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에서는 하워드 오덤이 집대성한 시스템 생태학과 비판적으로 대결하여, 생태학적 연구만이 아니라 전체 현실의 생태적 연구와 관련되는 중요한 철학적 쟁점, 곧 ‘전체론’ 및 이에 연...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76575917
2009
Korean
100
KCI등재
학술저널
33-70(38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에서는 하워드 오덤이 집대성한 시스템 생태학과 비판적으로 대결하여, 생태학적 연구만이 아니라 전체 현실의 생태적 연구와 관련되는 중요한 철학적 쟁점, 곧 ‘전체론’ 및 이에 연...
이 글에서는 하워드 오덤이 집대성한 시스템 생태학과 비판적으로 대결하여, 생태학적 연구만이 아니라 전체 현실의 생태적 연구와 관련되는 중요한 철학적 쟁점, 곧 ‘전체론’ 및 이에 연계되는 통합과학과 관련되는 문제에 대해 논의한다. 현실의 생태적 연구와 관련하여 시스템 생태학은, 생태학적 연구를 ‘사회경제’로 확장함과 아울러 버틀란피의 ‘전체론’에 연계하여 현실의 다양한 영역들에 대한 연구를 ‘생태적 전망’ 아래 통합하는 ‘생태적 통합과학’을 기획한다는 측면에서 중요한 의의를 갖는다. 그러나 동시에 적지 않은 편향과 문제점을 보인다. 이 글에서는 시스템 생태학 및 그 통합과학 기획의 한계와 문제점을 그 철학적 기초와 관련하여 해명함과 동시에, 이를 극복하기 위한 첫걸음으로 생태학, 특히 생태적 통합과학을 위한 대안적 전망을 모색한다.
우선 시스템 생태학에 영향을 준 이전의 생태학과 버틀란피의 전체론 및 일반체계이론을 그 철학적 기초를 중심으로 분석하여, 이를 시스템 생태학의 철학적 기초와 비교한다. 이를 통해 시스템 생태학이, 대상을 그 구성요소와 그들 간의 관계 및 다른 대상과의 관계에 대한 분석에 기초하여 ‘전체적’으로 연구하는 ‘전체론’적 생태학 및 통합과학을 기획함에도 불구하고, 기존 생태학의 환원주의적인 문제틀 및 유기체론적인 특성과 단절하지 못함을 보인다. 또한 이에서 귀결되는 문제점을, 특히 오덤의 ‘사회경제’ 연구와 관련하여 살펴본다.
이어서 시스템 생태학의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생태학 및 생태적 통합과학이 일관되게 전체론에 기초하여야 할 필요성을 제기한다. 이를 위한 첫걸음으로, 생태학, 특히 생태적 통합과학을 위한 ‘전체론적 전망’의 창출과 관련되는 몇가지 쟁점들을 논의한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