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체육수업 학습자의 기본심리욕구와 친·반사회적 행동과의 관계에서 경쟁성향의 매개역할 =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Need Satisfaction and Pro-Anti Social Behavior in Competition: The Mediation Effect of Contest Orient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79620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체육수업 학습자의 기본심리욕구, 친사회적 행동과 반사회적 행동 간의 관계에서 경쟁성향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는 체육활동에서 경쟁의 의미와 가치에 대해 교사와 학생들의 이해를 돕고, 교육적인 의미와 시사점을 제공하는 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연구대상은 편의표본추출방식을 통해 수도권에 소재한 중고등학교 학생 324명(남학생=170; 여학생=154)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기본심리욕구는 협력적 경쟁성향 및 친사회적 행동과 정적(+)으로 예측하였고, 협력적 경쟁성향은 기본심리욕구와 친사회적 행동 간의 관계에서 매개하는 것으로 확인되면서 매개 효과가 검증되었다. 반면에 기본심리욕구는 대립적 경쟁성향을 예측하지 못했으며, 대립적 경쟁성향은 반사회적 행동을 정적(+)으로 예측하였다. 경쟁은 교육적으로 청소년들의 사회적 기능과 발달에 있어 매우 중요한 구성요소이다. 체육수업 내 경쟁 중심의 학습활동이 협력 중심의 활동으로 인식될 때, 경쟁은 사회적 기능을 바람직한 방향으로 발달시킬 수 있음을 이 연구를 통해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체육수업 학습자의 기본심리욕구는 협력적 경쟁을 강화하고, 이는 이타심을 함양하고 친사회적 행동을 도모하는 중요한 심리적 요소임을 알 수 있었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체육수업 학습자의 기본심리욕구, 친사회적 행동과 반사회적 행동 간의 관계에서 경쟁성향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는 체육활동에서 경쟁의 의미와 가치에 대해 교사와 학생...

      이 연구는 체육수업 학습자의 기본심리욕구, 친사회적 행동과 반사회적 행동 간의 관계에서 경쟁성향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는 체육활동에서 경쟁의 의미와 가치에 대해 교사와 학생들의 이해를 돕고, 교육적인 의미와 시사점을 제공하는 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연구대상은 편의표본추출방식을 통해 수도권에 소재한 중고등학교 학생 324명(남학생=170; 여학생=154)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기본심리욕구는 협력적 경쟁성향 및 친사회적 행동과 정적(+)으로 예측하였고, 협력적 경쟁성향은 기본심리욕구와 친사회적 행동 간의 관계에서 매개하는 것으로 확인되면서 매개 효과가 검증되었다. 반면에 기본심리욕구는 대립적 경쟁성향을 예측하지 못했으며, 대립적 경쟁성향은 반사회적 행동을 정적(+)으로 예측하였다. 경쟁은 교육적으로 청소년들의 사회적 기능과 발달에 있어 매우 중요한 구성요소이다. 체육수업 내 경쟁 중심의 학습활동이 협력 중심의 활동으로 인식될 때, 경쟁은 사회적 기능을 바람직한 방향으로 발달시킬 수 있음을 이 연구를 통해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체육수업 학습자의 기본심리욕구는 협력적 경쟁을 강화하고, 이는 이타심을 함양하고 친사회적 행동을 도모하는 중요한 심리적 요소임을 알 수 있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test the mediation effect of contest-orientation between psychological needs satisfaction and pro-and-antisocial functioning in competition-oriented activities given in physical education (PE) context. Grounded in contest orientation theory (Shield et al., 2016), we intend to provide educationally-meaningful implications to PE practices. The study design was cross-sectional. We conducted a paper-and-pencil survey with middle-and-high school students (N=324; male=170; female=154) in the metropolitan area, Korea. Analyses show that the mediation effect of contest-orienta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needs satisfaction and social behaviors in PE class. Specifically,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needs satisfaction and prosocial behavior was partially mediated by the contest-orientation for partnership among students during sport-based competitive activities in PE, while the mediation effect of contest-orientation for war was not significant in the relation between psychological needs satisfaction and antisocial behavior. In addition, both the partner and the war orientations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prosocial behavior and antisocial behavior in PE. The competition is an educationally-important component for social functioning and development. Our findings showed that competition-based learning activities in PE can help students develop social function in desirable ways when it is delivered as partnership-oriented activity. In general, PE teachers’ motivating styles are important to support and satisfy students’ psychological needs positively corresponding to contest orientation-partner as the significant predictor of social functioning and development (altruistic behaviors).
      번역하기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test the mediation effect of contest-orientation between psychological needs satisfaction and pro-and-antisocial functioning in competition-oriented activities given in physical education (PE) context. Grounded in contest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test the mediation effect of contest-orientation between psychological needs satisfaction and pro-and-antisocial functioning in competition-oriented activities given in physical education (PE) context. Grounded in contest orientation theory (Shield et al., 2016), we intend to provide educationally-meaningful implications to PE practices. The study design was cross-sectional. We conducted a paper-and-pencil survey with middle-and-high school students (N=324; male=170; female=154) in the metropolitan area, Korea. Analyses show that the mediation effect of contest-orienta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needs satisfaction and social behaviors in PE class. Specifically,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needs satisfaction and prosocial behavior was partially mediated by the contest-orientation for partnership among students during sport-based competitive activities in PE, while the mediation effect of contest-orientation for war was not significant in the relation between psychological needs satisfaction and antisocial behavior. In addition, both the partner and the war orientations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prosocial behavior and antisocial behavior in PE. The competition is an educationally-important component for social functioning and development. Our findings showed that competition-based learning activities in PE can help students develop social function in desirable ways when it is delivered as partnership-oriented activity. In general, PE teachers’ motivating styles are important to support and satisfy students’ psychological needs positively corresponding to contest orientation-partner as the significant predictor of social functioning and development (altruistic behaviors).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