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묻지마 범죄자의 유형별 치료적 개입에 관한 탐색적 연구 = An Exploratory Study on the Therapeutic Intervention According to the Unmotivated Crime Offender Typ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25899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Unmotivated crimes are causing huge stir in society, and the need for tougher punishments and treatments of them are being raised. This study looked at the concepts and types of unmotivated crimes and tried to suggest therapeutic implications by analyzing factors that should be considered for proper therapeutic intervention in each unmotivated crime offender type. For this purpose, 58 offenders in correctional facilities nationwide with valid PAI results were divided into three nonspecific motive crimes type, according to KRCC, and compared with the general adults PAI results by interviewing the person who agre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The analysis found that, regardless of type, drinking and drug problems, vulnerability of anger control, negative perception of past events and depression were commonly pointed out, and that the levels of depression, trauma stress, antisocial personality, alcohol and drug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normal adults. Therefore, unmotivated criminals should be educated on substance use and training on overall emotion and emotional control.
      Abnormal thought type had shown prominent persecutory thought, and the sensitivity on one's physical condition or functional change. Therefore, a cognitive and behavioral approach is needed to recognize and focus on correcting their distorted cognitive systems. Dissatisfaction type had shown unstable self-concepts and weak emotionality and limited adaptive emotional expression techniques, that make them vulnerable to external stimuli and damage self-esteem. Therefore, they need training focused on understanding and accepting themselves as they are. Displaced revenge type was pointed out that while trying to control anger without appealing or expressing psychological and emotional problems, they unexpectedly vented their anger. Therefore, it would be important to have a correct understanding of one's emotions, and it would be appropriate to practice the techniques of expressing these emotions in an adaptive way.
      번역하기

      Unmotivated crimes are causing huge stir in society, and the need for tougher punishments and treatments of them are being raised. This study looked at the concepts and types of unmotivated crimes and tried to suggest therapeutic implications by analy...

      Unmotivated crimes are causing huge stir in society, and the need for tougher punishments and treatments of them are being raised. This study looked at the concepts and types of unmotivated crimes and tried to suggest therapeutic implications by analyzing factors that should be considered for proper therapeutic intervention in each unmotivated crime offender type. For this purpose, 58 offenders in correctional facilities nationwide with valid PAI results were divided into three nonspecific motive crimes type, according to KRCC, and compared with the general adults PAI results by interviewing the person who agre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The analysis found that, regardless of type, drinking and drug problems, vulnerability of anger control, negative perception of past events and depression were commonly pointed out, and that the levels of depression, trauma stress, antisocial personality, alcohol and drug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normal adults. Therefore, unmotivated criminals should be educated on substance use and training on overall emotion and emotional control.
      Abnormal thought type had shown prominent persecutory thought, and the sensitivity on one's physical condition or functional change. Therefore, a cognitive and behavioral approach is needed to recognize and focus on correcting their distorted cognitive systems. Dissatisfaction type had shown unstable self-concepts and weak emotionality and limited adaptive emotional expression techniques, that make them vulnerable to external stimuli and damage self-esteem. Therefore, they need training focused on understanding and accepting themselves as they are. Displaced revenge type was pointed out that while trying to control anger without appealing or expressing psychological and emotional problems, they unexpectedly vented their anger. Therefore, it would be important to have a correct understanding of one's emotions, and it would be appropriate to practice the techniques of expressing these emotions in an adaptive wa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묻지마 범죄가 많은 사람들에게 관심을 받고 있고, 이들에 대한 보다 강력한 처벌과 처우개선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묻지마 범죄자에 대한 개념과 유형을 살펴보고, 묻지마 범죄자의 유형을 구분하여 각 유형에 적절한 치료적 개입을 하는데 고려해야할 요소들을 탐색적으로 분석하여 치료적 함의를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해 전국 교정시설에 수용 중인 묻지마 범죄자를 대상으로 성격평가질문지(PAI)와 면담을 실시하여 이들 중 연구참여에 동의하고 심리검사 결과가 유효한 58명의 범죄유형을 무작위 범죄자 위험군 판별 체크리스트(KRCC)에 따라 3개로 구분하여 일반인 자료와 함께 분석하여 비교하였다.
      분석 결과 묻지마 범죄자는 유형에 관계없이 일반인보다 음주와 약물문제, 분노조절의 취약성, 과거 사건에 대한 부정적인 지각과 우울증 등의 문제가 공통적으로 지적되었고, 정신장애 여부를 평가하는 진단함수 중에서 우울증, 외상스트레스, 반사회적 성격, 알코올 및 약물에서의 수치가 일반일보다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지적되었다. 따라서 묻지마 범죄자의 경우 유형에 관계없이 약물사용에 관한 교육과 전반적인 정서와 감정 통제에 대한 교육과 훈련이 수반되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사고형의 경우 피해적 사고가 두드러지고, 자신의 신체적 상태나 기능변화에 예민한 특성이 지적되어 자신의 왜곡된 인지체계를 알아차리고 이를 수정하는데 집중할 수 있는 인지행동적 접근이 필요하다. 현실불만형의 경우 불안정한 자기개념과 취약한 정서성과 적응적인 감정표현 기술의 부재로 외부 자극에 쉽게 상처를 받고 자존감이 손상되는 특성이 지적되었다. 따라서 이들은 자신을 있는 그대로 이해하고 수용하는 훈련이 필요하다. 전위보복형은 평소 심리・정서적 문제를 호소하거나 표현하지 않고 분노와 화를 통제하려고 노력하다가 예상치 못하게 분노를 터뜨리는 경향이 지적되었다. 따라서 자신의 정서를 정확하게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겠고, 이러한 정서를 적응적으로 표현하는 기술들을 연습시키는 것이 적절할 것이다.
      번역하기

      묻지마 범죄가 많은 사람들에게 관심을 받고 있고, 이들에 대한 보다 강력한 처벌과 처우개선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묻지마 범죄자에 대한 개념과 유형을 살펴보고, 묻...

      묻지마 범죄가 많은 사람들에게 관심을 받고 있고, 이들에 대한 보다 강력한 처벌과 처우개선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묻지마 범죄자에 대한 개념과 유형을 살펴보고, 묻지마 범죄자의 유형을 구분하여 각 유형에 적절한 치료적 개입을 하는데 고려해야할 요소들을 탐색적으로 분석하여 치료적 함의를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해 전국 교정시설에 수용 중인 묻지마 범죄자를 대상으로 성격평가질문지(PAI)와 면담을 실시하여 이들 중 연구참여에 동의하고 심리검사 결과가 유효한 58명의 범죄유형을 무작위 범죄자 위험군 판별 체크리스트(KRCC)에 따라 3개로 구분하여 일반인 자료와 함께 분석하여 비교하였다.
      분석 결과 묻지마 범죄자는 유형에 관계없이 일반인보다 음주와 약물문제, 분노조절의 취약성, 과거 사건에 대한 부정적인 지각과 우울증 등의 문제가 공통적으로 지적되었고, 정신장애 여부를 평가하는 진단함수 중에서 우울증, 외상스트레스, 반사회적 성격, 알코올 및 약물에서의 수치가 일반일보다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지적되었다. 따라서 묻지마 범죄자의 경우 유형에 관계없이 약물사용에 관한 교육과 전반적인 정서와 감정 통제에 대한 교육과 훈련이 수반되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사고형의 경우 피해적 사고가 두드러지고, 자신의 신체적 상태나 기능변화에 예민한 특성이 지적되어 자신의 왜곡된 인지체계를 알아차리고 이를 수정하는데 집중할 수 있는 인지행동적 접근이 필요하다. 현실불만형의 경우 불안정한 자기개념과 취약한 정서성과 적응적인 감정표현 기술의 부재로 외부 자극에 쉽게 상처를 받고 자존감이 손상되는 특성이 지적되었다. 따라서 이들은 자신을 있는 그대로 이해하고 수용하는 훈련이 필요하다. 전위보복형은 평소 심리・정서적 문제를 호소하거나 표현하지 않고 분노와 화를 통제하려고 노력하다가 예상치 못하게 분노를 터뜨리는 경향이 지적되었다. 따라서 자신의 정서를 정확하게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겠고, 이러한 정서를 적응적으로 표현하는 기술들을 연습시키는 것이 적절할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고선영, "이상동기범죄자의 성향 및 특성 프로파일링 - 불특정 대상・무차별 상해사건 중심으로" 한국경찰연구학회 11 (11): 3-28, 2012

      2 김영환, "성격평가질문지 전문가 지침서" 학지사 2002

      3 윤정숙, "묻지마 범죄자의 특성 이해 및 대응방안 연구"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014

      4 윤선영, "묻지마 범죄자의 심리특성과 피해의식" 대한범죄학회 11 (11): 29-66, 2017

      5 장은영, "묻지마 범죄자 하위유형의 심리학적 특이성" 대한범죄학회 8 (8): 3-40, 2014

      6 박지선, "묻지마 범죄의 특성과 유형" 4 (4): 107-124, 2013

      7 김진혁, "묻지마 범죄의 유형 및 대응방안" 한국범죄심리학회 8 (8): 113-131, 2012

      8 윤정숙, "묻지마 범죄에 대한 심리적 이해" 한국범죄심리학회 9 (9): 147-174, 2013

      9 이장한, "묻지마 범죄 체크리시트 및 교육・전산화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연구" 경찰청 2016

      10 박형민, "무차별 범죄(Random Crime)의 개념과 특징: 불특정인을 대상으로 한 범죄" 한국공안행정학회 22 (22): 225-258, 2013

      1 고선영, "이상동기범죄자의 성향 및 특성 프로파일링 - 불특정 대상・무차별 상해사건 중심으로" 한국경찰연구학회 11 (11): 3-28, 2012

      2 김영환, "성격평가질문지 전문가 지침서" 학지사 2002

      3 윤정숙, "묻지마 범죄자의 특성 이해 및 대응방안 연구"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014

      4 윤선영, "묻지마 범죄자의 심리특성과 피해의식" 대한범죄학회 11 (11): 29-66, 2017

      5 장은영, "묻지마 범죄자 하위유형의 심리학적 특이성" 대한범죄학회 8 (8): 3-40, 2014

      6 박지선, "묻지마 범죄의 특성과 유형" 4 (4): 107-124, 2013

      7 김진혁, "묻지마 범죄의 유형 및 대응방안" 한국범죄심리학회 8 (8): 113-131, 2012

      8 윤정숙, "묻지마 범죄에 대한 심리적 이해" 한국범죄심리학회 9 (9): 147-174, 2013

      9 이장한, "묻지마 범죄 체크리시트 및 교육・전산화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연구" 경찰청 2016

      10 박형민, "무차별 범죄(Random Crime)의 개념과 특징: 불특정인을 대상으로 한 범죄" 한국공안행정학회 22 (22): 225-258, 2013

      11 윤정숙, "동기 없는 범죄 수용자 재범방지를 위한 치료적 개입및 제도화 방안 연구"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017

      12 Swartz, M. S., "Violence and severe mental illness: The effects of substance abuse and nonadherence to medication" 155 : 226-231, 1998

      13 Andrews, D. A., "The psychology of criminal conduct" LexisNexis Matthew Bender 2010

      14 Drake, R. E., "The course, treatment, and outcome of substance disorder in persons with severe mental illness" 66 : 42-51, 1996

      15 Nana, A., "The Positive Effects of Cognitive-Behavioral Programs for Offenders: A Meta-Analysis of Factors Associated with Effective Treatment" 1 : 451-476, 2005

      16 Lipsey, M. W., "Preventing crime: What works for children, offenders, victims, and places" Springer 57-71, 2006

      17 Morey, L. C., "Personality Assessment Inventory Professional Manual" Psychological Assessment Resources 1991

      18 김영환, "PAI 임상적 해석" 학지사 2004

      19 Edens, J. F., "PAI Interpretive report for correctional settings (PAI-CS)" Psychological Assessment Resources 2005

      20 Dickey, B., "Medical morbidity, mental illness, and substance use disorders" 53 : 861-867, 2002

      21 Douglas, J. E., "Crime classification manual" John Wiley & Sons 2006

      22 Dowden, C., "Anger Management Programming for Offenders: The Impact of Program Performance Measure" Research Branch Correctional Service of Canada 2001

      23 Wilson, D. B., "A quantitative review of structured, group-oriented, cognitive-behavioral programs for offenders" 32 : 172-204, 200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4-18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Society For Correction Service -> Korean Society for Corrections Service KCI등재
      2016-04-14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矯正硏究 -> 교정연구
      외국어명 : Correction Review -> Corrections Review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3 0.93 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9 1.02 1.121 0.1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