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가톨릭교회 고유목적사업 회계자료에 대한 분석적 고찰과 제언 : 천주교 인천교구 2006-2011년 예산 · 결산서를 중심으로 = An Analytic Study and Proposal of the Essential Business of Catholic Church from Accounting dat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343216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t has been 200 years for Catholic declared the gospel in Korea. During that time, the scale of Korean Catholic Association becomes large after quality and quantity growth. However, it is true that shows many problems with using property in order to manage the church. For the Korean Catholic Association to grow and to the church in a transparent, its basis and consider the contents of the financial executive with the necessary budget and accounting state systematic for the church management.
      The major sources of revenue to run the church is devoting money and consisting of Denarius Cultus(교무금) which likes tithes as an expression of gratitude to the grace that believers have received from God. The budget that formed to run a church based on financial should manage by evangelical in a first place. Jesus Christ loved those people who have marginalized. (Mt 25, 31-40). The reason why the church pays attention for the poor, the people who are avoid and suffering is the goal and mission of church. However, if it is not practically love and care these people, the church will lose the meaning of its existence.
      The researcher of this essay will search for the church that is using and managing the property and working practical charity business, the specific purpose of church by the data of Incheon Diocese of Catholic Church in Korea.

      In the first chapter, the major source of church’s income, like the tithe and donation, is theoretical background of bible how it has written in Old Testament and New Testament.
      The tithe from the Old Testament is those people who are represented faith and expression of gratitude to God. The tithe appeared in several Old Testament, such as Pentateuch, Historical Books, and Prophetic Books. Moreover, it shows that the purpose and meaning of tithe has changed for Israelite time after time. The present writer looked over the feature and meaning of the tithe in Old Testament by a chart. The similarity of the tithe in every Old Testament is the religious significance of dedicated to God and God owns the property. In addition, the characteristic of tithe changed start with the origin of the tithe and extend to belief, a point of tithe, social and religious, the meaning of the tithe, shows the gratitude, confession to God and love neighborhood.
      In New Testament, the tithe and donation mentioned through Synoptic Gospels, Acts of the Apostles, and the Epistle of Saint Paul. Compare with Old Testament, New Testament does not refer to the tithe and donation. However, through Jesus Christ’s clear statement, the definition of the tithe and donation can find by keep and restore “justice,” “mercy,” “faithfulness.” In Act of the Apostles and the Letter of Paul, it shows teaching of St. Paul about donation and the reason of it. If you look at the description of the contribution of Paul, he is talking about donation with a clear purpose.
      The purpose was to distribute the meaning of Christian’s love and mercy, justice and peace, sharing, friendship and unity for the Jerusalem that was fallen under famine. Through New Testament, Christians should be solid, sharing, devoted to promise, act justice other than their own property or possession. By teaching of Jesus Christ and action of Paul, the reason of tithe and donation can find easily.

      In the second chapter, we will look through the similarity and difference of Old Testament and New Testament how they teach a conception of material goods by order of the church. The goods are for worship to God, required property of living expenses for priest, also expend for the donation as holy missionaries with charity.
      To accomplish a goal of church, the present writer inquired about church’s possession by church regulation about using property and the law of the country where the church belong. The reason for this investigation is the asset and goods of church for volunteering which is the characteristic of the church. Therefore, it should have emphasized that the importance of possession in church is for helping.

      In third chapter, the writer of this essay made an analysis of business accounting data based on Diocese of Incheon in Catholic Church of Korea. The financial management of Incheon Diocese, look over its regulation, and estimation and settlement of accounts to operate the church.
      A study for analytic based on synod of Incheon Diocese and estimation and settlement accounts between 2006 and 2011. With this basis, we may find that church is working what the Bible teaches properly.
      Loving the neighborhood is an intention and a mission of church, which cannot force by others. The purpose of this analysis is not blaming the church management about proper managing church and practicing purposed business. It is about reflection and innovation of church. Through synthetic analysis and a suggestion, church should come to maturity, use the possession of God and love the neighborhood with care.
      All the church’s property does not have its goal in itself. It is a tool of church’s ultimate goal and service for others. Therefore, not only we should work with the church property, but also with all possessions and goods; we must be interest to practice all of these.
      The Possession is not only for one’s self, but also for share with the neighbor, especially for the poor and people who are apart. It should be a tool for definition of loving neighbor hood and common goods.
      Church performs a unique goal business for the poor as a moral and charity. When the church establishes the budget, the best thing to do is performing the estimation for the people who are volunteering for church and the poor so that makes an action and a purpose justify the means of the business.
      As this research of accounting data of Diocese of Incheon, the present writer certain the flexible control on budget management will allow church to execute its plan.
      Budget to operate the church can be an im
      번역하기

      It has been 200 years for Catholic declared the gospel in Korea. During that time, the scale of Korean Catholic Association becomes large after quality and quantity growth. However, it is true that shows many problems with using property in order to m...

      It has been 200 years for Catholic declared the gospel in Korea. During that time, the scale of Korean Catholic Association becomes large after quality and quantity growth. However, it is true that shows many problems with using property in order to manage the church. For the Korean Catholic Association to grow and to the church in a transparent, its basis and consider the contents of the financial executive with the necessary budget and accounting state systematic for the church management.
      The major sources of revenue to run the church is devoting money and consisting of Denarius Cultus(교무금) which likes tithes as an expression of gratitude to the grace that believers have received from God. The budget that formed to run a church based on financial should manage by evangelical in a first place. Jesus Christ loved those people who have marginalized. (Mt 25, 31-40). The reason why the church pays attention for the poor, the people who are avoid and suffering is the goal and mission of church. However, if it is not practically love and care these people, the church will lose the meaning of its existence.
      The researcher of this essay will search for the church that is using and managing the property and working practical charity business, the specific purpose of church by the data of Incheon Diocese of Catholic Church in Korea.

      In the first chapter, the major source of church’s income, like the tithe and donation, is theoretical background of bible how it has written in Old Testament and New Testament.
      The tithe from the Old Testament is those people who are represented faith and expression of gratitude to God. The tithe appeared in several Old Testament, such as Pentateuch, Historical Books, and Prophetic Books. Moreover, it shows that the purpose and meaning of tithe has changed for Israelite time after time. The present writer looked over the feature and meaning of the tithe in Old Testament by a chart. The similarity of the tithe in every Old Testament is the religious significance of dedicated to God and God owns the property. In addition, the characteristic of tithe changed start with the origin of the tithe and extend to belief, a point of tithe, social and religious, the meaning of the tithe, shows the gratitude, confession to God and love neighborhood.
      In New Testament, the tithe and donation mentioned through Synoptic Gospels, Acts of the Apostles, and the Epistle of Saint Paul. Compare with Old Testament, New Testament does not refer to the tithe and donation. However, through Jesus Christ’s clear statement, the definition of the tithe and donation can find by keep and restore “justice,” “mercy,” “faithfulness.” In Act of the Apostles and the Letter of Paul, it shows teaching of St. Paul about donation and the reason of it. If you look at the description of the contribution of Paul, he is talking about donation with a clear purpose.
      The purpose was to distribute the meaning of Christian’s love and mercy, justice and peace, sharing, friendship and unity for the Jerusalem that was fallen under famine. Through New Testament, Christians should be solid, sharing, devoted to promise, act justice other than their own property or possession. By teaching of Jesus Christ and action of Paul, the reason of tithe and donation can find easily.

      In the second chapter, we will look through the similarity and difference of Old Testament and New Testament how they teach a conception of material goods by order of the church. The goods are for worship to God, required property of living expenses for priest, also expend for the donation as holy missionaries with charity.
      To accomplish a goal of church, the present writer inquired about church’s possession by church regulation about using property and the law of the country where the church belong. The reason for this investigation is the asset and goods of church for volunteering which is the characteristic of the church. Therefore, it should have emphasized that the importance of possession in church is for helping.

      In third chapter, the writer of this essay made an analysis of business accounting data based on Diocese of Incheon in Catholic Church of Korea. The financial management of Incheon Diocese, look over its regulation, and estimation and settlement of accounts to operate the church.
      A study for analytic based on synod of Incheon Diocese and estimation and settlement accounts between 2006 and 2011. With this basis, we may find that church is working what the Bible teaches properly.
      Loving the neighborhood is an intention and a mission of church, which cannot force by others. The purpose of this analysis is not blaming the church management about proper managing church and practicing purposed business. It is about reflection and innovation of church. Through synthetic analysis and a suggestion, church should come to maturity, use the possession of God and love the neighborhood with care.
      All the church’s property does not have its goal in itself. It is a tool of church’s ultimate goal and service for others. Therefore, not only we should work with the church property, but also with all possessions and goods; we must be interest to practice all of these.
      The Possession is not only for one’s self, but also for share with the neighbor, especially for the poor and people who are apart. It should be a tool for definition of loving neighbor hood and common goods.
      Church performs a unique goal business for the poor as a moral and charity. When the church establishes the budget, the best thing to do is performing the estimation for the people who are volunteering for church and the poor so that makes an action and a purpose justify the means of the business.
      As this research of accounting data of Diocese of Incheon, the present writer certain the flexible control on budget management will allow church to execute its plan.
      Budget to operate the church can be an im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한국 천주교회가 이 땅에 복음을 선포한지 2백년이라는 시간이 흘렀다. 그동안 한국천주교회는 양적과 질적인 성장을 거듭하면서 그 규모가 방대해졌다. 하지만 교회를 운영하기 위한 재산 사용에 있어서 많은 문제를 보여준 것 또한 사실이다. 한국천주교회가 투명성 있는 교회로 성장하기 위한 그 기초는 교회운영을 위해 체계적인 회계 상태와 필요한 예산과 결산의 집행 내용을 고찰하는 것이라 생각된다.
      교회를 운영하는데 필요한 수입의 주된 원천은 신자들이 하느님께로부터 받은 은총에 대한 감사의 표현으로 드리는 헌금과 십일조의 성격을 지니고 있는 교무금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재정을 바탕으로 교회를 운영하는데 형성된 예산은 그 처음부터 복음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관리 되어야 한다. 예수 그리스도께서는 보잘 것 없는 사람들인 소외된 사람들을 사랑하셨다(마태 25, 31-40 참조). 교회가 가난하고, 소외된 이들, 고통 받는 이들을 위해 특별한 관심을 기울이는 것은 교회의 사명이자 목적이지만, 이들에 대한 사랑과 관심, 배려가 제대로 실천되지 못할 때는 교회는 그 존재 의미를 상실하는 것이다.
      본 연구자는 한국천주교회 인천교구의 고유목적사업 회계자료를 통해 교회가 올바르게 재산을 사용하고, 관리하고 있는지 또한 교회의 실천적 애덕사업인 고유목적사업이 적절하게 실천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제1장에서는 교회 회계의 이론적 배경이라 할 수 있는 교회의 주된 수입의 원천인 십일조와 헌금에 대해 성경에서는 과연 어떤 말씀으로 가르치고 있는지 구약과 신약성경을 살펴보는데 중점을 두었다.
      구약에서의 십일조는 하느님의 백성이 창조주 하느님께 드리는 감사의 표현과 믿음의 원리로 표현되고 있다. 구약의 모세오경과 역사서, 예언서에 등장하는 십일조는 시간 흐를수록 이스라엘 민족들 안에서 그 의미와 목적이 변화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도표로 나타내어 구약성경에서의 십일조가 지니고 있는 특징과 그 의미를 살펴보았다. 구약성경에 나타나는 십일조에 대한 일반적인 공통점은 하느님께 바치는 종교적인 의미와 그 소유가 하느님의 것임으로 되어 있다. 또한 십일조가 지니고 있는 특징들도 십일조의 기원으로 시작하여 신앙적인 부분, 십일조의 항목과 사회적, 종교적인 측면으로 확대 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으며, 십일조의 의미 역시 하느님께 대한 감사의 표현으로 시작하여, 만물의 주인이 하느님이심을 고백하며, 이웃사랑을 실천해야할 책임으로 변화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신약성경에서는 공관복음서와 사도행전, 바오로 서간 등을 통해서 십일조와 헌금에 대해 언급하고 있다. 상대적으로 구약성경에 비해 신약성경에서는 십일조와 헌금에 대한 언급은 많이 찾아볼 수는 없다. 하지만 십일조와 헌금이 지니고 있는 참된 의미인 ‘정의’(正義)와 ‘자비’(慈悲), ‘신의’(信義)를 지키고 회복해야 함을 예수 그리스도의 ‘설파’(說破)를 통해서 살펴볼 수 있다. 사도행전과 서간에서는 사도 바오로의 헌금에 대한 가르침과 모금하는 이유가 자세히 제시되고 있다. 사도 바오로의 헌금에 대한 언급을 보면 그는 분명한 목적을 가지고 헌금에 관해 이야기를 하고 있다. 그 목적은 기근에 빠진 예루살렘 교회를 위한 그리스도인들의 사랑과 자비, 정의와 평화, 나눔과 분배, 친교와 일치의 의미를 실천하는 것이었다. 신약성경을 통해서 그리스도인들은 연대적인 사람, 나눔의 중요성, 계약과 약속에 대한 충실성과 정의 실천이 그 어떤 재물과 소유보다 우선해야 한다는 것을 예수그리스도의 가르침과 사도 바오로의 실천을 통해서 십일조와 헌금의 목적을 찾을 수 있다.

      제2장에서는 교회가 지닌 사명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물질재화, 재산의 개념과 성경에서 물질재화에 대해서 어떤 가르침을 주고 있는지 구약과 신약성경을 통해 그 공통점과 차이점을 살펴보았다. 물질 재화는 하느님께 경배를 드리고, 성직자들과 교역자들을 위한 합당한 생활비를 조달하는데 필요한 재산인 동시에 거룩한 사도직과 애덕적인 차원에서 특별히 자선 사업을 목적으로 사용되는 재산이다.
      교회가 지닌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재산의 사용에 관하여 교회법과 그 교회가 속해 있는 국가의 법을 준수하는 가운데 교회 재산에 관한 규정을 알아보았다. 그 이유는 교회의 재산과 재화는 그것을 목적으로 하는 사람들에게 봉사하는 특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교회 안에서 재산과 재화의 중요성은 그것이 봉사라는 목적을 지니고 있는 관점에서 강조되어야 한다는 것을 살펴보았다.

      제3장에서는 한국천주교회 인천교구를 중심으로 고유목적사업 회계자료를 통해 분석을 시도하였다. 인천교구의 재정규정과 교회를 운영하는데 필수적인 재무관리에 관한 규정들을 살펴보고, 고유목적사업에 대한 예산과 결산서를 중심으로 분석적 고찰을 시도했다.
      분석적 고찰은 인천교구의 시노드와 2006년부터 2011년도까지 교구의 예산과 결산서가 중심이 되었다. 이를 기준으로 성경의 가르침을 교회가 올바르게 실
      번역하기

      한국 천주교회가 이 땅에 복음을 선포한지 2백년이라는 시간이 흘렀다. 그동안 한국천주교회는 양적과 질적인 성장을 거듭하면서 그 규모가 방대해졌다. 하지만 교회를 운영하기 위한 재산 ...

      한국 천주교회가 이 땅에 복음을 선포한지 2백년이라는 시간이 흘렀다. 그동안 한국천주교회는 양적과 질적인 성장을 거듭하면서 그 규모가 방대해졌다. 하지만 교회를 운영하기 위한 재산 사용에 있어서 많은 문제를 보여준 것 또한 사실이다. 한국천주교회가 투명성 있는 교회로 성장하기 위한 그 기초는 교회운영을 위해 체계적인 회계 상태와 필요한 예산과 결산의 집행 내용을 고찰하는 것이라 생각된다.
      교회를 운영하는데 필요한 수입의 주된 원천은 신자들이 하느님께로부터 받은 은총에 대한 감사의 표현으로 드리는 헌금과 십일조의 성격을 지니고 있는 교무금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재정을 바탕으로 교회를 운영하는데 형성된 예산은 그 처음부터 복음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관리 되어야 한다. 예수 그리스도께서는 보잘 것 없는 사람들인 소외된 사람들을 사랑하셨다(마태 25, 31-40 참조). 교회가 가난하고, 소외된 이들, 고통 받는 이들을 위해 특별한 관심을 기울이는 것은 교회의 사명이자 목적이지만, 이들에 대한 사랑과 관심, 배려가 제대로 실천되지 못할 때는 교회는 그 존재 의미를 상실하는 것이다.
      본 연구자는 한국천주교회 인천교구의 고유목적사업 회계자료를 통해 교회가 올바르게 재산을 사용하고, 관리하고 있는지 또한 교회의 실천적 애덕사업인 고유목적사업이 적절하게 실천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제1장에서는 교회 회계의 이론적 배경이라 할 수 있는 교회의 주된 수입의 원천인 십일조와 헌금에 대해 성경에서는 과연 어떤 말씀으로 가르치고 있는지 구약과 신약성경을 살펴보는데 중점을 두었다.
      구약에서의 십일조는 하느님의 백성이 창조주 하느님께 드리는 감사의 표현과 믿음의 원리로 표현되고 있다. 구약의 모세오경과 역사서, 예언서에 등장하는 십일조는 시간 흐를수록 이스라엘 민족들 안에서 그 의미와 목적이 변화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도표로 나타내어 구약성경에서의 십일조가 지니고 있는 특징과 그 의미를 살펴보았다. 구약성경에 나타나는 십일조에 대한 일반적인 공통점은 하느님께 바치는 종교적인 의미와 그 소유가 하느님의 것임으로 되어 있다. 또한 십일조가 지니고 있는 특징들도 십일조의 기원으로 시작하여 신앙적인 부분, 십일조의 항목과 사회적, 종교적인 측면으로 확대 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으며, 십일조의 의미 역시 하느님께 대한 감사의 표현으로 시작하여, 만물의 주인이 하느님이심을 고백하며, 이웃사랑을 실천해야할 책임으로 변화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신약성경에서는 공관복음서와 사도행전, 바오로 서간 등을 통해서 십일조와 헌금에 대해 언급하고 있다. 상대적으로 구약성경에 비해 신약성경에서는 십일조와 헌금에 대한 언급은 많이 찾아볼 수는 없다. 하지만 십일조와 헌금이 지니고 있는 참된 의미인 ‘정의’(正義)와 ‘자비’(慈悲), ‘신의’(信義)를 지키고 회복해야 함을 예수 그리스도의 ‘설파’(說破)를 통해서 살펴볼 수 있다. 사도행전과 서간에서는 사도 바오로의 헌금에 대한 가르침과 모금하는 이유가 자세히 제시되고 있다. 사도 바오로의 헌금에 대한 언급을 보면 그는 분명한 목적을 가지고 헌금에 관해 이야기를 하고 있다. 그 목적은 기근에 빠진 예루살렘 교회를 위한 그리스도인들의 사랑과 자비, 정의와 평화, 나눔과 분배, 친교와 일치의 의미를 실천하는 것이었다. 신약성경을 통해서 그리스도인들은 연대적인 사람, 나눔의 중요성, 계약과 약속에 대한 충실성과 정의 실천이 그 어떤 재물과 소유보다 우선해야 한다는 것을 예수그리스도의 가르침과 사도 바오로의 실천을 통해서 십일조와 헌금의 목적을 찾을 수 있다.

      제2장에서는 교회가 지닌 사명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물질재화, 재산의 개념과 성경에서 물질재화에 대해서 어떤 가르침을 주고 있는지 구약과 신약성경을 통해 그 공통점과 차이점을 살펴보았다. 물질 재화는 하느님께 경배를 드리고, 성직자들과 교역자들을 위한 합당한 생활비를 조달하는데 필요한 재산인 동시에 거룩한 사도직과 애덕적인 차원에서 특별히 자선 사업을 목적으로 사용되는 재산이다.
      교회가 지닌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재산의 사용에 관하여 교회법과 그 교회가 속해 있는 국가의 법을 준수하는 가운데 교회 재산에 관한 규정을 알아보았다. 그 이유는 교회의 재산과 재화는 그것을 목적으로 하는 사람들에게 봉사하는 특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교회 안에서 재산과 재화의 중요성은 그것이 봉사라는 목적을 지니고 있는 관점에서 강조되어야 한다는 것을 살펴보았다.

      제3장에서는 한국천주교회 인천교구를 중심으로 고유목적사업 회계자료를 통해 분석을 시도하였다. 인천교구의 재정규정과 교회를 운영하는데 필수적인 재무관리에 관한 규정들을 살펴보고, 고유목적사업에 대한 예산과 결산서를 중심으로 분석적 고찰을 시도했다.
      분석적 고찰은 인천교구의 시노드와 2006년부터 2011년도까지 교구의 예산과 결산서가 중심이 되었다. 이를 기준으로 성경의 가르침을 교회가 올바르게 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서론 1
      • 1. 문제 제기 1
      • 2. 연구 목적과 방법 2
      • 본론 3
      • Ⅰ. 성경을 통한 교회회계의 이론적 배경 3
      • 서론 1
      • 1. 문제 제기 1
      • 2. 연구 목적과 방법 2
      • 본론 3
      • Ⅰ. 성경을 통한 교회회계의 이론적 배경 3
      • 1.1 구약성경에 나타난 십일조 3
      • 1.1.1 모세오경에 나타난 십일조 4
      • 가. 창세기의 십일조(창세 14,17-20; 28,10-22) 4
      • 나. 레위기의 십일조(레위 27,30-33) 6
      • 다. 민수기의 십일조(민수 18,20-32) 6
      • 라. 신명기의 십일조(신명 12,6-19; 14,22-29; 26,12) 7
      • 1.1.2 역사서에 나타난 십일조 9
      • 가. 사무엘기 상권의 십일조(1사무 8,15-17) 9
      • 나. 역대기 하권의 십일조(2역대 31,5-7) 10
      • 다. 느헤미야기서의 십일조(느헤 10,32-39; 12,44-45) 10
      • 1.1.3 예언서에 나타난 십일조 11
      • 가. 에제키엘서의 십일조(에제 46,13-14) 11
      • 나. 아모스서의 십일조(아모 4,4) 11
      • 다. 말라키서의 십일조(말라 3,6-12) 12
      • 1.1.4 구약성경의 십일조 분석 13
      • 1.2 신약성경에 나타난 십일조와 헌금 16
      • 1.2.1 공관복음서에 나타난 십일조와 헌금 16
      • 가. 마태오 복음서(마태 23,23) 16
      • 나. 마르코 복음서(마르 12,41-44) 17
      • 다. 루카 복음서(루카 18,12) 18
      • 1.2.2 사도행전의 헌금(사도 11,27-30) 18
      • 1.2.3 바오로 서간의 헌금 19
      • 가. 코린토 1서의 헌금(1코린 16,1-4) 19
      • 나. 코린토 2서의 헌금(2코린 8,1.24; 9,1.15) 19
      • 1.2.4 신약성경의 십일조와 헌금에 대한 개념 21
      • 1.3 소결론 22
      • Ⅱ. 교회 재산의 이론적 배경 22
      • 2.1 교회 재산의 이해 23
      • 2.1.1 교회 재산의 개념 23
      • 2.1.2 교회 재산의 목적 24
      • 2.1.3 성경에 나타난 물질재화의 가치 25
      • 가. 구약성경의 재화 25
      • 나. 신약성경의 재화 29
      • 2.1.4 소결론 32
      • 2.2 교회법상의 재산권 33
      • 2.2.1 교회의 재산권 33
      • 2.2.2 재산권의 주체 33
      • 2.2.3 교회 재산권의 권리와 의무 34
      • 2.2.4 교회법상의 재산 취득 방식 35
      • 가. 교회 유지비(subventiones rogatas) 35
      • 1) 교무금(敎務金, denarius cultus) 36
      • 2) 헌금(獻金, collectio) 36
      • 나. 부담금(tributum) 37
      • 2.3 비영리 법인 38
      • 2.3.1 비영리 법인의 개념 38
      • 2.3.2 비영리 법인의 기본적 특징 38
      • 가. 비영리성 38
      • 나. 법인성 39
      • 다. 사단성과 재단성 39
      • 2.4 종교법인 40
      • 2.4.1 종교법인의 개념 40
      • 2.4.2 종교 법인의 특징 40
      • 2.4.3 가톨릭교회 법인의 개념 41
      • 2.4.4 가톨릭교회 법인의 종류 41
      • 가. 가톨릭교회의 사단법인과 재단법인 42
      • 나. 가톨릭교회 공법인과 사법인 42
      • 다. 사단법인과 재단법인의 법인격의 목적 43
      • 1) 사단법인의 목적 43
      • 2) 재단법인의 목적 44
      • 2.5 종교법인의 회계 44
      • 2.5.1 종교법인의 회계 개념과 특징 44
      • 2.5.2 가톨릭교회의 회계 45
      • 가. 교구 유지 재단의 회계처리의 문제점 45
      • 나. 교구의 운용을 위한 회계기준의 필요성 46
      • Ⅲ. 인천교구의 재정규정과 예산 · 결산서 분석 48
      • 3.1 인천교구의 재정 규정과 관리 48
      • 3.1.1 인천교구 재정 목적과 규정 49
      • 3.1.2 인천교구의 회계 관리 50
      • 가. 예산 50
      • 나. 결산 51
      • 3.1.3 인천교구의 회계인식 52
      • 가. 예산회계 52
      • 나. 현금주의 53
      • 3.2 인천교구 고유목적사업에 관한 예산 · 결산 분석 53
      • 3.2.1 인천교구 대의원회의(시노드) 54
      • 3.2.2 2006년 고유목적사업에 대한 예산 · 결산 분석 60
      • 3.2.3 2007년 고유목적사업에 대한 예산 · 결산 분석 63
      • 3.2.4 2008년 고유목적사업에 대한 예산 · 결산 분석 65
      • 3.2.5 2009년 고유목적사업에 대한 예산 · 결산 분석 67
      • 3.2.6 2010년 고유목적사업에 대한 예산 · 결산 분석 70
      • 3.2.7 2011년 고유목적사업에 대한 예산 · 결산 분석 72
      • 3.3 종합 분석 74
      • 3.3.1 인천교구 예산과 결산총액 분석 74
      • 3.3.2 고유목적 사업 분석 76
      • 3.3.3 자선비와 장학금 분석 78
      • 3.3.4 사회평화기금 분석 79
      • 3.4 교회 운영의 발전을 위한 제언 80
      • 3.4.1 예산관리에 대한 자구적 노력과 투명성을 위한 공시 80
      • 3.4.2 인천교구 내부 · 외부 감사기구에 대한 제언 81
      • 3.4.3 한국천주교회 회계기준과 주교회의 감사기구 설립에 관한 제언 82
      • 결론 83
      • 참고문헌 85
      • 국문초록 89
      • Abstract 9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