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박선옥, "한국어능력시험의 읽기 평가 틀 체계화 방안 연구" 중앙어문학회 (52) : 39-60, 2012
2 최수정, "한국어능력시험(TOPIK) 평가기준과 교재 분석 -경희대․고려대․연세대 초급1 교재 및 물건사기 단원을 바탕으로-" 한국중원언어학회 (20) : 317-346, 2011
3 윤희원, "한국어능력시험(TOPIK) 개선 방안 연구" 한국어교육과정평가원 2010
4 김정숙, "한국어능력시험 체제 개선 연구" 국립국제교육원 2011
5 이상린, "한국어능력시험 읽기 영역 평가 틀에 대한 비판적 검토" 우리어문학회 (43) : 255-279, 2012
6 양길석, "한국어능력시험 구인 분석 연구" 국립국제교육원 2012
7 강현화, "한국어 이해교육론" 형설출판사 2009
8 이도영, "읽기 평가 틀 구성 방안"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41) : 211-235, 2009
9 서혁, "읽기 능력 검사 개발 연구 (1): 읽기 능력 검사의 하위 영역 설정 연구" 한국어교육학회 (123) : 213-242, 2007
10 이경화, "읽기 기초학력의 재개념화와 평가 틀의 개선 방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9 (9): 259-272, 2009
1 박선옥, "한국어능력시험의 읽기 평가 틀 체계화 방안 연구" 중앙어문학회 (52) : 39-60, 2012
2 최수정, "한국어능력시험(TOPIK) 평가기준과 교재 분석 -경희대․고려대․연세대 초급1 교재 및 물건사기 단원을 바탕으로-" 한국중원언어학회 (20) : 317-346, 2011
3 윤희원, "한국어능력시험(TOPIK) 개선 방안 연구" 한국어교육과정평가원 2010
4 김정숙, "한국어능력시험 체제 개선 연구" 국립국제교육원 2011
5 이상린, "한국어능력시험 읽기 영역 평가 틀에 대한 비판적 검토" 우리어문학회 (43) : 255-279, 2012
6 양길석, "한국어능력시험 구인 분석 연구" 국립국제교육원 2012
7 강현화, "한국어 이해교육론" 형설출판사 2009
8 이도영, "읽기 평가 틀 구성 방안"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41) : 211-235, 2009
9 서혁, "읽기 능력 검사 개발 연구 (1): 읽기 능력 검사의 하위 영역 설정 연구" 한국어교육학회 (123) : 213-242, 2007
10 이경화, "읽기 기초학력의 재개념화와 평가 틀의 개선 방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9 (9): 259-272, 2009
11 최연희, "영어 읽기 교육론" 한국문화사 2006
12 김중섭, "국제 통용 한국어교육 표준 모형개발" 국립국어원 2010
13 김중섭, "국제 통용 한국어 교육표준 모형 개발 2단계" 국립국어원 2011
14 노명완, "국어과 교육론" 갑을출판사 1991
15 이은정, "국가영어능력평가시험(NEAT)의 개발과 선행과제 연구" 한국중원언어학회 (23) : 167-188, 2012
16 박경희,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읽기 영역의 개선 방안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1
17 Goodman, K. S., "The reading process, In F. W. Gollasche (ed.), Language and Literacy" Routledge and Kegan Paul 151-178, 1975
18 van Dink, T, "Strategies in discourse comprehension" Academic Press 1983
19 이미경, "PISA 2003 결과 분석 연구-수학적 소양, 읽기 소양, 과학적 소양 수준 및 배경 변인 분석"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4
20 노국향, "PISA 2000 읽기 평가 결과 분석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1
21 이미경, "OECD/PISA 평가틀 및 공개 문항 분석-PISA 2000, 2003, 2006 공개 문항"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7
22 김경희, "OECD 학업 성취도 국제비교 연구(PISA 2009)-예비 검사 시행 보고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