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어능력시험의 읽기 문항 분석을 통한 읽기 평가 틀 점검 = Checking Reading Assessment Frame through Analyzing TOPIK Reading Question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55870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t the reading assessment frame category and make low ranks of assessment through a check of the reading assessment frame and through an analysis of the question items. Now, there are no reading assessment base categories. This study made a reading assessment frame and category and reading text in order to gauge the readers" process of understanding. The situational category of low rank items is informational and practical reading, persuasive reading, critical reading, social communicative reading, and reading for literacy. The text category is divided into category system and system type. The category system is continuity, discontinuity, mixed and multiple text. The type system is composed of the text for understanding and utilizing information, the text for persuading and criticizing, the text for category, and the literary text. The reading situation goes together with the text type. At last, the readers" understanding process has a low rank. This process is composed of practical understanding, inference understanding, and critical understanding. The frame was tested through an analysis of the assessment frame. As a result, there are some items which cannot be examined because of the lack of order of rank and connectivity.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t the reading assessment frame category and make low ranks of assessment through a check of the reading assessment frame and through an analysis of the question items. Now, there are no reading assessment base catego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t the reading assessment frame category and make low ranks of assessment through a check of the reading assessment frame and through an analysis of the question items. Now, there are no reading assessment base categories. This study made a reading assessment frame and category and reading text in order to gauge the readers" process of understanding. The situational category of low rank items is informational and practical reading, persuasive reading, critical reading, social communicative reading, and reading for literacy. The text category is divided into category system and system type. The category system is continuity, discontinuity, mixed and multiple text. The type system is composed of the text for understanding and utilizing information, the text for persuading and criticizing, the text for category, and the literary text. The reading situation goes together with the text type. At last, the readers" understanding process has a low rank. This process is composed of practical understanding, inference understanding, and critical understanding. The frame was tested through an analysis of the assessment frame. As a result, there are some items which cannot be examined because of the lack of order of rank and connectivit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서론
      • 2. 한국어능력시험 읽기 평가 틀 구성
      • 3. 한국어능력시험 읽기 문항 분석
      • 4. 결론
      • 참고문헌
      • 1. 서론
      • 2. 한국어능력시험 읽기 평가 틀 구성
      • 3. 한국어능력시험 읽기 문항 분석
      • 4.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선옥, "한국어능력시험의 읽기 평가 틀 체계화 방안 연구" 중앙어문학회 (52) : 39-60, 2012

      2 최수정, "한국어능력시험(TOPIK) 평가기준과 교재 분석 -경희대․고려대․연세대 초급1 교재 및 물건사기 단원을 바탕으로-" 한국중원언어학회 (20) : 317-346, 2011

      3 윤희원, "한국어능력시험(TOPIK) 개선 방안 연구" 한국어교육과정평가원 2010

      4 김정숙, "한국어능력시험 체제 개선 연구" 국립국제교육원 2011

      5 이상린, "한국어능력시험 읽기 영역 평가 틀에 대한 비판적 검토" 우리어문학회 (43) : 255-279, 2012

      6 양길석, "한국어능력시험 구인 분석 연구" 국립국제교육원 2012

      7 강현화, "한국어 이해교육론" 형설출판사 2009

      8 이도영, "읽기 평가 틀 구성 방안"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41) : 211-235, 2009

      9 서혁, "읽기 능력 검사 개발 연구 (1): 읽기 능력 검사의 하위 영역 설정 연구" 한국어교육학회 (123) : 213-242, 2007

      10 이경화, "읽기 기초학력의 재개념화와 평가 틀의 개선 방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9 (9): 259-272, 2009

      1 박선옥, "한국어능력시험의 읽기 평가 틀 체계화 방안 연구" 중앙어문학회 (52) : 39-60, 2012

      2 최수정, "한국어능력시험(TOPIK) 평가기준과 교재 분석 -경희대․고려대․연세대 초급1 교재 및 물건사기 단원을 바탕으로-" 한국중원언어학회 (20) : 317-346, 2011

      3 윤희원, "한국어능력시험(TOPIK) 개선 방안 연구" 한국어교육과정평가원 2010

      4 김정숙, "한국어능력시험 체제 개선 연구" 국립국제교육원 2011

      5 이상린, "한국어능력시험 읽기 영역 평가 틀에 대한 비판적 검토" 우리어문학회 (43) : 255-279, 2012

      6 양길석, "한국어능력시험 구인 분석 연구" 국립국제교육원 2012

      7 강현화, "한국어 이해교육론" 형설출판사 2009

      8 이도영, "읽기 평가 틀 구성 방안"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41) : 211-235, 2009

      9 서혁, "읽기 능력 검사 개발 연구 (1): 읽기 능력 검사의 하위 영역 설정 연구" 한국어교육학회 (123) : 213-242, 2007

      10 이경화, "읽기 기초학력의 재개념화와 평가 틀의 개선 방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9 (9): 259-272, 2009

      11 최연희, "영어 읽기 교육론" 한국문화사 2006

      12 김중섭, "국제 통용 한국어교육 표준 모형개발" 국립국어원 2010

      13 김중섭, "국제 통용 한국어 교육표준 모형 개발 2단계" 국립국어원 2011

      14 노명완, "국어과 교육론" 갑을출판사 1991

      15 이은정, "국가영어능력평가시험(NEAT)의 개발과 선행과제 연구" 한국중원언어학회 (23) : 167-188, 2012

      16 박경희,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읽기 영역의 개선 방안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1

      17 Goodman, K. S., "The reading process, In F. W. Gollasche (ed.), Language and Literacy" Routledge and Kegan Paul 151-178, 1975

      18 van Dink, T, "Strategies in discourse comprehension" Academic Press 1983

      19 이미경, "PISA 2003 결과 분석 연구-수학적 소양, 읽기 소양, 과학적 소양 수준 및 배경 변인 분석"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4

      20 노국향, "PISA 2000 읽기 평가 결과 분석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1

      21 이미경, "OECD/PISA 평가틀 및 공개 문항 분석-PISA 2000, 2003, 2006 공개 문항"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7

      22 김경희, "OECD 학업 성취도 국제비교 연구(PISA 2009)-예비 검사 시행 보고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11-22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Joong Won Linguistic Society Of Korea -> The Joongwon Linguistic Society of Korea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8-05-14 학회명변경 한글명 : 중원언어학회 -> 한국중원언어학회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2 0.52 0.5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5 0.51 0.864 0.1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