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서대석, "한국신화의 연구" 집문당 2001
2 장주근, "한국 신화의 민속학적 연구" 집문당 1995
3 차배근, "커뮤니케이션학 개론상" 세영사 1988
4 윤석민, "커뮤니케이션의 이해" 커뮤니케이션북스 2012
5 Denis McQuail, "커뮤니케이션 모델" 나남 1987-, 1981
6 Werner J. Severin, "커뮤니케이션 개론" 나남 1991
7 서대석, "창조신화의 세계" 전북대 인문학연구소 2002
8 현용준, "제주도무속자료사전" 각 2007
9 Victor Turner, "제의에서 연극으로" 현대미학사 2011
10 Roman Jacobson, "일반언어학 이론1" 민음사 1994
1 서대석, "한국신화의 연구" 집문당 2001
2 장주근, "한국 신화의 민속학적 연구" 집문당 1995
3 차배근, "커뮤니케이션학 개론상" 세영사 1988
4 윤석민, "커뮤니케이션의 이해" 커뮤니케이션북스 2012
5 Denis McQuail, "커뮤니케이션 모델" 나남 1987-, 1981
6 Werner J. Severin, "커뮤니케이션 개론" 나남 1991
7 서대석, "창조신화의 세계" 전북대 인문학연구소 2002
8 현용준, "제주도무속자료사전" 각 2007
9 Victor Turner, "제의에서 연극으로" 현대미학사 2011
10 Roman Jacobson, "일반언어학 이론1" 민음사 1994
11 손진태, "이북 땅의 무가 1조선신가유편" 박이정 2012
12 John Fiske, "문화커뮤니케이션론" 한뜻 1990
13 현용준, "무속신화와 문헌신화" 집문당 1992
14 조현설, "건국신화의 역사와 논리" 문학과지성사 2003
15 강진옥, "‘신성과의 소통방식’을 통해 본 무속의례와 신화의 공간성 연구" 비교민속학회 (39) : 387-438, 2009
16 Jack M. McLeod, "Interpersonal Approaches to Communication Research" 16 : 469-499, 1973
17 Thomas R. Nilsen, "Foundation Of Communication Theory" Harper & Row 15-24, 1970
18 Edmund Leach, "Culture and Communication : the logic by which symbols are connected : an introduction to the use of structuralist analysis in social anthropolog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76
19 E. Hall, "Beyond culture" Anchor Books 1976
20 Theodore M. Newcomb, "An Approach to the Study of Communicative Acts" The Association 393-404, 19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