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글 자모 필순 지도에 대한 고찰 = A study on korean alphabet stroke order teachi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28171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한글 자모의 필순 지도의 특징 탐색, 필순 지도의 효과 검증, 필순을 고려한 한글 자모 쓰기의 오류 유형 분석을 목적으로 한다. 이 연구에서는 한글 자모의 필순 지도에 주목하여 한글 자모의 필순 지도의 시대적 변화 양상을 고찰하고, 한글 자모 필순의 원칙을 밝혔다. 그리고 한글 자모의 필순 지도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필순을 고려한 한글 자모 쓰기가 글씨를 빠르게 쓰기와 글씨를 균형 있게 쓰기에 영향을 미치는지, 미치는 수준은 어떠한지를 밝혔다. 본 연구는 한글 자모의 필순 지도를 실증적으로 연구하여, 한글 자모 필순 지도의 시대적 변화 흐름과 원칙을 고찰하고, 지도 효과를 검증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한글 자모의 필순 지도의 특징 탐색, 필순 지도의 효과 검증, 필순을 고려한 한글 자모 쓰기의 오류 유형 분석을 목적으로 한다. 이 연구에서는 한글 자모의 필순 지도에 주목하여 ...

      이 연구는 한글 자모의 필순 지도의 특징 탐색, 필순 지도의 효과 검증, 필순을 고려한 한글 자모 쓰기의 오류 유형 분석을 목적으로 한다. 이 연구에서는 한글 자모의 필순 지도에 주목하여 한글 자모의 필순 지도의 시대적 변화 양상을 고찰하고, 한글 자모 필순의 원칙을 밝혔다. 그리고 한글 자모의 필순 지도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필순을 고려한 한글 자모 쓰기가 글씨를 빠르게 쓰기와 글씨를 균형 있게 쓰기에 영향을 미치는지, 미치는 수준은 어떠한지를 밝혔다. 본 연구는 한글 자모의 필순 지도를 실증적으로 연구하여, 한글 자모 필순 지도의 시대적 변화 흐름과 원칙을 고찰하고, 지도 효과를 검증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xplore characteristics of the guidance for Teaching the Korean alphabet in the stroke order and verify its effects, analyzing error types of the Korean alphabet Teaching in the stroke order. Paying attention to writing of the Korean alphabet in the stroke order, this research examined periodic transitions of the guidance for writing the Korean alphabet in the stroke order and identified its principles. Beside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guidance for the Korean alphabet in the stroke order, it demonstrated what effects and how much writing of the Korean alphabet in the stroke order has on fast and balanced writing.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it examined periodic transitions and principles of writing of the Korean alphabet in the stroke order and evidenced the effects of the guidance based on the empirical research on writing of the Korean alphabet in the stroke order.
      번역하기

      This study aims to explore characteristics of the guidance for Teaching the Korean alphabet in the stroke order and verify its effects, analyzing error types of the Korean alphabet Teaching in the stroke order. Paying attention to writing of the Korea...

      This study aims to explore characteristics of the guidance for Teaching the Korean alphabet in the stroke order and verify its effects, analyzing error types of the Korean alphabet Teaching in the stroke order. Paying attention to writing of the Korean alphabet in the stroke order, this research examined periodic transitions of the guidance for writing the Korean alphabet in the stroke order and identified its principles. Beside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guidance for the Korean alphabet in the stroke order, it demonstrated what effects and how much writing of the Korean alphabet in the stroke order has on fast and balanced writing.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it examined periodic transitions and principles of writing of the Korean alphabet in the stroke order and evidenced the effects of the guidance based on the empirical research on writing of the Korean alphabet in the stroke order.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이곤, "한자의 필순에 대한 고찰 -좌우 대칭되는 한자의 필순" 한국한문교육학회 6 : 152-162, 1992

      2 한연석, "한문교육용 기초한자의 필순 考" 한국한문교육학회 (41) : 261-292, 2013

      3 이경화, "한글 해득 능력이 학급 공동체네트워크 형성에 미치는 영향" 청람어문교육학회 (59) : 133-158, 2016

      4 고은선, "평가방법에 따른 한자필순 점수의 차이분석" 한국한문교육학회 (40) : 323-345, 2013

      5 심영택, "초등학교 저학년 기초 문식성 교수 학습 방법-‘개미[ㅐ]와 베짱이[ㅔ]’가르치기-"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42) : 129-161, 2010

      6 교육과학기술부, "초등학교 국어 1-1 교사용 지도서" 2009

      7 교육부, "초등학교 국어 1-1 교사용 지도서" 2000

      8 교육과학기술부, "초등학교 국어 1 교사용 지도서" 2013

      9 정종성, "초등학교 1학년 아동의 자모 인식, 단어 해독, 읽기 유창성 발달 양상 탐색" 한국초등교육학회 28 (28): 113-131, 2015

      10 교육부, "초등학교 1~2학년군 국어 1-1 교사용 지도서" 2017

      1 김이곤, "한자의 필순에 대한 고찰 -좌우 대칭되는 한자의 필순" 한국한문교육학회 6 : 152-162, 1992

      2 한연석, "한문교육용 기초한자의 필순 考" 한국한문교육학회 (41) : 261-292, 2013

      3 이경화, "한글 해득 능력이 학급 공동체네트워크 형성에 미치는 영향" 청람어문교육학회 (59) : 133-158, 2016

      4 고은선, "평가방법에 따른 한자필순 점수의 차이분석" 한국한문교육학회 (40) : 323-345, 2013

      5 심영택, "초등학교 저학년 기초 문식성 교수 학습 방법-‘개미[ㅐ]와 베짱이[ㅔ]’가르치기-"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42) : 129-161, 2010

      6 교육과학기술부, "초등학교 국어 1-1 교사용 지도서" 2009

      7 교육부, "초등학교 국어 1-1 교사용 지도서" 2000

      8 교육과학기술부, "초등학교 국어 1 교사용 지도서" 2013

      9 정종성, "초등학교 1학년 아동의 자모 인식, 단어 해독, 읽기 유창성 발달 양상 탐색" 한국초등교육학회 28 (28): 113-131, 2015

      10 교육부, "초등학교 1~2학년군 국어 1-1 교사용 지도서" 2017

      11 노명완, "초등 저학년을 위한 문식성 교육"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42) : 5-50, 2010

      12 한경숙, "초기 쓰기에 대한 최근 연구 동향과 과제 -국내․외 2000년부터 2011년 연구를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2 (12): 389-408, 2012

      13 교육부, "제7차 국어과 교육과정"

      14 교육부, "제6차 국민학교 교육과정"

      15 문교부, "제5차 국민학교 교육과정"

      16 문교부, "제4차 국민학교 교육과정"

      17 문교부, "제3차 국민학교 교육과정"

      18 문교부, "제2차 국민학교 교육과정"

      19 문교부, "제1차 국민학교 교육과정"

      20 이경화, "문해 능력 증진을 위한 한글교육 운영 방안" 한국교육개발원 2017

      21 이경화, "기초문식성 지도 내용 및 지도 프로그램 개발 연구"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35) : 167-188, 2007

      22 이경화, "국어교과서 개발을 위한 기초문식성지도 실태와 인식 조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7 (7): 277-308, 2007

      23 군정청 문교부, "교수요목집" 1946

      24 Hall, A. H., "Exploring Interactive Writing as an Effective Practice for Increasing Head Start Students’ Alphabet Knowledge Skills" 42 (42): 423-430, 2014

      25 ARAM, D., "Early literacy interventions: The relative roles of storybook reading, alphabetic activities, and their combination" 19 (19): 489-515, 2006

      26 교육부,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27 교육과학기술부, "2011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28 교육인적자원부, "2007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10-1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CheongRam Korean Language Educatiln -> Journal of CheongRam Korean Language Education KCI등재
      2017-05-18 학회명변경 영문명 : Journal Of Cheongram Korean Language Education -> Cheongram Korean Language Education Association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7 1.07 1.1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4 1.04 1.728 0.1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