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奧田槐堂, "李退溪の學統と日本思想界に及ぼせる影響" 41-47, 1939
2 阿部吉雄, "李退溪の史的地位と日本儒學との異質性" 4 : 37-52, 1978
3 阿部吉雄, "李退溪(日本敎育先哲叢書)" 文敎書院 1944
4 李俊夏, "勞作敎育學と本質(アウグスト・ヴオルフ 原著)" 100-105, 1931
5 변창구, "향산 이만도의 절의정신과 구국운동" 한국민족사상학회 9 (9): 191-218, 2015
6 윤소영, "해제편. 조선공론 총목차・인명색인" 어문학사 ⅶ-xx, 2007
7 최혜주, "해제편. 문교의조선 총목차・인명색인" 어문학사 7-20, 2011
8 신창호, "함양과 체찰" 미다스북스 2010
9 소동호, "한국교육사상사개설" 양서원 2009
10 노상래, "한 경계인의 민족적 고아의식 -今村英治의 「同行者」를 중심으로-" 한민족어문학회 (65) : 633-667, 2013
11 이종호, "출판신체제의 성립과 조선문단의 사정" 국제한국문학문화학회 (6) : 195-238, 2009
12 친일문제연구회, "조선총독 10인" 가람기획 1996
13 최혜주, "잡지 ≪朝鮮≫(1908~1911)에 나타난 일본 지식인의 조선인식" 한국근현대사학회 (45) : 80-115, 2008
14 성주신문, "자랑스러운 성주인 ‘백농 최규동’"
15 김성학, "일제시기 관변 교원단체의 형성과정과 그 사회적 기능" 한국교육학회 41 (41): 277-306, 2003
16 임이랑, "일제시기 [문교의 조선(文敎の朝鮮)]에 나타난 조선총독부 학무관료의 조선교육론" 한국민족문화연구소 (49) : 373-405, 2013
17 김채수, "일제강점기 일본어 잡지 자료집 : 목록과 목차" 보고사 2004
18 김종수, "일제 식민지 문학서적의 근대적 위상 -박문서관의 활동을 중심으로" 우리어문학회 (41) : 453-483, 2011
19 야규 마코토, "일본에서의 退溪・栗谷・茶山 연구의 흐름 ─ 일본의 한국유학 담론을 재검토하다 ─" 영남퇴계학연구원 (10) : 239-306, 2012
20 전상숙, "우가키총독의 내선융화이데올로기와 농공병진정책: 우가키 조선총독정치의 지배정책사적 의미에 대한 재고찰" 한국인문사회과학회 34 (34): 41-63, 2010
21 前田勉, "에도의 독서회: 회독의사상사" 소명출판 2016
22 이기홍, "양적 방법의 지배와 그 결과: 식민지근대화론의 방법론적 검토" 한국사회학회 50 (50): 123-164, 2016
23 정순우, "앎과 삶이 어우러진 선비! 퇴계 이황. 국회인문학아카데미"
24 허수열, "식민지근대화론의 쟁점" 동양학연구원 (41) : 227-250, 2007
25 김희곤, "나라 위해 목숨 바친 안동 선비 열 사람" 지식산업사 2010
26 강해수, "근대 일본의 이퇴계연구" 영남퇴계학연구원 (2) : 55-83, 2008
27 최재목, "구도 다케키(工藤武城)의 ‘의학’과 ‘황도유교’에 관한 고찰" 대한의사학회 24 (24): 659-708, 2015
28 朴均燮, "교육칙어체제의 지속과 한국교육의 실패" 한국일본학회 51 : 439-454, 2002
29 박균섭, "광주학생운동 독법: 민족개량주의의 독성 분석" 221-225, 2016
30 "高麗史"
31 "響山集"
32 박민영, "響山 李晩燾의 생애와 순국"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37) : 37-74, 2010
33 곽진, "響山 李晩燾의 自尊的 삶과 殉國" 한국고전번역원 36 (36): 7-43, 2010
34 "霞隱遺稿"
35 "退溪集"
36 金聲律, "退溪學說の一斑としての自省錄" 84-91, 1934
37 井上厚史, "近代日本における李退溪硏究の系譜學: 阿部吉雄・高橋進の學說の檢討を中心に" 18 : 61-83, 2010
38 "記言"
39 "西厓集"
40 別府喬次, "若き敎育者へ呈する文" 142-143, 1930
41 정병호, "自靖殉國日記와 韓末 嶺南 선비의 形象 -『靑邱日記』와 『蹈海日記』를 대상으로-" 대동한문학회 (구.교남한문학회) (33) : 5-32, 2010
42 野中齋之助, "紀元二千六百年を迎へて若き敎育者に寄する" 33-40, 1940
43 京城大學敎育學硏究室, "第七十五回の誕生日に於けるゲオルク・ケルシェンシュタイナー(一)・(二)" 49-71, 1930
44 "省齋集"
45 八重樫達郞, "皇國臣民育成と儀式敎育: 勅語の取扱作法竝施設一般" 25-40, 1941
46 高橋亨, "王道儒道より皇道儒道へ" 295 : 10-28, 1939
47 京城大學敎育學硏究室, "泰西思想紹介 ジョン・デュウィの敎育說(一)・(二)・(三)・(四)・(五)・(六)・(七)・(八)" 27-33, 1931
48 京城大學敎育學硏究室, "泰西思想紹介 ケルシェンシュタイナー: 如何にして我々の學校を生活に近づかしむべきか?(一)・(二)・(三)・(四)" 51-57, 1930
49 崔奎東, "死を以て君恩に報い奉る" 29-31, 1942
50 "梅泉集"
51 "東隱實紀"
52 이노우에 아츠시, "李退溪の敬説と山崎闇斎の敬説" 남도문화연구소 (20) : 131-174, 2011
53 高橋亨, "李退渓(四)" 22 (22): 6-19, 1940
54 高橋亨, "李退渓(五)" 22 (22): 7-27, 1940
55 高橋亨, "李退渓(二)" 21 (21): 12-22, 1939
56 高橋亨, "李退渓(三)" 22 (22): 34-43, 1940
57 高橋亨, "李退渓" 21 (21): 1-32, 1939
58 大邱公立女子高等普通學校, "本校の性格敎育" 102-118, 1937
59 "暮夏堂集"
60 "晦隱遺稿"
61 "星湖僿說"
62 田保橋潔, "明治維新と敎育勅語の渙發" 7-28, 1941
63 松田甲, "明倫學院の設立を聞きて" 42-55, 1930
64 松田甲, "日鮮史話 第六編(李退溪歿後三百六十年記念)" 朝鮮總督府 1930
65 吉田俊雄, "日本陸海軍の生涯 : 相剋と自壞" 文藝春秋 2001
66 山住正己, "日本敎育小史 : 近・現代" 岩波書店 1987
67 朝鮮敎育會, "日本の敎育精神と李退溪』に對する諸方面の反響" 175-177, 1935
68 高田誠二, "日本の敎育精神と李退溪(附李栗谷の擊蒙要訣と時事)" 朝鮮事情協會出版部 1934
69 亘理章三郞, "斯道の普遍性歷史性と皇國臣民の育成" 37-45, 1940
70 朝鮮敎育會, "敎育思潮紹介: 神道的信仰と基督敎的信仰" 141-147, 1933
71 朝鮮敎育會, "敎育思潮紹介: 現今の神社問題に就いて" 141-150, 1933
72 朝鮮敎育會, "敎育思潮紹介: 日本精神と敎育" 197-203, 1933
73 朝鮮敎育會, "敎育思潮紹介: 我が國體論" 150-160, 1932
74 安寅植, "敎育家の奮起を望む" 61-63, 1930
75 松月秀雄, "敎育勅語渙發四十年記念に際して" 65-70, 1930
76 平山正, "敎育勅語渙發四十年を迎へて所感を述ぶ" 79-86, 1930
77 大山一夫, "敎育勅語渙發四十年を迎へて" 87-94, 1930
78 小野正康, "敎育勅語奉戴五十周年に際し聖旨を仰いで皇國臣民の基礎的鍊成を思ふ" 24-36, 1940
79 小西重直, "敎育勅語と興亞の大業" 3-5, 1940
80 亘理章三郞, "敎育に關する勅語の御下賜と其の意義" 1-26, 1930
81 松田甲, "敎育に關する勅語と李退溪" 97-106, 1930
82 吉田熊次, "敎育に關する勅語と東亞新秩序の建設" 6-12, 1940
83 "拙齋集"
84 崔載瑞, "徵兵誓願行: 感激の八月一日を迎へて" 6-8, 1943
85 "密菴集"
86 松月秀雄, "宇野博士の“Die Ethik des Konfuzianismus”を讀む" 84-99, 1931
87 林原宏光, "大東亞戰爭下に於ける敎育者の決意" 24-26, 1942
88 眞崎長年, "大東亞戰爭下に於ける學園の態勢" 6-8, 1942
89 松本一郞, "大東亞戰爭一周年に當り敎育者に望む" 2-4, 1942
90 斯文會, "大塚先儒祭" 21 (21): 84-85, 1939
91 長崎祐三, "國民學校敎師への要望" 10-16, 1942
92 朝鮮敎育會, "口繪寫眞: 兵制七十周年記念軍學生合同演習 十一月二十八日京城府に於いて實戰さながらの市街戰" ii-, 1942
93 文敎の朝鮮, "半島理學の祖 李退溪の思想一斑" 87-91, 1932
94 太田一江, "初めて敎壇に立つ若き人へ" 78-82, 1937
95 川島義之, "全鮮敎育者諸兄に望む" 18-19, 1940
96 和久正志, "修養團敎化運動に就て(一)・(二)・(三)" 56-54, 1930
97 アンドレ・ヘイグ, "中西伊之助と大正期日本の不逞鮮人へのまなざし: 大衆デイスクールとコロニアル言說の轉覆" 22 (22): 81-97, 2011
98 兒玉三男, "シュプランガー敎授の<ケルシェンシュタイナーを憶ふ>を讀む" 86-92, 1932
99 松月秀雄, "ケルシェンシュタイナー逝く" 75-78, 1932
100 京城帝國大學敎育學硏究室, "ケルシェンシュタイナーと伯林の新聞" 121-124, 1932
101 "https://ko.wikipedia.org/wiki"
102 정미량, "1970년대 ‘국적 있는 교육’ 담론의 교사상 구성 방식, 그 역사적 유사성의 탐색- 1930년대 ‘국체명징’ 교육 담론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교육사학회 24 (24): 155-186,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