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사회의 외국인 범죄와 대책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Foreign Crimes and Countermeasures in Korean Socie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25899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Foreigner crime within Korea has been recording a trend of a steady increase. Due to the Korean government’s open-door policy of foreigners, the number of foreigner’s domestic inflow has been increasing and yet the consequential issue of foreigner crime is still ongoing.
      Thereb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measure of multicultural correction welfare perspective for positive utilization of foreign immigrants and foreigner crime prevention. In order to do so, foreigner issues and the causes of crime is first speculated on the basis of communication difficulties due to linguistic ability and social maladjustment from foreigner discrimination and bias. Additionally, it analyzed the government’s multicultural policies and services for foreigners staying within the country at this point where foreigners registered and staying in the current 2018 Korean society count more than a million.
      Foreigners who registered and staying in the country is experiencing economic profit for their labor activities, high degree benefit of Korean culture, high quality education, and more. That said, they must fulfill the social responsibilities required by the Korean society as appropriate social members. Therefore, multicultural welfare policies of foreigners in Korea must focus on developing customized welfare service program and criminology based educational program that comprehends the Korean social scheme and is able to overcome the disparate cultural differences.
      번역하기

      Foreigner crime within Korea has been recording a trend of a steady increase. Due to the Korean government’s open-door policy of foreigners, the number of foreigner’s domestic inflow has been increasing and yet the consequential issue of foreigner...

      Foreigner crime within Korea has been recording a trend of a steady increase. Due to the Korean government’s open-door policy of foreigners, the number of foreigner’s domestic inflow has been increasing and yet the consequential issue of foreigner crime is still ongoing.
      Thereb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measure of multicultural correction welfare perspective for positive utilization of foreign immigrants and foreigner crime prevention. In order to do so, foreigner issues and the causes of crime is first speculated on the basis of communication difficulties due to linguistic ability and social maladjustment from foreigner discrimination and bias. Additionally, it analyzed the government’s multicultural policies and services for foreigners staying within the country at this point where foreigners registered and staying in the current 2018 Korean society count more than a million.
      Foreigners who registered and staying in the country is experiencing economic profit for their labor activities, high degree benefit of Korean culture, high quality education, and more. That said, they must fulfill the social responsibilities required by the Korean society as appropriate social members. Therefore, multicultural welfare policies of foreigners in Korea must focus on developing customized welfare service program and criminology based educational program that comprehends the Korean social scheme and is able to overcome the disparate cultural differenc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한국에서 외국인 범죄는 지속적인 증가추세를 기록하고 있다. 한국 정부의 외국인에 대한 개방정책으로 외국인의 국내 유입자수는 늘어나고 있지만 이로 인해 발생되고 있는 외국인 범죄문제는 여전히 진행형으로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주 외국인의 긍정적인 활용과 외국인 범죄 예방을 위해 교정 다문화복지 관점의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먼저 외국인 문제 및 범죄 발생 원인을 언어능력에 따른 의사소통 문제, 외국인에 대한 차별과 편견에 따른 사회부적응에 근거를 두고 살펴보았다. 그리고 2018년 현재 한국사회에 등록 체류하고 있는 외국인수가 백만 명을 넘어서고 있는 이 시점에 국내 체류 외국인을 위한 정부의 다문화사회 정책 및 다문화 서비스를 분석하였다.
      한국사회의 국내 체류 외국인들은 노동활동에 따른 경제적 이익, 높은 수준의 한국문화 혜택, 양질의 교육 등 다양한 경험을 하고 있다. 그렇다면 이들은 한국사회가 요구하고 있는 건전한 사회구성원으로서 당연한 사회적 책무에 충실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한국 체류 외국인의 다문화 복지정책은 한국사회 제도를 이해하고 이질적인 문화 차이를 극복할 수 있는 맞춤형 복지 서비스 프로그램과 형사 정책적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집중해야 할 것이다.
      번역하기

      한국에서 외국인 범죄는 지속적인 증가추세를 기록하고 있다. 한국 정부의 외국인에 대한 개방정책으로 외국인의 국내 유입자수는 늘어나고 있지만 이로 인해 발생되고 있는 외국인 범죄문...

      한국에서 외국인 범죄는 지속적인 증가추세를 기록하고 있다. 한국 정부의 외국인에 대한 개방정책으로 외국인의 국내 유입자수는 늘어나고 있지만 이로 인해 발생되고 있는 외국인 범죄문제는 여전히 진행형으로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주 외국인의 긍정적인 활용과 외국인 범죄 예방을 위해 교정 다문화복지 관점의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먼저 외국인 문제 및 범죄 발생 원인을 언어능력에 따른 의사소통 문제, 외국인에 대한 차별과 편견에 따른 사회부적응에 근거를 두고 살펴보았다. 그리고 2018년 현재 한국사회에 등록 체류하고 있는 외국인수가 백만 명을 넘어서고 있는 이 시점에 국내 체류 외국인을 위한 정부의 다문화사회 정책 및 다문화 서비스를 분석하였다.
      한국사회의 국내 체류 외국인들은 노동활동에 따른 경제적 이익, 높은 수준의 한국문화 혜택, 양질의 교육 등 다양한 경험을 하고 있다. 그렇다면 이들은 한국사회가 요구하고 있는 건전한 사회구성원으로서 당연한 사회적 책무에 충실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한국 체류 외국인의 다문화 복지정책은 한국사회 제도를 이해하고 이질적인 문화 차이를 극복할 수 있는 맞춤형 복지 서비스 프로그램과 형사 정책적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집중해야 할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영화, "현장과 함께하는 사회문제" 양서원 2012

      2 이철우, "현대사회문제 : 이론과 실제" 학지사 2017

      3 머니S, "한국 사회는 고령사회에 17년 만에 진입"

      4 법무부, "출입국・외국인정책본부 통계월보"

      5 국가법령정보센터, "출입국관리법"

      6 법무부, "체류외국인 추이"

      7 조민상, "지역사회 안전을 위한 외국인 범죄 대응방안 - 외사경찰 활동을 중심으로 -"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11 (11): 73-95, 2015

      8 조선일보, "주 52시간에 시대에 외국인 이주노동자는 평균 54시간 일해"

      9 e-나라지표, "죄종별 외국인 범죄현황"

      10 교육부, "정책브리핑, 대학에 외국인유학생입학기준 등 학사관리 철저요청"

      1 김영화, "현장과 함께하는 사회문제" 양서원 2012

      2 이철우, "현대사회문제 : 이론과 실제" 학지사 2017

      3 머니S, "한국 사회는 고령사회에 17년 만에 진입"

      4 법무부, "출입국・외국인정책본부 통계월보"

      5 국가법령정보센터, "출입국관리법"

      6 법무부, "체류외국인 추이"

      7 조민상, "지역사회 안전을 위한 외국인 범죄 대응방안 - 외사경찰 활동을 중심으로 -"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11 (11): 73-95, 2015

      8 조선일보, "주 52시간에 시대에 외국인 이주노동자는 평균 54시간 일해"

      9 e-나라지표, "죄종별 외국인 범죄현황"

      10 교육부, "정책브리핑, 대학에 외국인유학생입학기준 등 학사관리 철저요청"

      11 통계청, "장래인구추이"

      12 국가인권위원회, "인권상담사례집"

      13 외국인이주노동운동협의회, "이주 노동자들의 직장 내 차별 경험, 전국이주노동자대상 차별실태조사" 2011

      14 법무부, "외국인수용자"

      15 정지원, "외국인범죄의 대응방안 고찰" 한국범죄심리학회 10 (10): 175-194, 2014

      16 홍세영, "외국인 범죄 실태와 대응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교정학회 52 : 25-51, 2011

      17 박영숙, "외국인 범죄 실태 및 대책에 관한 연구" 한국교정복지학회 (18) : 61-80, 2010

      18 대검찰청, "외국인 범죄 변화추이"

      19 뉴시스, "외국인 경제활동 인력 조정 등을 늘리는 방법을 고안"

      20 원숙연, "신-사회위험’(new social risk)? - 이주외국인에 대한 인식구조와 영향요인 -"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11 (11): 41-62, 2015

      21 남일재, "사회문제론" 공동체 2013

      22 법무부, "법무부 출입국 외국인 정책 본부 통계, 외국인 입국자 현황" 2017

      23 경찰청, "범죄정보관리시스템"

      24 이훈동, "다문화시대에서의 외국인 범죄자에 대한 형사정책의 연구" 한국교정학회 52 : 7-24, 2011

      25 김순석, "다문화사회의 범죄요인과 대응전략" 한국범죄심리학회 9 (9): 5-28, 2013

      26 여성가족부, "다문화가족지원정책" 2019

      27 여성가족부, "다누리 콜센터 1577-1366"

      28 홍봉선, "교정복지론" 공동체 2013

      29 손정애, "가족복지론" 양서원 2013

      30 Sujin Kang, "The Effect of Nationality of Foreign Residents on Fear of Crime for Local Residents" Institute for Poverty Alleviation and International Development 27 (27): 95-115, 2018

      31 Heon Jin Kim, "Status and Countermeasures of Foreigner’s Crime" Asia Culture Academy of Incorporated Association 8 (8): 583-600, 2017

      32 Sung-Shik Shin, "Status and Correctional Policy of Foreigners’ Crime" Korean Association of Criminal Psychology 14 (14): 91-102, 2018

      33 Lee, Jun-Hyeong, "Current Characteristics and Forecasting of Foreigner Crime" Korean Association for Public Security Administration 10 (10): 79-100, 2013

      34 Dong Soo Park, "Analysis of relationship between characteristics of foreigners staying in Korea and Criminal Victimization" Korean Association of Criminal Psychology 13 (13): 59-86, 2017

      35 서울일보,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약 1051만 명으로 예상"

      36 이주와 인권연구소, "2018년 이주노동자의 노동조건과 주거환경 실태조사 보고서" 201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4-18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Society For Correction Service -> Korean Society for Corrections Service KCI등재
      2016-04-14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矯正硏究 -> 교정연구
      외국어명 : Correction Review -> Corrections Review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3 0.93 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9 1.02 1.121 0.1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