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의 목표는 최근에 간행된 방언사전들의 특징을 살피고 이를 바탕으로 표현용 방언사전의 편찬 방향을 모색하는 것이다. 그동안 방언사전은 지역의 방언을 보존하기 위한 목적으로 간...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의 목표는 최근에 간행된 방언사전들의 특징을 살피고 이를 바탕으로 표현용 방언사전의 편찬 방향을 모색하는 것이다. 그동안 방언사전은 지역의 방언을 보존하기 위한 목적으로 간...
이 글의 목표는 최근에 간행된 방언사전들의 특징을 살피고 이를 바탕으로 표현용 방언사전의 편찬 방향을 모색하는 것이다. 그동안 방언사전은 지역의 방언을 보존하기 위한 목적으로 간행되어 왔다. 이러한 목적은2015년이후에 간행된 방언사전에도 동일하게 반영되어 있다. 그러나 ‘방언 보존’ 의 보다 적극적인 의미는 방언이 일상생활에서 쓰이도록 하는 것이다. 표현용 방언사전의 간행 필요성이 바로 이 지점에 있다. 최근 제주 방언에 대한표현용 사전이 발간된 것은 매우 고무적인 일이라 하겠다.
표현용 방언사전을 간행할 때 고려해야 할 것으로 이용 대상, 거시 구조, 미시 구조를 살펴보았다. 먼저, 표현용 방언사전의 이용 대상은 방언 비모어 화자 또는 외국인 화자이다. 이 글에서는 외국인을 위한 표현용 방언사전에 초점을 맞춰 이후 논의를 진행하였다. 다음으로, 사전의 거시 구조에대해서는 표제어의 규모와 배열에 관한 문제를 논하였다. 기존 방언사전은‘사어’나 ‘이해어’도 가급적 사전에 올려두고자 하였으나 표현용 사전은 실제 생활에서 사용하는 단어, 즉 표현 어휘 위주로 표제어를 정할 필요가 있다. 이를 정하는 방법으로 이 글에서는 한국어 기초어휘 목록이나 한국어학습자용 어휘 목록 등을 참고할 것을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표현용 방언사전의 미시 구조와 관련해서는 뜻풀이와 용례를 중심으로 다음과 같은 내용을 제안하였다. 뜻풀이는 모든 표제어에 제시해 주는 것이 좋으며,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 사전임을 감안하여 쉬운 말로 풀이하는 것이 좋다. 아울러 사전 이용자들이 방언 어휘를 보다 정확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문법, 화용 정보도 같이 제시해 주어야 한다. 용례는 뜻풀이에서 제시한 쓰임을잘 보여줄 수 있는 예문을 들어 주어야 한다. 그래서 인용례보다는 작성례가 적절하며, 실제 언어생활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대화 용례도 포함되어야한다.
참고문헌 (Reference)
1 조미옥, "한영사전의 역사와 성격" 한국영어과교육학회 1 (1): 119-142, 2002
2 이홍식, "한영사전의 사전학적 고찰 -『민중 엣센스 한영사전』을 중심으로" 한국어학회 42 : 221-256, 2009
3 이준환, "한국어 학습용 『한국어기초사전』의 특징과 분석" 사림어문학회 23 : 245-278, 2013
4 김종학, "한국어 기초어휘론" 박이정 2001
5 정승철, "한국 방언자료집 편찬의 역사" 한국방언학회 (20) : 7-35, 2014
6 최경봉, "특수사전 편찬의 현황과 과제" 59-86, 2008
7 성기각, "창녕방언사전" 북인 2019
8 김학준, "제줏말 작은사전" 제라헌 2021
9 강영봉, "제주어 기초어휘 활용 사전" 한그루 2021
10 정선문화원, "정선 방언 사전" 더메이커 2017
1 조미옥, "한영사전의 역사와 성격" 한국영어과교육학회 1 (1): 119-142, 2002
2 이홍식, "한영사전의 사전학적 고찰 -『민중 엣센스 한영사전』을 중심으로" 한국어학회 42 : 221-256, 2009
3 이준환, "한국어 학습용 『한국어기초사전』의 특징과 분석" 사림어문학회 23 : 245-278, 2013
4 김종학, "한국어 기초어휘론" 박이정 2001
5 정승철, "한국 방언자료집 편찬의 역사" 한국방언학회 (20) : 7-35, 2014
6 최경봉, "특수사전 편찬의 현황과 과제" 59-86, 2008
7 성기각, "창녕방언사전" 북인 2019
8 김학준, "제줏말 작은사전" 제라헌 2021
9 강영봉, "제주어 기초어휘 활용 사전" 한그루 2021
10 정선문화원, "정선 방언 사전" 더메이커 2017
11 소강춘, "전라북도 방언사전" 전라북도 2021
12 박미연, "이야기가 있는 방언사전" 학교도서관저널 2020
13 배주채,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사전 개관" 한국사전학회 (14) : 7-51, 2009
14 배주채,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사전의 방향" 성심어문학회 23 : 39-67, 2001
15 성낙수, "외국인ㆍ결혼 이주자의 한국어 방언 교육에 대하여 ―초ㆍ중등학교 학생들의 자료를 중심으로―" 한국문법교육학회 17 : 131-164, 2012
16 이상규, "시어 방언 사전" 역락 2015
17 김봉국, "소·핵방언권 방언자료집의 체재와 성과" 한국방언학회 (20) : 73-105, 2014
18 정승철, "방언의 발견" 창비 2018
19 조남호, "방언사전의 편찬 방향-표제어 선정과 뜻풀이를 중심으로-" 한국사전학회 (23) : 263-290, 2014
20 이준환, "방언사전의 방언 어휘 수록 및 기술 현황, 성과와 한계" 인문학연구소 77 : 70-109, 2015
21 김영태, "방언사전 편찬 방법론" 경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6 : 55-94, 1994
22 말모이 편찬위원회, "말모이, 1·2" 시공사 2021
23 곽충구, "두만강 유역의 조선어 방언 사전, 1·2" 태학사 2019
24 소신애, "대방언권 자료집의 체재와 성과" 한국방언학회 (20) : 37-72, 2014
25 홍종선, "국어사전학 개론" 제이앤씨 2009
26 홍종선, "국어 사전의 성과와 과제(6): 용례 -언어의 이해와 표현에 기여하는 사전의 편찬을 위하여-" 민족어문학회 (61) : 291-314, 2010
27 기세관, "광양 방언 사전" 한국문화사 2015
28 김정대, "경남방언과 방언사전" 한국방언학회 (26) : 179-228, 2017
29 경남방언연구보존회, "경남방언 사전, 상·하" 경상남도 2017
30 이익섭, "강릉방언자료사전" 신구문화사 2022
평북방언의 종결어미 연구 -의주, 초산지역어를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