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장애 및 장애위험 영아의 사회성 발달 프로그램 연구 동향 분석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54428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domestic research trend of the sociability developmental programs targeting infants with disability and those at risk, by analyzing twenty-one studies published in domestic journals from 1998 to 2018. Our major focus in researching the studies was to analyze their research target, research type, program designs and results, as well as their mitigating methods. As a result, they were classified into 14 studies that involve infants at the risk of developing disability and 7 studies involving the infants with disability. As for the type of research, 18 studies were identified as research with experiments. In terms of program design, most of research setting was home. There was relatively a small portion of research, with 10 studies examining the maintaining effect of the program. The study implemented naturalistic intervention as the independent variable. For the dependent variable, it appears that many of studies attempted on using changes in the reciprocal relationship between the mother and the infant or the teacher and the infant. The overall study results suggest that the program positively effected on the sociability development of the infant. Parents were individually contacted to inspect and demonstrate the project. Therefore, further studies on the educational implementation and the support for infant’s optimal development in sociability will be needed and should be sustained in the future.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domestic research trend of the sociability developmental programs targeting infants with disability and those at risk, by analyzing twenty-one studies published in domestic journals from 1998 to 2018. Ou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domestic research trend of the sociability developmental programs targeting infants with disability and those at risk, by analyzing twenty-one studies published in domestic journals from 1998 to 2018. Our major focus in researching the studies was to analyze their research target, research type, program designs and results, as well as their mitigating methods. As a result, they were classified into 14 studies that involve infants at the risk of developing disability and 7 studies involving the infants with disability. As for the type of research, 18 studies were identified as research with experiments. In terms of program design, most of research setting was home. There was relatively a small portion of research, with 10 studies examining the maintaining effect of the program. The study implemented naturalistic intervention as the independent variable. For the dependent variable, it appears that many of studies attempted on using changes in the reciprocal relationship between the mother and the infant or the teacher and the infant. The overall study results suggest that the program positively effected on the sociability development of the infant. Parents were individually contacted to inspect and demonstrate the project. Therefore, further studies on the educational implementation and the support for infant’s optimal development in sociability will be needed and should be sustained in the futur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선의, "협동적 동작교육활동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과 역할수용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18 (18): 197-219, 2014

      2 고선희, "협동 미술활동 프로그램을 통한 발달지체유아의 사회성 증진 연구" 12 : 105-122, 2006

      3 문회원, "학급차원의 확장된 스킬스트리밍 교수가 정서·행동장애 위험 유아의 사회성 기술, 문제행동, 일반유아와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특수교육연구소 13 (13): 29-57, 2014

      4 이소현, "특수교육에 있어서의 바람직한 가족 참여를 위한 지원 및 중재 방안 고찰" 5 (5): 174-191, 2000

      5 권미은, "통합교육 환경에서 구조화된 미술활동이 장애유아의 또래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 한국발달장애학회 16 (16): 1-25, 2012

      6 이정화, "통합 상황에서의 자연적 중재를 이용한 사회적 시작행동교수가 발달지체 영아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대한아동복지학회 10 (10): 1-21, 2012

      7 김경민, "장애영유아 가족중심 중재 국내 연구동향 분석" 한국특수아동학회 15 (15): 101-120, 2013

      8 박성신, "장애영유아 가정에 대한 방문지원이어머니의 양육효능감 및 어머니와 영유아의상호작용 행동에 미치는 효과"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7 (7): 93-110, 2007

      9 이효신(, "장애영아와 양육자간 상호작용 프로그램 개발" 14 (14): 139-155, 1998

      10 노진아, "장애 영유아를 위한 부모 참여 중재 연구의 동향 및 WWC 평가 지표에 의한 분석: 국내외 단일대상 연구를 중심으로" 한국특수아동학회 16 (16): 425-453, 2014

      1 김선의, "협동적 동작교육활동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과 역할수용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18 (18): 197-219, 2014

      2 고선희, "협동 미술활동 프로그램을 통한 발달지체유아의 사회성 증진 연구" 12 : 105-122, 2006

      3 문회원, "학급차원의 확장된 스킬스트리밍 교수가 정서·행동장애 위험 유아의 사회성 기술, 문제행동, 일반유아와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특수교육연구소 13 (13): 29-57, 2014

      4 이소현, "특수교육에 있어서의 바람직한 가족 참여를 위한 지원 및 중재 방안 고찰" 5 (5): 174-191, 2000

      5 권미은, "통합교육 환경에서 구조화된 미술활동이 장애유아의 또래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 한국발달장애학회 16 (16): 1-25, 2012

      6 이정화, "통합 상황에서의 자연적 중재를 이용한 사회적 시작행동교수가 발달지체 영아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대한아동복지학회 10 (10): 1-21, 2012

      7 김경민, "장애영유아 가족중심 중재 국내 연구동향 분석" 한국특수아동학회 15 (15): 101-120, 2013

      8 박성신, "장애영유아 가정에 대한 방문지원이어머니의 양육효능감 및 어머니와 영유아의상호작용 행동에 미치는 효과"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7 (7): 93-110, 2007

      9 이효신(, "장애영아와 양육자간 상호작용 프로그램 개발" 14 (14): 139-155, 1998

      10 노진아, "장애 영유아를 위한 부모 참여 중재 연구의 동향 및 WWC 평가 지표에 의한 분석: 국내외 단일대상 연구를 중심으로" 한국특수아동학회 16 (16): 425-453, 2014

      11 원종례, "장애 영유아 통합교육 관련 중재 연구 동향 분석 -2000~2009년까지의 국내 실험연구를 중심으로-"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10 (10): 169-192, 2010

      12 조윤경, "장애 관련 영아 대상 국내 연구 동향 분석: 2006년∼2015년"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16 (16): 23-53, 2016

      13 전진아, "자폐범주성장애 위험군과 언어발달지체 영유아의 공동주의 능력" 한국자폐학회 14 (14): 23-38, 2014

      14 박현주, "일반영아와 발달장애유아의 공동관심 행동 특성 비교연구" 한국특수아동학회 12 (12): 325-350, 2010

      15 김태영, "일반 영유아 대상과 장애위험/장애 영유아 대상 문제행동 연구동향의 비교분석: 2010년-2017년 5월"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8 (18): 125-155, 2017

      16 홍길회, "일과를 통한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다문화 수용성과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 10 (10): 313-332, 2014

      17 성현란, "인지적 중재 프로그램이 영아의 인지 발달과 어머니-영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19 (19): 41-59, 2006

      18 김혜림, "음률활동이 발달지체유아의 주의집중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웰니스학회 4 (4): 53-70, 2009

      19 엄진명, "융복합 연구를 위한 장애 영유아 조기 발견 및 중재의 국내 연구동향 분석: 2004~2013" 한국자폐학회 15 (15): 25-49, 2015

      20 이소현, "유아특수교육" 학지사 2003

      21 이미화, "유아와 초등학생 간 책읽기 버디프로그램이 친사회적 행동과 언어 이해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7 (17): 323-343, 2012

      22 최혜순, "유아사회교육에 관한 최근 연구동향 분석"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9 (19): 195-223, 2014

      23 박유진, "유아 친사회적 행동 증진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한국영유아보육학회 (105) : 129-155, 2017

      24 권정윤, "유아 사회성 발달 증진 프로그램의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5 (15): 341-358, 2010

      25 정정순, "오이리트미 중재훈련이 자폐성 유아의 감정표현과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효과"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9 (9): 65-86, 2004

      26 김소영, "예술심리치료를 병행한 집단프로그램이 장애유아의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3 (3): 27-41, 2007

      27 이숙재, "영유아발달과 보육" 창지사 2016

      28 문혁준, "영유아발달" 창지사 2016

      29 성영혜, "영유아 발달의 이론과 실제" 동문사 2005

      30 김정미, "영유아 발달 진단 및 중재를 위한 반응성상호작용(RT) 중심 프로그램 적용"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14 (14): 173-194, 2014

      31 안영진, "영아의 정서발달을 위한 치료놀이 보육프로그램 연구" 10 (10): 35-52, 2006

      32 박성혜, "영아기 사회성 증진 프로그램의 효과" 한국인간발달학회 12 (12): 15-29, 2005

      33 Creswell, J. W., "연구방법: 질적, 양적 및 혼합적 연구의 설계" 시그마프레스 2011

      34 윤혜준, "어머니가 실행하는 반응적 의사소통 전략을 적용한 환경 중심 중재가 자폐 범주성 장애 영아의 공동관심 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17 (17): 147-170, 2017

      35 남보람, "어머니가 실행하는 공동관심 중심의 놀이 활동이 자폐 범주성 장애 영아의 공동관심선행기술과 공동관심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자폐학회 14 (14): 21-45, 2014

      36 이금진, "소집단 부모참여프로그램이 어머니와 발달지체 영유아의 상호작용행동 및 영유아의 언어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특수교육학회 42 (42): 1-25, 2008

      37 박수진, "성경동화를 활용한 극놀이 활동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보육학회 (78) : 165-188, 2013

      38 강혜원, "상황이야기 중재가 정서·행동장애 위험 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과 문제행동에 미치는 효과"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15 (15): 181-205, 2015

      39 구효진, "사회적 상호작용 놀이가 발달지체 영아의 사회적 반응행동과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14 (14): 221-240, 2014

      40 장혜원, "사회성을 촉진하는 음악활동이 통합어린이집 발달장애유아의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3 (13): 223-249, 2011

      41 서원경, "보육교사와 영아의 애착 증진을 위한 야간보육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한국영유아보육학회 (42) : 253-277, 2005

      42 이소영, "발달지체 영유아와 가족을 위한 가정-중심 프로그램에 대한 고찰 -1999년~2008년 국외논문을 중심으로-"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9 (9): 101-120, 2009

      43 백상수, "발달지체 영아를 위한 모아(母兒)상호작용 프로그램 개발 연구" 열린부모교육학회 8 (8): 125-138, 2016

      44 김진호, "발달지체 아동을 대상으로 한 국내 실험연구 고찰: 단일대상연구를 중심으로"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32 (32): 267-288, 2016

      45 봉귀영, "반응적 상호작용 전략 중심의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다문화가정 내 자폐 범주성 장애 유아의 모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특수교육학회 47 (47): 113-138, 2013

      46 박선정, "모아상호작용 중재에 관한 국내 연구논문의 통합적 고찰" 한국아동간호학회 20 (20): 75-86, 2014

      47 김호년, "또래중재 역할놀이가 자폐성 유아의 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8 (28): 255-278, 2012

      48 이효신, "또래모델링역할놀이가 ADHD 성향 유아의 놀이참여에 미치는 영향"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48 (48): 111-132, 2009

      49 이상희, "다문화가정 유아를 대상으로 한 중재실행 연구에 대한 동향 분석"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6 (16): 465-491, 2015

      50 이상희, "다문화가정 아동의 사회성 연구에 대한 문헌고찰" 한국특수아동학회 18 (18): 25-54, 2016

      51 김병건, "뇌손상으로 인한 장애위험영아의 Early Steps 조기 개입에 관한 사례연구"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54 (54): 127-148, 2015

      52 김태영, "놀이활동 중재를 통한 장애 영·유아의 사회성 증진효과에 대한 국내연구 동향 분석"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14 (14): 01-27, 2014

      53 김두희, "놀이중재를 통한 통합환경 내 발달지체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관한 질적 연구"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47 (47): 109-131, 2008

      54 조인수, "놀이 프로그램이 발달지체 유아의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효과" 한국재활심리학회 13 (13): 85-106, 2006

      55 권소영, "긍정적 행동지원이 발달지체 영아의 소리 지르기 행동과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15 (15): 207-234, 2015

      56 김영미, "그림책을 활용한 인성교육활동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 11 (11): 231-247, 2015

      57 이예다나, "국내 학술지에 나타난 읽기에 관한 연구동향: 다문화 학생을 중심으로" 한국학습장애학회 13 (13): 123-155, 2016

      58 서경신, "구조화된 사회극놀이가 발달지체유아의 사회적 기술 향상에 미치는 효과"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48 (48): 127-150, 2009

      59 한국교육심리학회, "교육심리학 용어 사전" 학지사 2000

      60 이종승, "교육․심리․사회 연구방법론" 교육과학사 2011

      61 안진선, "교사-부모 협력을 통한 가정 중심 오감각놀이 프로그램이 발달지체영아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11 (11): 81-102, 2011

      62 임영옥, "가족과 또래 상호작용 촉진 오르프 음악활동중심 프로그램이 발달지체영아의 사회적 반응 및 참여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3 (23): 77-103, 2007

      63 채유선, "가정에서 어머니가 실행한 중심축 반응 훈련이 자폐 범주성 장애 영유아의 공동관심 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8 (8): 41-66, 2008

      64 김지수, "가정방문 양육코칭 프로그램이 발달지체 영아 어머니의 양육효능감과 어머니-영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17 (17): 1-31, 2017

      65 牛島義友, "教育心理学事典普及版" 金子書房 359-360, 1979

      66 大家まゆみ, "よくわかる教育心理学" ミネルヴァ書房 16-17, 2011

      67 나경은,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에 관한 최근 연구의 동향 분석: 2007∼2017년을 중심으로" 한국학습장애학회 14 (14): 47-70, 2017

      68 장혜성, "「DEP 조기중재 교육과정」이 장애위험영아와 장애영아의 발달변화에 미치는 영향" 특수교육연구소 11 (11): 241-263, 2012

      69 김영실, "‘영아’ 관련 연구동향 분석 - 2006년~2012년 국내학술지를 중심으로 -" 한국영유아보육학회 (86) : 79-105, 2014

      70 Carter, A. S., "The infant-toddler social and emotional assessment(ITSEA) : factor structure, reliability, and validity" 31 (31): 495-514, 2003

      71 Werner, H., "Symbol formation: an organismic developmental approach to language and the expression of thought" Wiley 1963

      72 Howes, C., "Relations between early child care and schooling" 24 (24): 53-58, 1988

      73 Hart, B., "Meaningful differences in the everyday experience of young American children" Paul H. Brooks Publishing Co 1995

      74 Jones, E. A., "Joint attention in children with autism : theory and intervention" 19 (19): 13-26, 2004

      75 Isabella, R. A., "Interactional synchrony and the origins of infant-mother attachment : A replication study" 62 (62): 373-384, 1991

      76 Landry, S. H., "Early maternal and child influences on children’s later independent cognitive and social functioning" 71 (71): 358-375, 2000

      77 Chen, X., "Child-rearing attitudes and behavioral inhibition in Chinese and Canadian toddlers : A cross-cultural study" 34 (34): 677-686, 1998

      78 보건복지부, "2018년도 보육사업안내"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6 1.06 1.0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9 1.09 1.565 0.1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