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IB(International Baccalaureate) 교육과정 체계를 기반으로 한 한국 도덕과 교육의 운영을 검토하고 IB 교육과정 체계가 도덕과 교육의 통합적 도덕성 함양에 기여할 수 있는 가능성과 한...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796203
2025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301-335(35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IB(International Baccalaureate) 교육과정 체계를 기반으로 한 한국 도덕과 교육의 운영을 검토하고 IB 교육과정 체계가 도덕과 교육의 통합적 도덕성 함양에 기여할 수 있는 가능성과 한...
본 연구는 IB(International Baccalaureate) 교육과정 체계를 기반으로 한 한국 도덕과 교육의 운영을 검토하고 IB 교육과정 체계가 도덕과 교육의 통합적 도덕성 함양에 기여할 수 있는 가능성과 한계를 분석하여, IB 교육과정이 학교 교육 현장에 기여하기 위한 방향과 과제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IB PYP와 MYP 학교에 재직 중인 도덕 교사 14명을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인터뷰(FGI)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도덕 교사들은 IB 교육과정 체계가 학생 주도의 탐구, 개념 중심 학습, 글로벌 시민성 함양을 통해 도덕과 교육의 지향점과 긴밀히 일치한다고 평가하였다. 그러나 IB 교육을 도덕과에 적용할 때 정의적 영역(감정, 품성 등) 설계의 한계, 도덕과 고유성을 반영한 평가의 어려움, 학습자 간 기초학력 격차 심화 가능성 등 한계점도 함께 지적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도덕과와 IB 교육과정의 정교한 융합 설계, 정의적 영역 평가 체계 개발, 도덕과 고유의 특성과 정체성을 고려한 설계 방안, 기초학력 지원 강화 등의 향후 개선 방향과 과제를 제안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implementation of moral education in Korea based on the International Baccalaureate (IB) curriculum framework and to analyze the potential and limitations of the IB approach in fostering integrated moral development. To ...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implementation of moral education in Korea based on the International Baccalaureate (IB) curriculum framework and to analyze the potential and limitations of the IB approach in fostering integrated moral development. To this end, focus group interviews (FGIs) were conducted with 14 moral education teachers working at IB PYP and MYP schools. The findings indicate that the teachers perceive a strong alignment between the goals of moral education and the IB curriculum, particularly in its emphasis on student-led inquiry, concept-based learning, and the cultivation of global citizenship. However, several challenges were identified in applying the IB framework to moral education, including limitations in designing for the affective domain (e.g., emotions and character), difficulties in developing assessments that reflect the unique nature of moral education, and the potential for exacerbating disparities in students’ basic academic skills. In response, this study proposes future directions and tasks, such as the sophisticated integration of the IB framework with moral education, the development of assessment systems for the affective domain, curriculum designs that reflect the distinct identity of moral education, and strengthened support for improving students’ foundational academic skills.
고등학교 수학 과목 자동문항생성 문항모델의 Q-matrix 타당성 검정 연구
지역사회연계 화장품 속 화학물질 SSI 수업을 통한 여고생의 인식 변화: 메타포 분석을 중심으로
The Characteristics of American Colonization in the Philippine Education and Society
체육수업 학습자의 기본심리욕구와 친·반사회적 행동과의 관계에서 경쟁성향의 매개역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