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노인의 자살률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고, 자살이 노인사망의 주요원인으로 주목되면서, 노인 자살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노인의 우울이 자살생각에 미치...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1005279
2014
-
suicide ideation ; depression ; 노인 ; 보호요인 ; sense of belonging ; moderator ; protective factor ; older adults ; 조절효과 ; 우울 ; 자살생각 ; 소속감
338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155-180(26쪽)
1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노인의 자살률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고, 자살이 노인사망의 주요원인으로 주목되면서, 노인 자살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노인의 우울이 자살생각에 미치...
최근 노인의 자살률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고, 자살이 노인사망의 주요원인으로 주목되면서, 노인 자살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노인의 우울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력을 소속감이 완충하는지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최종적으로 1,169부를 분석하였다. 조사도구는 한국판 노인우울척도 단축형, 자살척도, 소속 감척도를 사용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조절회귀분석으로 분석했다. 연구결과, 성별, 가구소득, 우울이 자살 생각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특히 우울이 소속감과 상호작용할 때 자살생각에 상이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소속감의 조절효과가 증명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노인의 자살예방을 위한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ocial attention is being paid to the suicide of older adults since their suicide rate has been rapidly increasing and suicide is regarded as the primary reason for the death in the older population.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oderating effect of se...
Social attention is being paid to the suicide of older adults since their suicide rate has been rapidly increasing and suicide is regarded as the primary reason for the death in the older population.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oderating effect of sense of belonging in the association of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among the elderly, A total of 1,169 Korean elderly residing in the community completed the Geratric Depression Scale-Short Form-Korean, the Scale for Suicide, and the Sense of Belonging Instrument. The data was analyzed by using moderating multiple regression. Results indicated that gender, household income, depression affected suicide ideation. Specially, when depression interacted with sense of belonging, it showed different level of effects on suicide ideation proving its moderating effect, The practical implications have been suggested for the efforts to reduce suicide of older people within communities.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기백석, "한국판 노인 우울 척도 단축형의 표준화 예비연구" 35 (35): 298-307, 1996
2 김형수, "한국노인의 자살생각과 관련요인 연구" 한국노년학회 22 (22): 159-172, 2002
3 전진숙, "한국노인의 자살사고에 연관된 사회심리학적 요인" 9 (9): 132-139, 2005
4 박재산, "우리나라 노인의 자살충동에 영향을 주는 관련요인 연구" 한국보건사회학회 26 (26): 115-136, 2009
5 통계청, "사망원인통계연보"
6 김순규, "빈곤청소년의 학교적응유연성 발달모형 : 보호요인의 부가, 매개, 조절효과 모형을 중심으로" 전북대학교 대학원 2006
7 송영달, "독거노인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적 요인 분석" 한국노년학회 30 (30): 643-660, 2010
8 양순미, "농촌노인들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우울의 효과" 한국노인복지학회 32 (32): 377-396, 2006
9 박봉길, "노인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우울증을 매개로 한 관련요인 연구" 한국정신보건사회복지학회 22 (22): 58-90, 2006
10 한삼성, "노인의 자살생각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9 (29): 164-181, 2009
1 기백석, "한국판 노인 우울 척도 단축형의 표준화 예비연구" 35 (35): 298-307, 1996
2 김형수, "한국노인의 자살생각과 관련요인 연구" 한국노년학회 22 (22): 159-172, 2002
3 전진숙, "한국노인의 자살사고에 연관된 사회심리학적 요인" 9 (9): 132-139, 2005
4 박재산, "우리나라 노인의 자살충동에 영향을 주는 관련요인 연구" 한국보건사회학회 26 (26): 115-136, 2009
5 통계청, "사망원인통계연보"
6 김순규, "빈곤청소년의 학교적응유연성 발달모형 : 보호요인의 부가, 매개, 조절효과 모형을 중심으로" 전북대학교 대학원 2006
7 송영달, "독거노인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적 요인 분석" 한국노년학회 30 (30): 643-660, 2010
8 양순미, "농촌노인들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우울의 효과" 한국노인복지학회 32 (32): 377-396, 2006
9 박봉길, "노인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우울증을 매개로 한 관련요인 연구" 한국정신보건사회복지학회 22 (22): 58-90, 2006
10 한삼성, "노인의 자살생각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9 (29): 164-181, 2009
11 이인정, "노인의 우울과 자살생각의 관계에 대한 위기사건,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1 (31): 34-62, 2011
12 최형임, "노인의 우울과 자살생각에 관한 구조모형" 14 (14): 355-375, 2008
13 황미구, "노인의 우울과 인지능력이 건강 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자살생각을 매개변인으로 하여" 한국노인복지학회 41 (41): 385-404, 2008
14 배진희, "노인의 상실, 학대경험, 우울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인복지학회 44 (44): 49-70, 2009
15 김근영, "노인의 노화지식수준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노인에 대한 태도, 자아존중감 및 우울을 매개로 하여" 한국상담학회 10 (10): 651-668, 2009
16 김효창, "노인 자살의 특성과 자살유형에 관한 연구"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12 (12): 1-19, 2006
17 박광배, "고등학생의 대학입시목표와 자살생각" 9 (9): 20-32, 1990
18 朴炫宣, "貧困靑少年의 學校 適應柔軟性"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8
19 하정미, "‘인식된 짐스러움’과 ‘좌절된 소속감’이 노인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인복지학회 55 (55): 65-84, 2012
20 Joiner, Thomas., "Why People Die by Suicide" Harvard University Press 2005
21 Luthar, S. S., "Vulnerability and resilience : A study of high-risk adolescents" 62 : 600-616, 1991
22 Lee, R. M.,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onnectedness and anxiety, self-esteem, and social identity" 45 (45): 338-345, 1998
23 Masten, A. S., "The development of competence in favorable and unfavorable environments : Lessons from successful children" 53 : 205-220, 1998
24 McLaren, S., "The Association of Depression and Sense of Belonging with Suicidal Ideation Among Older Adults : Applicability of Resiliency Models" 37 (37): 89-102, 2007
25 Hawley, C. J., "Suicidal ideation as a presenting complaint. Associated diagnoses and characteristics in a casualty population" 159 : 232-238, 1991
26 Herbert, J., "Stress, the brain and mental illness" 315 : 530-535, 1997
27 Stevens and Van Tilberg., "Stimulating friendship in later life : a strategy for reducing loneliness among older women" 26 : 15-35, 2000
28 Simon, R., "Sex differences in the course of adolescent suicide ideation" 14 : 423-433, 1985
29 Hagerty, B. M., "Sense of belonging Canberra, Australia : Author. and indicators of social and psychological functioning" 5 : 235-244, 1996
30 Hagerty, B., "Sense of belonging : A vital mental health concept" 6 (6): 172-177, 1992
31 Conwell, Y., "Risk factors for suicide in late life" 52 : 193-204, 2002
32 Henderson, N., "Resiliency in schools : Making it happen for students and educators" Corwin Press, Inc 1996
33 Masten, A. S., "Resilience and development : Contributions from the study of children who overcome adversity" 2 (2): 425-444, 1990
34 McLaren, S., "Religion and spirituality" 58 (58): 36-52, 2003
35 Kumar, G., "Psychosocial correlates of suicidal ideation in adolescent psychiatricin patients" 25 : 339-346, 1995
36 Thompson-Fullilove, M., "Psychiatric implications of displacement : Contributions from the psychology of place" 153 : 1516-1523, 1996
37 Bailey, M., "Physiactivity alone and with others as predictors of sense of belonging and mental health in retirees" 9 : 82-90, 2005
38 Masten, A. S., "Ordinary magic : Resilience processes in development" 56 (56): 227-238, 2001
39 Conwell, Y., "Management of suicidal behavior in the elderly" 20 : 667-683, 1997
40 Gottfries, Carl-G., "Late life depression" 251 (251): 57-61, 2001
41 Awata, S., "Factors associated with suicidal ideation in an elderly urban Japaneses population : A community-based, cross-sectional study" 59 : 327-336, 2005
42 Hagerty, B. M., "Developing a measure of sense of belonging" 44 : 9-13, 1995
43 Alexopoulos, G. S., "Depression in the elderly" 4-10, 2003
44 Wenzel, A., "Cognitive therapy for suicidal patients : Scientific and clinical applications"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009
45 Klerman, G., "Clinical Epidemiology of suicide" 48 : 33-38, 1987
46 Beck, A. T., "Assessment of suicidal intention : The scale for suicide ideation" 47 (47): 343-352, 1979
47 Compas, B. E., "Adolesent development : Pathways and processes of risk and resilience" 46 : 265-293, 1995
48 Sheikh, J. I., "9/Geriatric Depression Scale (GDS)" 5 (5): 165-173, 1986
시설입소 정신장애인과 지역사회 정신장애인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
청소년의 자원봉사 활동 기간이 사회적 책임성에 미치는 영향 : 자원봉사활동 만족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장애노인의 우울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장애수용과 노후준비여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11-23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한국케어매니지먼트학회 -> 한국통합사례관리학회영문명 : Korean Academy of Care Management -> Korean Academy of Integrated Care Management | ![]() |
2018-05-17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Korea of Academy Care Management -> Korean Academy of Care Management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2015-12-01 | 평가 | 등재후보 탈락 (기타) |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13 | 1.13 | 1.2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17 | 1.19 | 1.629 | 0.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