severe rotavirus gastroenteritis" 354 : 11-22, 2006
13 Clark HF, "Rotavirus isolate WI61 representing a presumptive new human serotype" 25 : 1757-62, 1987
14 Zhou Y, "Rotavirus infection in children in Japan" 42 : 428-439, 2000
15 Bass DM, "Rotavirus and other agents of viral gastroenteritis" WB Saunders 1081-1083, 2004
16 Gentsch JR, "Review of G and P typing results from a global collection of rotavirus strains:implications for vaccine development" 174 : 30-36, 1996
17 Rahman M, "Predominance of rotavirus G9 genotype in children hospitalized for rotavirus gastroenteritis in Belgium during 1999-2003" 33 : 1-6, 2005
18 Karmarz P, "Population-based study of rotavirus vaccination and intussusception" 20 : 410-416, 2001
19 Gouvea V, "Polymerase chain reaction amplification and typing of rotavirus nucleic acid from stool specimens" 28 : 276-82, 1990
20 Plotkin SA, "New rotavirus vaccines" 25 : 575-576, 2006
21 Kang JO, "Molecular epidemiological profile of rotavirus in South Korea,july 2002 through june 2003:emergence of G4P [6] and G9P [8] strains" 192 : 57-63, 2005
22 Murphy TV, "Intussusception among infants given an oral rotavirus Vaccine" 344 : 564-572, 2001
23 Santos N, "Global distribution of rotavirus serotypes/genotypes and its implication for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an effective rotavirus vaccine" 15 : 29-56, 2005
24 Kim JS, "Epidemiological profile of rotavirus infection in the republic of Korea:results from prospective surveillance in the Jeongeub district,1 july 2002 through 30 june 2004" 192 : 49-56, 2005
25 Banyai K, "Eight-year survey of human rotavirus strains demonstrates circulation of unusual G and P types in Hungary" 42 : 393-397, 2004
26 Song MO, "Distribution of human group A rotavirus VP7 and VP4 circulating in Seoul,Korea between 1998 and 2000" 70 : 324-328, 2003
27 Zhou Y, "Characterization of human rotavirus serotype G9 isolated in Japan and Thailand from 1995 to 1997" 65 : 619-628, 2001
28 소경진, "2000-2001 경상남도에 유행한 로타바이러스의 유전자형" 11 : 59-72, 2004
급성 위장관염으로 입원한 소아에서 분자 유전학적 방법에 의한 Human Astrovirus 감염의 유병률
신생아와 영유아 로타바이러스 위장염의 임상 경과에 대한 비교
정상 신생아의 대변에서 생후 1주일 동안 장내세균총의 변화
Helicobacter pylori 관련 철분 결핍 빈혈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3 | 평가예정 |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2-04-03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대한소아소화기영양학회지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외국어명 : Korean J Pediatr Gastroenterol Nutr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7-06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Of Pediatric Gastroenterology And Nutrition -> The Korean Society of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and Nutrition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6-06-27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n J Pediatr Gastroenterol Nutr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5-05-30 | 학술지등록 | 한글명 : 대한소아소화기영양학회지외국어명 : 미등록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
2003-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07 | 0.07 | 0.09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09 | 0.1 | 0.367 | 0.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