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다문화주의의 현실적 한계에 대한 대안으로서의 상호문화주의 - 다문화 시대의 새로운 도덕 원리 탐색 - = Interculturalism as an Alternative to the Practical Llimitations of Multiculturalism - Exploring New Moral Principles in The Multicultural Era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32450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Many European countries have declared a 'multicultural failure'. his means that if we blindly follow European multiculturalism, we will suffer a "multicultural failure" just like them. What they call the failure of multiculturalism is the failure of s...

      Many European countries have declared a 'multicultural failure'. his means that if we blindly follow European multiculturalism, we will suffer a "multicultural failure" just like them. What they call the failure of multiculturalism is the failure of social integration. What they call the failure of multiculturalism is the failure of social integration. In other words, if we do not have an alternative beyond Western multiculturalism, we will also have no choice but to face the serious cases of cultural conflict shown in their society. Now is the time to check the real problems that Korea has as a multicultural society. Therefore, in this study, the practical limitations of 'assimilationist multiculturalism' and 'liberal multiculturalism' adopted by our society are confirmed. And through the discussion that follows, it is confirmed that for a truly multicultural society, 'reciprocity' and 'equal interrelation' between cultures are necessary for 'intercultural communication'. As such, this study aims to suggest that a new moral principle is needed in the multicultural society, which has now become a reality, by pointing out the limitations of liberal multilateralism that our society has pursued so far and suggesting intercultural communication as an alternativ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많은 유럽의 국가들이 ‘다문화주의 실패’를 선언했다. 이 말은 우리가 무작정 유럽적 다문화주의를 따라가기만 하면 그들과 똑같이 ‘다문화주의 실패’를 겪게 된다는 것이다. 그들이 ...

      많은 유럽의 국가들이 ‘다문화주의 실패’를 선언했다. 이 말은 우리가 무작정 유럽적 다문화주의를 따라가기만 하면 그들과 똑같이 ‘다문화주의 실패’를 겪게 된다는 것이다. 그들이 말하는 다문화주의 실패는 사회적 통합의 실패이다. 다시 말해, 우리가 서구의 다문화주의를 넘어선 대안을 가지지 못한다면 우리 역시 그들의 사회에서 보여진 심각한 문화적 갈등 사례들을 마주할 수밖에 없게 된다는 것이기도 하다. 이제는 한국사회가 가지는 다문화 사회로서의 현실적 문제 상황을 확인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본 연구는 우리 사회가 채택하고 있는 동화주의적 다문화주의와 자유주의적 다문화주의가 가진 현실적 한계를 확인한다. 그리고 이어지는 논의를 통해, 진정한 다문화 사회를 위해서는 상호문화적 소통을 통한 문화 간의 ‘상호성’과 ‘동등한 상호관계’가 필요함을 확인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박인철, "현상학과 상호문화성" 아카넷 2015

      2 찰스 테일러, "현대사회와 인권" 나남 1998

      3 국가인권위원회, "한국사회의 인종차별 실태와 인종차별철폐를 위한법제화 연구" 2019

      4 한건수, "한국사회의 다문화주의 혐오증과 실패론: 어떤 다문화주의인가?" 대구카톨릭대학교 다문화연구소 1 : 113-143, 2012

      5 류지석 ; 장세룡, "프랑스 방리유 문제와 이민자 통합정책 - 차별과 배제의 공간정치 -" 대구사학회 111 : 277-308, 2013

      6 법무부, "출입국외국인정책 통계월보, 2022년 2월호"

      7 로앤비, "재한외국인 처우 기본법"

      8 고봉진, "자유주의적 관용의 역사적 전개와 그 한계" 한국법철학회 19 (19): 153-176, 2016

      9 최진우, "유럽 다문화사회의 위기와 유럽통합"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2 : 31-62, 2012

      10 장정아, "아리스토텔레스의 ‘우정’을 통한 상호문화적 소통의 가능성" 인문사회과학연구소 19 (19): 261-287, 2018

      1 박인철, "현상학과 상호문화성" 아카넷 2015

      2 찰스 테일러, "현대사회와 인권" 나남 1998

      3 국가인권위원회, "한국사회의 인종차별 실태와 인종차별철폐를 위한법제화 연구" 2019

      4 한건수, "한국사회의 다문화주의 혐오증과 실패론: 어떤 다문화주의인가?" 대구카톨릭대학교 다문화연구소 1 : 113-143, 2012

      5 류지석 ; 장세룡, "프랑스 방리유 문제와 이민자 통합정책 - 차별과 배제의 공간정치 -" 대구사학회 111 : 277-308, 2013

      6 법무부, "출입국외국인정책 통계월보, 2022년 2월호"

      7 로앤비, "재한외국인 처우 기본법"

      8 고봉진, "자유주의적 관용의 역사적 전개와 그 한계" 한국법철학회 19 (19): 153-176, 2016

      9 최진우, "유럽 다문화사회의 위기와 유럽통합"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2 : 31-62, 2012

      10 장정아, "아리스토텔레스의 ‘우정’을 통한 상호문화적 소통의 가능성" 인문사회과학연구소 19 (19): 261-287, 2018

      11 주광순, "상호문화 철학의 논리와 실천" 시와 진실 2010

      12 이정은, "다문화주의와 상호문화주의의 대결 - 한국적 적용을 위한 연구 -"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8 (28): 191-234, 2017

      13 이택광, "다문화주의를 넘어서: Charles Taylor와 Slavoj Žižek의 이론을 중심으로" 국제언어인문학회 13 (13): 121-139, 2011

      14 홍기원, "다문화정책의 방향과 문화적 지원방안 연구" 한국문화관광정책연구원 2006

      15 로앤비, "다문화가족지원법"

      16 주광순, "다문화 시대의 상호문화철학" 부산대학교출판부 2017

      17 웬디 브라운, "관용-다문화제국의 새로운 통치전략" 갈무리 2010

      18 최현덕, "경계와 상호문화성 - 상호문화 철학의 기본 과제" 인문학연구소 66 : 301-329, 2009

      19 Mall, R. A., "Tradition und Rationalität: Eine interkulturelle Philosophische Perspektive" 2006

      20 Slavoj Žižek, "Liberal multiculturalism masks an old barbarism with a human face"

      21 P. Savidan, "Le Multiculturalisme" PUF 2009

      22 W. Welsch, "Hochschule als transkultureller Raum? : Kultur, Bildung und Differenz in der Universität" transcript 2010

      23 Mall, R. A., "Ethik und Politik aus interkulturelle Sicht" 1996

      24 Raúl Fornet-Betancourt, "Beiträge zur interkulturellen Zeitdiagnose" 201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