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클래식 음악의 대중화: 원심력과 구심력의 이해 = Popularization of Classical Music: Understanding of Centrifugal Force and Centripetal For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25630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opularization of classical music is one of the core tasks that the Korean classical music industry has steadily implemented over the past 30 years. However, the fruits of popularizing classical music over the past 30 years have not been successfu...

      The popularization of classical music is one of the core tasks that the Korean classical music industry has steadily implemented over the past 30 years. However, the fruits of popularizing classical music over the past 30 years have not been successful. Classical music has not become popular and the classical music industry is shrinking over time. The number of classical music performances has decreased significantly compared to the past and the number of audiences for classical music performances has decreased even more significantly. It shows that there is a problem with the method of popularizing classical music in Korea that has been implemented over the past 30 years.
      Until now, the popularization of classical music in Korea has been mainly implemented by performers. Classical music performers played popular songs and sought to popularize them by breathing with the audience. As a result, the performer became popular, but classical music itself was not popular. Now we have to change the way. Only when classical music-centered popularization proceeds, not performer-centered popularization, can the base of classical music expand.
      This study proved the direction of popularization of classical music through experiments. What can be confirmed through this study is that when approaching classical music with high familiarity to the public, the public can sing along and hum along, making it easy to accept classical music in daily life. Above all, in order to popularize classical music, centripetal force, not centrifugal force, should be used. It is not appropriate for classical music players to enter the realm of popular music. It is necessary to find a way for pop music performers to enter the realm of classical music.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클래식 음악의 대중화, 우리나라 클래식 음악계가 지난 30여 년 동안 꾸준히 실행해온 핵심 과제 중 하나이다. 그러나 지난 30여 년 간의 클래식 음악 대중화의 결실은 성공적이지 못했다. 클...

      클래식 음악의 대중화, 우리나라 클래식 음악계가 지난 30여 년 동안 꾸준히 실행해온 핵심 과제 중 하나이다. 그러나 지난 30여 년 간의 클래식 음악 대중화의 결실은 성공적이지 못했다. 클래식 음악은 대중화되지 못했고, 클래식 음악계는 시간이 갈수록 위축되고 있다. 클래식 음악 공연의 수는 이전에 비해 크게 줄었으며, 클래식 음악 공연의 관객 수는 더욱 현저히 감소하였다. 지난 30여 년 간 실행된 우리나라 클래식 음악 대중화의 방법에 문제가 있음을 보여준다.
      그동안 우리나라 클래식 음악 대중화는 주로 연주자 중심으로 실행되었다. 클래식 음악 연주자가 대중성 높은 곡을 연주하며, 이들이 관객과 호흡하는 방법으로 대중화를 꾀하였다. 결과적으로 연주자는 대중화되었지만 클래식 음악 그 자체는 대중화되지 못했다. 이제 방법을 바꿔야 한다. 연주자 중심의 대중화가 아닌 클래식 음악 중심의 대중화가 진행되어야 클래식 음악에 대한 저변이 확대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어떻게 해야 클래식 음악의 대중화가 가능한지에 대해서 실험을 통해 증명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 내용은 대중에게 친숙도가 높은 클래식 음악으로 접근할 때, 대중은 따라 부를 수 있고, 흥얼거릴 수 있어, 일상에서 클래식 음악을 편하게 받아들일 수 있다. 무엇보다 클래식 음악의 대중화를 위해서는 원심력이 아닌 구심력을 활용해야 한다. 클래식 음악 연주자가 대중음악의 영역으로 들어가는 것은 적절치 않다. 대중음악 연주자가 클래식 음악의 영역으로 들어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성용원 ; 장민호, "한국 클래식음악계의 새로운 동향" 한국문화산업학회 17 (17): 11-18, 2017

      2 황정미, "클래식음악 공연예술의 현황과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민족음악학회 (34) : 327-353, 2007

      3 권재원, "클래식 음악? 음악의 클래식! 시대를 끌어안은 음악 속 문화사" (가을) : 92-99, 2014

      4 손현경, "클래식 음악 공연: 클래식 음악의 지식과 체험에 대한 이해" 한국상품학회 40 (40): 103-108, 2022

      5 손현경, "클래식 음악 공연, 높은 수준을 좋아하는가? 많은 관람을 좋아하는가?: 관객의 관여도에 대한 이해" 한국비즈니스학회 7 (7): 41-45, 2022

      6 오희숙, "크로스오버 현상과 포스트 모더니즘 : 예술음악과 대음악의 '경계 넘나들기' 시도를 중심으로" 30 : 151-171, 2003

      7 고서진 ; 이루리, "커피전문점의 브랜드 친숙도 및 브랜드-자아 이미지 일치성이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브랜드 친숙도의 역할 재조명" 한국상품학회 35 (35): 173-180, 2017

      8 정태양, "융합의 관점에서 바라본 클래식 음악 대중화에 대한 반응 분석-<팬텀싱어>의 시청자 의견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9 지강유철, "우리 클래식 음악계의 굴욕" 106 : 10-15, 2007

      10 민주식, "예술의 뿌리로서의 공공성(公共性) - 존 듀이 예술론의 새로운 해석 -" 인문과학연구소 (68) : 175-206, 2013

      1 성용원 ; 장민호, "한국 클래식음악계의 새로운 동향" 한국문화산업학회 17 (17): 11-18, 2017

      2 황정미, "클래식음악 공연예술의 현황과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민족음악학회 (34) : 327-353, 2007

      3 권재원, "클래식 음악? 음악의 클래식! 시대를 끌어안은 음악 속 문화사" (가을) : 92-99, 2014

      4 손현경, "클래식 음악 공연: 클래식 음악의 지식과 체험에 대한 이해" 한국상품학회 40 (40): 103-108, 2022

      5 손현경, "클래식 음악 공연, 높은 수준을 좋아하는가? 많은 관람을 좋아하는가?: 관객의 관여도에 대한 이해" 한국비즈니스학회 7 (7): 41-45, 2022

      6 오희숙, "크로스오버 현상과 포스트 모더니즘 : 예술음악과 대음악의 '경계 넘나들기' 시도를 중심으로" 30 : 151-171, 2003

      7 고서진 ; 이루리, "커피전문점의 브랜드 친숙도 및 브랜드-자아 이미지 일치성이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브랜드 친숙도의 역할 재조명" 한국상품학회 35 (35): 173-180, 2017

      8 정태양, "융합의 관점에서 바라본 클래식 음악 대중화에 대한 반응 분석-<팬텀싱어>의 시청자 의견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9 지강유철, "우리 클래식 음악계의 굴욕" 106 : 10-15, 2007

      10 민주식, "예술의 뿌리로서의 공공성(公共性) - 존 듀이 예술론의 새로운 해석 -" 인문과학연구소 (68) : 175-206, 2013

      11 윤유경, "여성의 클래식음악공연 수용과정 연구 - 성차를 중심으로 -" 이화사회과학원 22 : 145-166, 2009

      12 최동혁 ; 나준희, "브랜드 확장: 혁신과 광고" 한국콘텐츠산업학회 1 (1): 7-11, 2019

      13 박성용 ; 현소은 ; 나준희, "브랜드 친숙도에 대한 질적 및 양적 분석의 통합" 한국상품학회 33 (33): 1-10, 2015

      14 김유경, "브랜드 개성의 유형과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제품특성과 소비자요인을 중심으로" 49 : 29-53, 2000

      15 박진영, "뉴미디어와 음악산업의 변화에 따른 한국 음악콘텐츠의 미래와 과제" 민족음악학회 32 (32): 275-302, 2006

      16 허원무 ; 우정 ; 정의파, "기업 이미지가 소비자 동일시, 브랜드 친숙도, 신제품 평가에 미치는 영향" 한국방송광고공사 (76) : 143-171, 2007

      17 Holden, S. J. S., "Know the Name, Forget the Exposure : Brand Familiarity versus Memory of Exposure Context" 16 (16): 479-496, 1999

      18 Bhattacherjee, A., "Individual Trust in Online Firms : Scale Development and Initial Test" 19 (19): 211-241, 2002

      19 Alba, J. W., "Dimensions of Consumer Expertise" 13 (13): 411-454, 1987

      20 Sood, S., "Brand Extensions of Experiential Goods : Movie Sequel Evaluations" 33 (33): 352-360, 2006

      21 Zajonc, R. B., "Attitudinal Effects of Mere Exposure" 9 (9): 1-27, 1968

      22 예술경영지원센터, "(2012~2021), 공연예술실태조사" 201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5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20-11-06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비즈니스연구 -> 비즈니스융복합연구
      외국어명 : Journal of Business -> Journal of Business Convergence
      KCI등재후보
      202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