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국립대학 생활관의 침실, 거실, 식사실의 유형적 특성에 따른 이용자 평가 연구 = The Evaluation Research of the Dormitory Dwellers on the Types of Bed Room, Living Room, and Dinning Room in the National Universi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05665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전국 국립대학 28개 생활관을 대상으로 침실, 거실, 식사실의 유형적 실태분석과 제안적으로 설정한 접근성, 혼잡성, 시설의 질 등 3가지 평가지표별 이용자 만족도 평가를 실시하였다. 실태는 침실은 ‘2인침실형’이 66.7%, ‘4인침실형’이 14.3%였으며, 거실은 ‘거실+3침실’형이 40.6%, ‘거실+2침실형’이 28.1%이고, 식사실은 위치별 ‘별동식’이 35.7%, 규모별 ‘300∼800석’타입이 40.3%, 식당회전율 ‘2회 미만’이 26.0%였다. 또 평균 만족도는 침실이 3.50, 거실이 3.31, 식사실이 3.38로 나타났고, 이들 각 실의 접근성, 혼잡성, 시설의 질에 대한 만족도는 평면적 유형에 따라 차별화되고 다양하였다. 이를 통해 얻은 결론은 이들 유형화된 평면유형별 실태, 선호도, 만족도조사를 통해 생활관의 현재실태 및 미래지향적 변화의 흐름을 이해 할 수 있었고, 향후 생활관 시설계획에 유용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번역하기

      전국 국립대학 28개 생활관을 대상으로 침실, 거실, 식사실의 유형적 실태분석과 제안적으로 설정한 접근성, 혼잡성, 시설의 질 등 3가지 평가지표별 이용자 만족도 평가를 실시하였다. 실태...

      전국 국립대학 28개 생활관을 대상으로 침실, 거실, 식사실의 유형적 실태분석과 제안적으로 설정한 접근성, 혼잡성, 시설의 질 등 3가지 평가지표별 이용자 만족도 평가를 실시하였다. 실태는 침실은 ‘2인침실형’이 66.7%, ‘4인침실형’이 14.3%였으며, 거실은 ‘거실+3침실’형이 40.6%, ‘거실+2침실형’이 28.1%이고, 식사실은 위치별 ‘별동식’이 35.7%, 규모별 ‘300∼800석’타입이 40.3%, 식당회전율 ‘2회 미만’이 26.0%였다. 또 평균 만족도는 침실이 3.50, 거실이 3.31, 식사실이 3.38로 나타났고, 이들 각 실의 접근성, 혼잡성, 시설의 질에 대한 만족도는 평면적 유형에 따라 차별화되고 다양하였다. 이를 통해 얻은 결론은 이들 유형화된 평면유형별 실태, 선호도, 만족도조사를 통해 생활관의 현재실태 및 미래지향적 변화의 흐름을 이해 할 수 있었고, 향후 생활관 시설계획에 유용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1. 서론
      •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 2. 생활관 시설의 유형화 및 만족도 평가지표
      • Abstract
      • 1. 서론
      •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 2. 생활관 시설의 유형화 및 만족도 평가지표
      • 2.1 평가대상 선정및 유형화
      • 2.2 만족도 평가요인 및 지표 설정
      • 3. 유형별 실태, 선호도, 시대별 변화추이
      • 3.1 유형별 실태 및 선호도
      • 3.2 시대별 변화추이
      • 4. 평가지표별 만족도 분석
      • 4.1 만족도 분석을 위한 독립변인 특성
      • 4.2 유의성 검증 및 교차분석
      • 4.3 평균 만족도 평가분석
      • 4.4 종합고찰
      • 5. 요약 및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교육인적자원부, "대학통계자료, 2008, 2009, 2010, 2011, 2012"

      2 전국국립대학, "대학생활관 관계자회의자료(2008~2012)"

      3 염대봉, "대학기숙사의 입지유형이 기숙사생들의 거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16 (16): 53-63, 2014

      4 정훈, "대학기숙사의 시설현황 및 만족도에 관한 조사 연구 : 전라남도, 전라북도 지역 국립대학을 중심으로" 전남대 2005

      5 정정갑, "대학기숙사 건축의 평면유형별 거주 후 평가 : 전남,광주지역소재 대학기숙사를 대상으로" 전남대 2002

      6 박행자, "대학기숙사 거주환경의 인과분석 연구" 조선대대학원 2008

      7 Altman I, "The environment and social behavior : privacy, personal space, territoriality and crowding" Books/Cole 1975

      8 Amos Rapoport, "Human Aspects of Urban Form" Pergamon Press 1977

      9 Charles J. Holahan, "Environmental Psychology" Random House 1982

      10 Douglas Porteous, "Environment and Behavior : planning and everyday urban life" Addison-Wesley Publishing Co 1977

      1 교육인적자원부, "대학통계자료, 2008, 2009, 2010, 2011, 2012"

      2 전국국립대학, "대학생활관 관계자회의자료(2008~2012)"

      3 염대봉, "대학기숙사의 입지유형이 기숙사생들의 거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16 (16): 53-63, 2014

      4 정훈, "대학기숙사의 시설현황 및 만족도에 관한 조사 연구 : 전라남도, 전라북도 지역 국립대학을 중심으로" 전남대 2005

      5 정정갑, "대학기숙사 건축의 평면유형별 거주 후 평가 : 전남,광주지역소재 대학기숙사를 대상으로" 전남대 2002

      6 박행자, "대학기숙사 거주환경의 인과분석 연구" 조선대대학원 2008

      7 Altman I, "The environment and social behavior : privacy, personal space, territoriality and crowding" Books/Cole 1975

      8 Amos Rapoport, "Human Aspects of Urban Form" Pergamon Press 1977

      9 Charles J. Holahan, "Environmental Psychology" Random House 1982

      10 Douglas Porteous, "Environment and Behavior : planning and everyday urban life" Addison-Wesley Publishing Co 197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9 0.29 0.2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7 0.25 0.534 0.0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