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한국 교원정책연구의 지적구조 탐색 : 저자서지결합 분석을 중심으로 = An Inquiry on the Intellectual Structure in Korea Teacher Policy Research : Focusing on Author Bibliographic Coupling Analysi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386369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한국 교원정책연구와 관련된 주요 저자들 사이의 인용관계로 인해 나타나는 ‘지적구조’를 분석하는 학문적 작업이다. ‘지적구조’의 의미는 계량서지학 분야에서 사용하는 지적구조로서 교원정책연구 분야에서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는 주요 연구자(군)를 찾아내고, 이들의 인용관계를 분석해 연구주제의 유사성을 바탕으로 한 연구자들 사이의 관계성을 밝히며, 이를 바탕으로 교원정책연구의 하위주제영역을 파악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인용분석 방법 가운데 저자서지결합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대상 논문은 한국학술지인용색인(KCI) 등재(후보) 학술지에 2002년~2014년 7월까지 게재된 교원정책 관련 연구논문으로 KCI DB에서 검색하여 수집하였다. 수집한 논문의 저자를 조사하고, 저자별 논문게재빈도를 계산하여 게재빈도가 높은 상위 53명의 저자를 분석대상 저자로 선정하였다. 분석대상 저자들의 논문에 인용된 참고문헌 저자를 조사하여 저자들 사이의 코사인 유사도 행렬과 피어슨 상관계수 행렬을 구하고, 이를 이용하여 53명의 분석대상 저자들 중 교원정책연구의 주요 연구자 48명을 선정하였다.
      군집 분석과 다차원척도 분석을 통해 주요 연구자들을 연구주제의 유사성에 따라 7개 군집으로 나누고, 이를 2차원 지도에 나타내었다. 이로부터 교원정책연구의 하위주제영역으로 ‘평가’, ‘양성/연수’, ‘양성’, ‘연수’, ‘선발․임용’, ‘권리․의무’, ‘포상․징계’를 확인하였다. 패스파인더 네트워크 분석으로 연구주제의 유사성에 의한 주요 연구자들의 네트워크를 시각화하고, 병렬 최근접이웃 클러스터링 기법을 적용하여 11개 군집으로 나누었다. 이로부터 확인된 교원정책연구의 하위주제영역은 ‘평가’, ‘보수’, ‘양성’, ‘수급․배치’, ‘연수’, ‘선발․임용’, ‘교직단체’, ‘권리․의무’, ‘포상․징계’의 9개 영역이다. 그리고 네트워크 중심성 분석을 통해 전역 중심성이 높아서 다른 연구자들과 폭넓게 연계되어 있는 연구자와 지역 중심성이 높아서 자신이 속한 군집에서 영향력 있는 연구자, 교원정책연구의 핵심 주제영역이면서 교원정책연구 전반에 걸쳐 폭넓게 연계된 하위주제영역을 조사하였다.
      한편, 교원정책연구의 주요 연구자들을 대상으로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조사하여 교원정책연구의 신진연구자를 밝혀내었고, 주요 연구자들의 연구 활동 기간과 소속기관 유형이 저자들의 군집 형성과 상관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저자서지결합 분석에서 제외하였던 학술대회 주제, 정부출연 연구기관(한국교육개발원) 및 교육부의 연구보고서, 정책보고서의 주제를 분석한 결과 저자서지결합 분석보다 연구주제 영역이 더 적은 것으로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로부터 교원정책연구의 연구자 집단의 확충과 ‘교원정책’연구의 활성화, 주요 연구자의 특성과 네트워크 형성, 주요 연구자들의 중심성과 연구주제 영역의 광범위성, 특정 주제영역에 집중된 교원정책연구, 연구방법의 유용성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그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내린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원정책연구가 활성화되고 발전하기 위해서 교원정책 전문 연구자를 육성하는 한편 연구자의 저변 확대와 다양화를 위해 연구자 집단을 모으고 지속적으로 교원정책연구 활동을 할 수 있도록 학문적․정책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국가는 교원정책의 정책과정에 연계하여 교원정책연구를 제도적․기능적으로 활성화하고 진흥할 필요가 있다.
      둘째, 한국 교원정책연구는 ‘평가’ 영역과 ‘양성’ 영역에 특히 집중되는 경향을 보인 반면에 교직생활의 질을 향상시키는 정책의 연구에는 정책 당국이나 연구자들이 다 같이 무관심하였다. 교원정책연구가 미래의 교원정책 수립과 결정에 기여할 수 있으려면 지금까지 연구되지 않았던 영역에 대해서도 연구문제를 찾아내고, 또한 최근 들어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으나 아직 교원정책 영역에 포함되지 못한 학교장의 역량, 리더십, 전문성, 교직문화 등의 주제들에 대해서도 연구 활동이 수행되어져야 한다.
      셋째, 현재는 교원정책연구의 주요 연구자들 사이의 개인적․학문적 친밀관계나 사제관계를 포함한 출신학교 배경 및 연구자들의 경력․경험의 공유에 의해 연구자 네트워크가 형성되어 있는데 교원정책연구가 활성화하고 발전하기 위해서는 학문적 문제의식을 공유하고 함께 연구를 해나가는 결속력 있는 학문 공동체가 형성될 필요가 있다.
      이상과 같은 논의를 바탕으로 국가(정부)는 교원정책의 중요성에 주목하고 한국 교원정책연구를 활성화할 수 있도록 지원, 진흥할 수 있는 다양한 정책적 배려를 모색할 필요가 있음과 학계와 연구자들에게 교원정책연구 분야의 학문적 정체성이 확립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는 인식이 확산되고 공유되어야 함을 제언하였다. 또한, 후속연구를 위해서는 교원정책연구와 국가의 교원정책 추진을 시기적․맥락적 차원에서 관련성을 분석하는 후속 연구가 필요하고, 연구대상 기간을 다양화하고 분석기법을 다양하게 결합한 연구를 교원정책연구뿐 아니라 다른 연구 분야에도 적용해 볼 수 있음을 제언하였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한국 교원정책연구와 관련된 주요 저자들 사이의 인용관계로 인해 나타나는 ‘지적구조’를 분석하는 학문적 작업이다. ‘지적구조’의 의미는 계량서지학 분야에서 사용하는 ...

      이 연구는 한국 교원정책연구와 관련된 주요 저자들 사이의 인용관계로 인해 나타나는 ‘지적구조’를 분석하는 학문적 작업이다. ‘지적구조’의 의미는 계량서지학 분야에서 사용하는 지적구조로서 교원정책연구 분야에서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는 주요 연구자(군)를 찾아내고, 이들의 인용관계를 분석해 연구주제의 유사성을 바탕으로 한 연구자들 사이의 관계성을 밝히며, 이를 바탕으로 교원정책연구의 하위주제영역을 파악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인용분석 방법 가운데 저자서지결합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대상 논문은 한국학술지인용색인(KCI) 등재(후보) 학술지에 2002년~2014년 7월까지 게재된 교원정책 관련 연구논문으로 KCI DB에서 검색하여 수집하였다. 수집한 논문의 저자를 조사하고, 저자별 논문게재빈도를 계산하여 게재빈도가 높은 상위 53명의 저자를 분석대상 저자로 선정하였다. 분석대상 저자들의 논문에 인용된 참고문헌 저자를 조사하여 저자들 사이의 코사인 유사도 행렬과 피어슨 상관계수 행렬을 구하고, 이를 이용하여 53명의 분석대상 저자들 중 교원정책연구의 주요 연구자 48명을 선정하였다.
      군집 분석과 다차원척도 분석을 통해 주요 연구자들을 연구주제의 유사성에 따라 7개 군집으로 나누고, 이를 2차원 지도에 나타내었다. 이로부터 교원정책연구의 하위주제영역으로 ‘평가’, ‘양성/연수’, ‘양성’, ‘연수’, ‘선발․임용’, ‘권리․의무’, ‘포상․징계’를 확인하였다. 패스파인더 네트워크 분석으로 연구주제의 유사성에 의한 주요 연구자들의 네트워크를 시각화하고, 병렬 최근접이웃 클러스터링 기법을 적용하여 11개 군집으로 나누었다. 이로부터 확인된 교원정책연구의 하위주제영역은 ‘평가’, ‘보수’, ‘양성’, ‘수급․배치’, ‘연수’, ‘선발․임용’, ‘교직단체’, ‘권리․의무’, ‘포상․징계’의 9개 영역이다. 그리고 네트워크 중심성 분석을 통해 전역 중심성이 높아서 다른 연구자들과 폭넓게 연계되어 있는 연구자와 지역 중심성이 높아서 자신이 속한 군집에서 영향력 있는 연구자, 교원정책연구의 핵심 주제영역이면서 교원정책연구 전반에 걸쳐 폭넓게 연계된 하위주제영역을 조사하였다.
      한편, 교원정책연구의 주요 연구자들을 대상으로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조사하여 교원정책연구의 신진연구자를 밝혀내었고, 주요 연구자들의 연구 활동 기간과 소속기관 유형이 저자들의 군집 형성과 상관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저자서지결합 분석에서 제외하였던 학술대회 주제, 정부출연 연구기관(한국교육개발원) 및 교육부의 연구보고서, 정책보고서의 주제를 분석한 결과 저자서지결합 분석보다 연구주제 영역이 더 적은 것으로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로부터 교원정책연구의 연구자 집단의 확충과 ‘교원정책’연구의 활성화, 주요 연구자의 특성과 네트워크 형성, 주요 연구자들의 중심성과 연구주제 영역의 광범위성, 특정 주제영역에 집중된 교원정책연구, 연구방법의 유용성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그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내린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원정책연구가 활성화되고 발전하기 위해서 교원정책 전문 연구자를 육성하는 한편 연구자의 저변 확대와 다양화를 위해 연구자 집단을 모으고 지속적으로 교원정책연구 활동을 할 수 있도록 학문적․정책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국가는 교원정책의 정책과정에 연계하여 교원정책연구를 제도적․기능적으로 활성화하고 진흥할 필요가 있다.
      둘째, 한국 교원정책연구는 ‘평가’ 영역과 ‘양성’ 영역에 특히 집중되는 경향을 보인 반면에 교직생활의 질을 향상시키는 정책의 연구에는 정책 당국이나 연구자들이 다 같이 무관심하였다. 교원정책연구가 미래의 교원정책 수립과 결정에 기여할 수 있으려면 지금까지 연구되지 않았던 영역에 대해서도 연구문제를 찾아내고, 또한 최근 들어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으나 아직 교원정책 영역에 포함되지 못한 학교장의 역량, 리더십, 전문성, 교직문화 등의 주제들에 대해서도 연구 활동이 수행되어져야 한다.
      셋째, 현재는 교원정책연구의 주요 연구자들 사이의 개인적․학문적 친밀관계나 사제관계를 포함한 출신학교 배경 및 연구자들의 경력․경험의 공유에 의해 연구자 네트워크가 형성되어 있는데 교원정책연구가 활성화하고 발전하기 위해서는 학문적 문제의식을 공유하고 함께 연구를 해나가는 결속력 있는 학문 공동체가 형성될 필요가 있다.
      이상과 같은 논의를 바탕으로 국가(정부)는 교원정책의 중요성에 주목하고 한국 교원정책연구를 활성화할 수 있도록 지원, 진흥할 수 있는 다양한 정책적 배려를 모색할 필요가 있음과 학계와 연구자들에게 교원정책연구 분야의 학문적 정체성이 확립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는 인식이 확산되고 공유되어야 함을 제언하였다. 또한, 후속연구를 위해서는 교원정책연구와 국가의 교원정책 추진을 시기적․맥락적 차원에서 관련성을 분석하는 후속 연구가 필요하고, 연구대상 기간을 다양화하고 분석기법을 다양하게 결합한 연구를 교원정책연구뿐 아니라 다른 연구 분야에도 적용해 볼 수 있음을 제언하였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 2. 연구문제 8
      • 3. 연구의 범위와 제한점 9
      • Ⅱ. 교원정책연구와 학문의 지적구조 13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 2. 연구문제 8
      • 3. 연구의 범위와 제한점 9
      • Ⅱ. 교원정책연구와 학문의 지적구조 13
      • 1. 교원정책과 교원정책연구 13
      • 가. 교원정책의 개념 13
      • 나. 교원정책연구의 현황 15
      • 다. 교원정책연구의 하위주제영역 고찰 23
      • 2. 학문의 지적구조에 대한 계량서지학적 접근 27
      • 가. 지적구조의 개념 27
      • 나. 지적구조 구명을 위한 접근방법 29
      • 3. 계량서지학적 지적구조 분석 31
      • 가. 인용분석 31
      • 나. 인용분석 기법의 비교 42
      • 4. 연구모형 44
      • Ⅲ. 연구방법 46
      • 1. 자료 수집 46
      • 2. 저자 선정 48
      • 3. 저자서지결합 행렬 작성 52
      • 가. 코사인 유사도 행렬 55
      • 나. 피어슨 상관계수 행렬 56
      • 4. 지적구조의 시각화 58
      • 가. 군집 분석 59
      • 나. 다차원척도 분석 60
      • 다. 네트워크 분석 62
      • 5. 교원정책 관련 정책연구와 학술대회 주제 조사 65
      • Ⅳ. 한국 교원정책연구의 지적구조 분석 결과 67
      • 1. 분석대상 논문 현황 67
      • 2. 한국 교원정책연구의 주요 저자 71
      • 3. 저자서지결합 행렬 74
      • 4. 군집 분석과 다차원척도 분석에 의한 저자 군집 78
      • 가. 군집 분석에 의한 저자 군집 78
      • 나. 다차원척도 분석에 의한 저자지도 90
      • 5. 네트워크 분석에 의한 지적구조 98
      • 가. 하위주제영역 네트워크 98
      • 나. 네트워크 중심성 분석 109
      • 6. 연구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의한 지적구조 118
      • 가. 연구자의 성별 118
      • 나. 연구자의 연령분포와 연구활동 기간 119
      • 다. 연구자의 학위 수여교 현황 125
      • 라. 연구자의 소속기관 분포 127
      • 7. 교원정책 관련 정책연구 및 학술대회 주제 분석 132
      • 8. 한국 교원정책연구의 지적구조 139
      • 가. 교원정책연구의 주요 연구자 139
      • 나. 교원정책연구 주요 연구자들의 상호관계 141
      • 다. 교원정책연구의 하위주제영역 143
      • Ⅴ. 논의 148
      • 1. 연구자 집단의 확충과 교원정책연구의 활성화 148
      • 2. 한국 교원정책연구의 주요 연구자의 특성 150
      • 3. 주요 연구자들 간의 네트워크 형성 152
      • 4. 주요 연구자들의 중심성과 연구주제 영역의 광범위성 153
      • 5. 특정 주제영역에 집중된 교원정책연구 153
      • 6. 연구방법의 유용성 156
      • Ⅵ. 결론 157
      • 1. 요약과 결론 157
      • 2. 제언 160
      • 참고문헌 163
      • Abstract 170
      • 부 록 174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노화준, "『정책학원론』", 박영사, 서울:대명 출판사, 2012

      2 김병찬, "교원정책의 과제", 교육비평, 교육비평,34,74-104, 2014

      3 신현석, "한국의 교원정책", 서울:학지사, 2010

      4 이재윤, "서지적 저자결합분석", 한국정보관리학회, 정보관리학회지,25(1),173-190, 2008

      5 민윤경, "인용분석의 이론적 고찰", 이화여자대학교 도서관학과, 도서관학보,10,110-142, 1993

      6 김진모, "인적자원개발 연구 동향",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36(4), 115-138, 2004

      7 강병서, "SPSS17.0사회과학 통계분석", 한나래아카데미, 서울:한나래출판 사, 2009

      8 趙明姬, "전문영역의 주제구조분석", 한국문헌정보학회, 도서관학,22(1),331-360, 1992

      9 김경화, "교원정책개혁의 성과와 과제", 한국아동교육학회, 아동교육,12,1-17, 2003

      10 이일용, "한국교육정치학의 연구 동향", 교육정치학연구,11,22-45, 2004

      1 노화준, "『정책학원론』", 박영사, 서울:대명 출판사, 2012

      2 김병찬, "교원정책의 과제", 교육비평, 교육비평,34,74-104, 2014

      3 신현석, "한국의 교원정책", 서울:학지사, 2010

      4 이재윤, "서지적 저자결합분석", 한국정보관리학회, 정보관리학회지,25(1),173-190, 2008

      5 민윤경, "인용분석의 이론적 고찰", 이화여자대학교 도서관학과, 도서관학보,10,110-142, 1993

      6 김진모, "인적자원개발 연구 동향",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36(4), 115-138, 2004

      7 강병서, "SPSS17.0사회과학 통계분석", 한나래아카데미, 서울:한나래출판 사, 2009

      8 趙明姬, "전문영역의 주제구조분석", 한국문헌정보학회, 도서관학,22(1),331-360, 1992

      9 김경화, "교원정책개혁의 성과와 과제", 한국아동교육학회, 아동교육,12,1-17, 2003

      10 이일용, "한국교육정치학의 연구 동향", 교육정치학연구,11,22-45, 2004

      11 김병찬, "현직교원교육의 변화 동향 고찰", 한국교원교육연구,21(3), 363-388, 2004

      12 정영수, "한국교원정책 60년의 성과와 과제", 한국교육학회, 교육학연구,47,135-160, 2009

      13 윤구호, "계량서지학적 연구의 이론과 실제", 정보관리연구,20(1), 1-29, 1986

      14 尹亨遠, "합리적 교원정책수립을 위한 제언", 韓國敎師敎育學會, 한국교원교육연구,10, 10-25, 1994

      15 김석영, "국내 문헌의 저자동시인용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연구,19, 73-94, 1988

      16 오태진, "한국 교원정책의 전개과정에 관한 고찰", 한국교육사학,23, 81-113, 2001

      17 문주영, "2000년대 비서학연구의 저자동시인용분석", 한국비서학회, 비서학논총, 20(1),25-44, 2011

      18 정성수, 허은정, "예비교사교육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 분석", 한국교육학회, 교육 학연구,51(4),1-25, 2013

      19 조흥순 ( Heung Soon Cho ), 전상훈 ( Sang Hoon Jeon ), "한국 교육정책학의 최근 연구동향(2006-2010)", 안암교육학회, 한 국교육학연구,17(3),29-62, 2011

      20 박상완, "현직교사교육 연구 동향 분석: 특징과 과제", 한국교원교육학회, 한국교원교육 연구,31(2),227-254, 2014

      21 김규태, 신지승, "한국 초·중등 교육의 책무성 연구 동향 분석", 한국열린교육학회, 열 린교육연구,22(4),347-370, 2014

      22 이정희, "예산이론 연구프로그램의 지적구조에 관한 연구",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정책분석 평가학회보,21(3),115-148, 2011

      23 김은경, "한국 평생교육학의 지적구조 분석.박사학위논문", 공주대 학교, 2013

      24 박상완, 김이경, 이태상, "OECD 한국 교원정책 검토 결과에 대한 비판적 분석", 한국교육,32,297-319, 2005

      25 곽선영, "경제학 분야의 복수저자동시인용 분석.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2012

      26 이재윤(Jae-Yun Lee), "국내 최신 동향 파악을 위한 새로운 지적 구조 분석법", 한국정보관리학회, 제13회 한국정보관리학회 학술대회 논문집,145-152, 2006

      27 이재윤, "지적 구조 분석을 위한 MDS 지도 작성 방식의 비교 분석", 한국문헌정보학회지,41(2).335-357, 2007

      28 박지연, "문헌정보학의 지적구조 분석에 관한 연구.박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2013

      29 최상희, 이재윤, "계량정보학의 지적구조 분석 연구:2001-2010연구 영역 분석", 한국정보관리학회,28(2),11-36, 2011

      30 신현석, "교사교육의 연구동향:연구 주제들에 대한 종합적인 분석", 교육학연구,33(3),325-342, 1995

      31 이재윤, "지적 구조의 규명을 위한 네트워크 형성 방식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40(2),333-355, 2006

      32 이재윤, "계량서지적 네트워크 분석을 위한 중심성 척도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40(3),191-214, 2006

      33 서정화, 김숙이, 박영숙, 김용호, 임해철, 조동섭, 전제상, "한국교육정책 50년사 데이터베이스 구축 연구:연구동향분석", 한국교원교 육연구,22(2),181-198, 2005

      34 정은경, 이재윤, "A ComparativeAnalysisonMultipleAuthorship Counting forAuthorCo-citation Analysis", 정보관리학회지,31(2), 57-77, 2014

      35 김광재, 박종구, "저자동시인용 분석방법을 이용한 혁신확산 연구의 지적구조", 한국방송학회, 한국방송학보,25(6),52-87, 2011

      36 이재윤, "지적 구조 분석을 위한 새로운 클러스터링 기법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23(4),215-231, 2006

      37 김영진, "논문의 동시인용을 통한 지적(知的)구조의 규명에 관한 연 구", 정보관리학회지,3(1),103-135, 1986

      38 김희전(Hee-Jeon Kim), 조현양(Hyun-Yang Cho), "저자동시인용분석과 저자서지결합분석에 의한 지적 구조 분석", 韓國情報管理學會, 정보관리학회지,27(3),283-306, 2010

      39 김영주, "국내 건축학분야 연구자들의 지적구조에 관한 연구.석 사학위논문", 경기대학교, 2005

      40 이명옥, "여성연구분야 저자동시인용분석에 관한 연구.교육학석 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1996

      41 양미경, "학회지 인용 분석을 통한 우리나라 교육학 학문공동체의 특성 탐색", 교육학연구,49(3),1-31, 2011

      42 박균열, 전상훈, 신원학, 주휘정, 신현석, "한국 교육행정학의 연구 동향 분석:『교육행정학연구』를 중심으로", 교육행정학연구,27(4), 23-56, 2009

      43 정은경, Chung, Eun-Kyung, Byun, Ji-Hye, 변지혜, "저자서지결합분석에 의한 국내 전기공학분야 지적 구조에 관한 연구",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정보관리연구,42(4),76-94, 2011

      44 이석열, 변기용, 김수홍, "한국 고등교육 정책연구의 동향 분석: 연구주제 및연구자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아시아교육연구,11(1),121-145, 2010

      45 전은주, "저자동시인용분석을 통한 상담학의 지적구조 분석.교육 학박사학위논문", 경성대학교, 2011

      46 정성수, "한국 교육정책학의 최근 연구동향 분석-『교육행정학연구』를중심으로-", 교육행정학연구,26(4),191-216, 2008

      47 이은숙, 정영미, "복수저자를 고려한 동시인용분석 연구 : 정보학과 컴퓨터과학을 대상으로", 지식처리연구,3(2),1-26, 2002

      48 김민, "한국 청소년학의 학문공동체 형성과 지적구조에 관한 연 구.박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2008

      49 김병찬, 유경훈, "‘한국교원교육연구’학술지 논문에 나타난 교원교 육 분야 연구 동향 특징", 한국교원교육학회, 한국교원교육연구,30(4),1-34, 2013

      50 윤구호, 서말숙, "저자동시 인용분석에 의한 1990년대 한국문헌정보학의 지적구조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32(3),169-197, 2001

      51 장윤미, "자아 중심 주제 인용 분석에 의한 독서치료 주제 분야 지적 구조에 관한 연구", 한국정보관리학회, 제20회 한국정보관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37-41, 2013

      52 곽선영, 정은경, "복수저자기반 동시인용분석을 활용한 지적구조 분 석:경제학 분야를 중심으로", 한국정보관리학회, 정보관리학회지,29(1),115-134, 2012

      53 김희정, Kim, Hee-Jung, "저자 동시인용분석에 의한 국내외 기록관리학 분야의 지적구조 비교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 한국문헌정보학회지,39(3),207-224, 2005

      54 서선경, "동시출현단어 분석에 의한 오픈 액세스 분야 지적구조 에 관한 연구.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2013

      55 김하정, "저자동시인용분석에 의한 국어학의 지적구조에 관한 연 구.도서관학석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1995

      56 서말숙, "저자동시인용분석에 의한 한국문헌정보학의 지적 구조 에 관한 연구.석사학위논문", 계명대학교, 2001

      57 민윤경, "저자동시인용분석에 의한 경영학 분야의 지적구조 규명 에 관한 연구.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1992

      58 변지혜, "저자서지결합분석에 의한 국내 전기공학 분야 지적구조 에 관한 연구.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2011

      59 송민, 허고은, "저자동시인용 분석과 동시출현단어 분석을 이용한 의료정보학 저널의 지적구조 분석", 한국정보관리학회, 정보관리학회지,30(2),207-225, 2013

      60 박기범, "서지결합분석을 활용한 국내 학문영역 간 유사관계 도 출 및 시각화.공학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2014

      61 김재욱, 이진화, 이소영, 김향미, "저자 동시 인용 분석을 통한 “관 계 마케팅” 연구동향 및 지적구조 규명에 관한 연구", 마케팅연구, 23(3),1-35, 2007

      62 서인혁, "국내 언론학 분야 저자들의 지적구조와 저자관계에 관 한 연구.문헌정보학석사학위논문", 부산대학교, 2011

      63 박미경, "교원정책에 관한 초등교원의 인식분석:국민의 정부이후 를 중심으로.교육학석사학위논문", 인천교육대학교, 2001

      64 이은숙, "복수저자를 고려한 저자동시인용분석 연구:정보학과 컴 퓨터과학을 대상으로.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2003

      65 김영준, "한국 언론학의 지적구조 변화에 관한 연구:저자동시인 용 분석 및 저자 간 교류 분석.박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2008

      66 민형진, "국내 IT 아웃소싱 연구의 지적구조에 관한 연구:저자서 지결합 분석을 중심으로.경영학석사학위논문", 건국대학교, 2012

      67 김희전, "저자동시인용분석과 저자서지결합분석에 의한 지적구조 분석:사회복지학 분야를 중심으로.박사학위논문", 경기대학교, 2010

      68 김희진, "한국 미술치료학 분야의 지적구조 분석:저자동시인용분 석과 저자서지결합분석을 중심으로.교육학박사학위논문", 경성대학 교, 2012

      69 김도미, "저자동시인용 분석과 인용한 문헌의 색인어 분석에 의 한 지적구조의 규명:경제학 분야를 대상으로.석사학위논문", 연세 대학교, 1993

      70 김현정, Kim, Hyun-Jung, "Journalof Communication의 편집위원회에 대한 저자동 시인용분석을 이용한 언론학 분야의 지적구조와 사회적 배경 분석: 2008년과 2011년 비교",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한국비블리아학회지,23(2),109-132, 201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