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째, "문화다양성, 문화정체성 그리고 함께 하는 삶"에서는 인문학강좌의 전체를 포괄하는 입문적인 성격을 지닌다. 여기서는 결혼여성이민자들의 인권과 차별개선의 맥락에서 결혼여성이...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704352
2008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첫째, "문화다양성, 문화정체성 그리고 함께 하는 삶"에서는 인문학강좌의 전체를 포괄하는 입문적인 성격을 지닌다. 여기서는 결혼여성이민자들의 인권과 차별개선의 맥락에서 결혼여성이...
첫째, "문화다양성, 문화정체성 그리고 함께 하는 삶"에서는 인문학강좌의 전체를 포괄하는 입문적인 성격을 지닌다. 여기서는 결혼여성이민자들의 인권과 차별개선의 맥락에서 결혼여성이민자들의 문화적 권리를 구축, 정립 그리고 옹호하는 인문학 강좌를 제공한다. 둘째, “효과적인 상호문화 커뮤니케이션을 위하여”에서는 각국의 문화가 서로 다름에서 기인하는 언어적, 비언어적 표현 방식의 차이를 다양한 사례중심을 통해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본 강좌는 인간관계, 갈등처리과정, 의사결정 방법 등 커뮤니케이션 과정에서 돌출될 수 있는 오해와 갈등을 상호 이해라는 관계로 발전시킬 수 있는 방법에 초점을 맞춰 효과적인 상호문화 커뮤니케이션을 유도함으로써 사회통합 증진에 기여한다. 셋째, “지역 방언을 포함한 한국어와 지역 문화 이해하기”에서는 먼저 제천 지역에 거주하는 결혼이민자들이 제천 지역에 원활하게 정착하기 위해서는 왜 표준어 이외에 제천 지역 방언까지 알고 있어야 하는지 그 필요성에 대해 설명한다. 넷째, “한국역사와 전통문화 알아가기”에서는 결혼과 함께 한국에 정착하여 살아가고 있는 결혼여성이민자들의 한국사회 및 문화, 가족 간의 소통과 어울림을 위해 한국 역사와 문화를 소개한다. 한국 역사 및 문화의 특징을 살펴봄으로써 아시아 속에서의 한국을 이해하고, 지나온 한국역사를 알아감으로써 현재의 한국을 이해할 수 있는 시간을 마련해 본다. 다섯째, “나와 같은 그러나 나와 다른 사람들”에서는 나와 같은 사람이면서 동시에 나와 다른 차이적 존재로서의 남성과 여성, 한국 남성 문화와 결혼이주자 여성 본국 문화, 본토 남성과 이주 여성이라는 중첩된 시각에서 살펴보도록 한다. 여섯째, “가족들의 갈등예방 및 극복을 돕는 삶의 기술”에서는 열악한 상황 속에서 심리적으로 매우 위축되어 삶의 고통에 노출되기 쉬운 결혼여성이민자와 그 가족들에게 그들의 삶의 도전과 희망을 지켜낼 수 있는 삶의 기술을 소개하고자 한다. 일상에서의 ‘화’와 스트레스의 요인과 과정을 면밀하게 살펴봄으로써 주어진 상황을 선택하거나 바꿀 수 없는 경우일지라도 상황에 대한 대응방식을 선택할 수 있는 선택권은 바로 우리 자신이 가지고 있다는 것을 자각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