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OpenAccess

      역사를 문학으로 번역하기 그리고 반공 내셔널리즘-반공 내셔널리즘을 묻는다 = The Way to Translated History into Literature and Anti-communist Nationalism-Inquire about Anti-communist Nationalis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17945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 analyzed Oh Young-Jin, Kim Dong-Li, Kim I-Seok and Cha Beom- Seok’s works which translated the history such as the event in Yeosun and the Korean War into literature. These works show tragedy event of national purification by state power like mass slaughter and they are good samples which represent that the Korean history is the history of national expansion and non-national suppression. Self-internalization of anti-communist nationalism is the way to accept ruined reality and it causes nihilism which neutralizes the hope of changes unlike the author’s intention. Making the nation privatize and memorize through firm anti- communist nationalism is the result of ideological uselessness by the author. It seems that the works which translated the event in Yeosun and the Korean War into literature reproduce the historical events, but they are fiction named reality. Their works is mirror which covers up the scene of a insane bloodbath which is concealed behind pure world through anti-communist after the division of Korea In this aspect, it is very dangerous to translated history into these authors’ works.
      번역하기

      I analyzed Oh Young-Jin, Kim Dong-Li, Kim I-Seok and Cha Beom- Seok’s works which translated the history such as the event in Yeosun and the Korean War into literature. These works show tragedy event of national purification by state power like mass...

      I analyzed Oh Young-Jin, Kim Dong-Li, Kim I-Seok and Cha Beom- Seok’s works which translated the history such as the event in Yeosun and the Korean War into literature. These works show tragedy event of national purification by state power like mass slaughter and they are good samples which represent that the Korean history is the history of national expansion and non-national suppression. Self-internalization of anti-communist nationalism is the way to accept ruined reality and it causes nihilism which neutralizes the hope of changes unlike the author’s intention. Making the nation privatize and memorize through firm anti- communist nationalism is the result of ideological uselessness by the author. It seems that the works which translated the event in Yeosun and the Korean War into literature reproduce the historical events, but they are fiction named reality. Their works is mirror which covers up the scene of a insane bloodbath which is concealed behind pure world through anti-communist after the division of Korea In this aspect, it is very dangerous to translated history into these authors’ work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여순 사건과 한국 전쟁과 같은 역사를 문학으로 번역하는 작업을 한 오영진, 김동리, 김이석, 차범석의 작품들을 분석하였다. 특히 김동리나 차범석의 문제작은 여순 사건과 한국 전쟁 당시 민간인 집단 학살이라는 권력과 국민에 의한 민족 정화의 비참한 사례를 번역한 것으로, 대한민국의 역사가 국민의 확장과 비국민의 억압의 역사임을 반증하는 하는 좋은 본보기이다. 여기서 반공 내셔널리즘의 자기 내면화는 황폐한 현실을 그대로 승인하는 방법이다. 이미 견고하게 짜인 반공 내셔널리즘의 틀 위에서 사유하고 기억하도록 코드화하게 만드는 것이 바로 작가가 펼쳐 보인 이념 무용론의 결과이다. 특히 문제의 핵심인 여순 사건과 한국 전쟁을 문학으로 번역한 작품들은 역사적 사실을 재현한 것 같지만 실제로는 사실이라 명명되는 허구이다. 이들의 문제작은 순수한 세계의 이면에 감추어진 단정 수립 이후 반공으로 가려진 광기와 살육의 현장을 은폐하는 매우 탁월한 반사경이다. 그래서 ‘공식적인’ 역사를 번역하는 문학적 실천은 정치적으로 매우 위험한 것이다. 여기서 양귀비가 마약 중독의 원료가 되듯이, 번역된 역사는 반공 내셔널리즘의 원료가 된다.
      번역하기

      이 글은 여순 사건과 한국 전쟁과 같은 역사를 문학으로 번역하는 작업을 한 오영진, 김동리, 김이석, 차범석의 작품들을 분석하였다. 특히 김동리나 차범석의 문제작은 여순 사건과 한국 전...

      이 글은 여순 사건과 한국 전쟁과 같은 역사를 문학으로 번역하는 작업을 한 오영진, 김동리, 김이석, 차범석의 작품들을 분석하였다. 특히 김동리나 차범석의 문제작은 여순 사건과 한국 전쟁 당시 민간인 집단 학살이라는 권력과 국민에 의한 민족 정화의 비참한 사례를 번역한 것으로, 대한민국의 역사가 국민의 확장과 비국민의 억압의 역사임을 반증하는 하는 좋은 본보기이다. 여기서 반공 내셔널리즘의 자기 내면화는 황폐한 현실을 그대로 승인하는 방법이다. 이미 견고하게 짜인 반공 내셔널리즘의 틀 위에서 사유하고 기억하도록 코드화하게 만드는 것이 바로 작가가 펼쳐 보인 이념 무용론의 결과이다. 특히 문제의 핵심인 여순 사건과 한국 전쟁을 문학으로 번역한 작품들은 역사적 사실을 재현한 것 같지만 실제로는 사실이라 명명되는 허구이다. 이들의 문제작은 순수한 세계의 이면에 감추어진 단정 수립 이후 반공으로 가려진 광기와 살육의 현장을 은폐하는 매우 탁월한 반사경이다. 그래서 ‘공식적인’ 역사를 번역하는 문학적 실천은 정치적으로 매우 위험한 것이다. 여기서 양귀비가 마약 중독의 원료가 되듯이, 번역된 역사는 반공 내셔널리즘의 원료가 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유민영, "한국현대희곡사" 새미 1997

      2 김성칠, "창작과 비평사" 1993

      3 강웅식, "전체주의적 반공주의와 순수?참여 논쟁-이어령과 김수영의 ‘불온시’ 논쟁을 중심으로" 15 : 195-227, 2005.8

      4 김동춘, "전쟁과 사회??(개정판)" 돌베게 2006

      5 박정석, "전쟁과 고통:여순사건에 대한 기억" 역사문제연구소 (64) : 335-361, 2003

      6 김귀옥, "이산가족, ‘반공전사’도 ‘빨갱이’도 아닌…??" 역사비평사 2004

      7 유임하, "이데올로기의 억압과 공포 -반공 텍스트의 기원과 유통, 1950년대 소설의 왜곡" 한국현대소설학회 (25) : 55-76, 2005

      8 임종명, "여순사건의 재현과 공간(空間)" 19 : 151-185, 2005.3

      9 임종명, "여순사건과 재현과 폭력" 32 : 103-132, 2005

      10 김득중, "여순사건과 이승만 반공체제의 구축" 1-338, 2004

      1 유민영, "한국현대희곡사" 새미 1997

      2 김성칠, "창작과 비평사" 1993

      3 강웅식, "전체주의적 반공주의와 순수?참여 논쟁-이어령과 김수영의 ‘불온시’ 논쟁을 중심으로" 15 : 195-227, 2005.8

      4 김동춘, "전쟁과 사회??(개정판)" 돌베게 2006

      5 박정석, "전쟁과 고통:여순사건에 대한 기억" 역사문제연구소 (64) : 335-361, 2003

      6 김귀옥, "이산가족, ‘반공전사’도 ‘빨갱이’도 아닌…??" 역사비평사 2004

      7 유임하, "이데올로기의 억압과 공포 -반공 텍스트의 기원과 유통, 1950년대 소설의 왜곡" 한국현대소설학회 (25) : 55-76, 2005

      8 임종명, "여순사건의 재현과 공간(空間)" 19 : 151-185, 2005.3

      9 임종명, "여순사건과 재현과 폭력" 32 : 103-132, 2005

      10 김득중, "여순사건과 이승만 반공체제의 구축" 1-338, 2004

      11 임종명, "여순'반란' 재현을 통한 대한민국의 형상화" 역사문제연구소 (64) : 304-334, 2003

      12 김득중, "여순 사건과 이승만정권의 반공이데올로기 공세" 14 : 11-54, 2004.12

      13 박유하, "상상된 미 의식과 민족적 정체성-야나기 무네요시와 근대 한국의 자기 구성" 삼인 322-346, 2002.4

      14 차범석, "산불(외)??" 범우사 1999

      15 酒井直樹, "번역과 주체" 이산 2005

      16 강진호, "반공의 규율과 작가의 자기 검열-??남과 북??(홍성원)의 개작을 중심으로" 15 : 229-269, 2005.8

      17 남원진, "반공(反共)의 국민화, 반반공(反反共)의 회로-반공 내셔널리즘을 묻는다" 40 : 321-354, 2007.8

      18 조관자, "민족의 힘’을 욕망한 ‘친일 내셔널리스트’ 이광수" 삼인 322-346, 2002.4

      19 유임하, "마음의 검열관, 반공주의와 작가의 자기 검열-김승옥의 경우" 15 : 129-155, 2005.8

      20 차혜영, "국어 교과서와 지배 이데올로기-1차~4차 교육과정기 중?고등학교 국어교과서를 중심으로" 15 : 99-128, 2005.8

      21 범국민위원회, "계속되는 학살, 그 눈물 닦일 날은…" 한국전쟁 후 민간인학살 진상규명 범국민위원회 2006

      22 임경순, "검열논리의 내면화와 문학의 정치성" 상허학회 18 : 180-201, 2006

      23 Spivak, G. C, "Outside in the Teaching Machine" Routledge 1993

      24 Hobsbawm, E, "On History" The New Press 1997

      25 김호균, "?해남?완도의 ‘나주부대’ 양민학살사건?" 140-144, 1992

      26 임지현, "?한반도 민족주의와 권력 담론?" 당대비평 199-200, 2000

      27 김득중, "?한국전쟁 전후의 민간인 학살?" 18 : 38-53, 2004

      28 오영진, "?종이 울리는 새벽?" 399-443, 1958

      29 남상권, "?전후 피난지 체험소설 연구-김이석 소설을 중심으로?" 8 : 295-321, 2002.2

      30 김효석, "?전후 월남작가 연구-월남민 의식과 작품과의 상관관계를 중심으로?" 1-146, 2006

      31 이봉범, "?전후 문학 장의 재편과 잡지 ??문학예술???" 20 : 271-309, 2007.6

      32 정영태, "?일제말 미군정기 반공이데올로기의 형성?" 126-138, 1992

      33 오영진, "?운명과 기회?" 47-70, 1969

      34 김진기, "?반공호국문학의 구조?" 10 : 347-379, 2007.6

      35 김진기, "?반공주의와 자유주의-선우휘의 ?불꽃?을 중심으로?" 25 : 29-53, 2005.3

      36 이봉범, "?반공주의와 검열 그리고 문학?" 15 : 49-98, 2005.8

      37 김진기, "?반공에 전유된 자유 혹은 자유주의?" 15 : 157-193, 2005.8

      38 남원진, "?반공국가의 법적 장치와 <예술원>의 성립 과정 연구?" 38 : 195-222, 2007.6

      39 차범석, "?무엇을 어떻게 쓸 것인가?" 신구문화사 ??현대한국문학전?? 9 : 496-499, 1966

      40 김동리, "?눈발속의 부두" 육군본부 정훈감실 ??전쟁문학?? : 3-34, 1962

      41 김한식, "?김동리의 순수문학론의 세 층위-반공주의와 순수문학의 상동성을 중심으로?" 15 : 11-47, 2005.8

      42 강준만, "??희생양과 죄의식??" 개마고원 2004

      43 김성희, "??한국 현대희곡 연구??" 태학사 1998

      44 조현연, "??한국 현대정치의 악몽??" 책세상 2000

      45 유임하, "??한국 소설의 분단 이야기??" 책세상 2006

      46 김동리, "??통일의 길??" 한국문인협회 편 휘문출판사 126-137, 1969

      47 Morris-Suzuki, T, "??우리 안의 과거??" 휴머니스트 2006

      48 한옥근, "??오영진 연구??" 1993

      49 임철우, "??아버지의 땅?? 문학과 지성사" 1984

      50 오영진, "??소군정하의 북한?? 국토통일원 조사연구실" 1983

      51 Anderson, B, "??상상의 공동체??" 나남출판 2002

      52 Benjamin, "??발터 벤야민의 문예이론??" 1983

      53 권혁범, "??민족주의와 발전의 환상??" 솔 2000

      54 McLaughlin, "??문학연구를 위한 비평용어??" 한신문화사 1994

      55 柄谷行人, "??근대문학의 종언??" 도서출판 b 2005

      56 西川長夫, "??국민이라는 괴물??" 소명 2002

      57 "??구상문학선??" 성바오르출판사 1975

      58 Spivak, G. C, "??교육기계 안의 바깥에서??" 갈무리 2006

      59 차범석, "??거부하는 몸짓으로 사랑했노라??" 1984

      60 김한식, "???백민??과 민족문학-해방 후 우익 문단의 형성?" 20 : 231-270, 2007.6

      61 차범석, "?6?25와 연극?" 15-9 18, 199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20-03-12 학회명변경 영문명 : Sanghur Hakbo-The Jounal Of Korean Modern Literature -> The Learned Society of Sanghur’s Literature KCI등재
      2020-03-1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Leaned Society of sanghur`s Literature -> Sanghur Hakbo: The Journal of Korean Modern Literature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4 1.14 1.1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5 1.21 2.23 0.9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