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불응성 위식도역류질환에 대한 의ㆍ한 협력 진료의 유효성과 안전성 평가 = Efficacy and Safety of Cooperative Treatment of Western Medicine and Korean Medicine on Patients with Refractory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E1661152

      • 저자
      • 발행기관
      • 발행연도

        2019년

      • 작성언어

        Korean

      • KDC

        510

      • 자료형태

        국립의과학지식센터(NCMIK)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1. Purpose & Contents
      - Establishment of a large-scale clinical trial protocol to build up an objective evidence base on the safety and efficacy of cooperative treatment of western medicine and Korean medicine
      - Find out the reasons for the disease that is a social issue, considered to be superior in both treatments
      - Development of medical technology that can be used jointly or supplementally in clinical practice of Korean medicine
      2. Results
      - Establish a large-scale clinical trial protocol(randomized, double-blind, multi-center trial) to asses the safety and efficacy of cooperative treatment of western medicine and Korean medicine for refractory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 Phase Ⅰ clinical trials for drug interactions were designed to evaluate the effect of cooperative treatment.
      - The role sharing of research and cooperation plan for conducting the research by participating medical institutions were discussed and decided.
      - We selected a well-founded treatment that is actively used in the clinical medicine.
      - Provide a basis for the detailed design of the clinical trial protocol through previous studies and medical guidelines
      literature review.
      - Consulted by a specialist in statistics, setting the number of subjects and the evaluation variables in consideration of clinical significance
      - For the management and objective evaluation of lifestyle which may have a valid influence on the clinical trial results, consult with a clinical nutritionist and include the diet management plan.
      3. Expected Contribution
      - If clinical results based on this protocol demonstrate better clinical outcome than individual treatment, it will help to develop domestic critical pathway of cooperative treatment for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and establish a clinical evidence for the use of Yukgunja-Tang in national health insurance system.
      - It is anticipated that clinical efficacy of cooperative treatments can be evaluated by applying this clinical protocol to the chronic gastrointestinal disorder.
      번역하기

      1. Purpose & Contents - Establishment of a large-scale clinical trial protocol to build up an objective evidence base on the safety and efficacy of cooperative treatment of western medicine and Korean medicine - Find out the reasons for the diseas...

      1. Purpose & Contents
      - Establishment of a large-scale clinical trial protocol to build up an objective evidence base on the safety and efficacy of cooperative treatment of western medicine and Korean medicine
      - Find out the reasons for the disease that is a social issue, considered to be superior in both treatments
      - Development of medical technology that can be used jointly or supplementally in clinical practice of Korean medicine
      2. Results
      - Establish a large-scale clinical trial protocol(randomized, double-blind, multi-center trial) to asses the safety and efficacy of cooperative treatment of western medicine and Korean medicine for refractory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 Phase Ⅰ clinical trials for drug interactions were designed to evaluate the effect of cooperative treatment.
      - The role sharing of research and cooperation plan for conducting the research by participating medical institutions were discussed and decided.
      - We selected a well-founded treatment that is actively used in the clinical medicine.
      - Provide a basis for the detailed design of the clinical trial protocol through previous studies and medical guidelines
      literature review.
      - Consulted by a specialist in statistics, setting the number of subjects and the evaluation variables in consideration of clinical significance
      - For the management and objective evaluation of lifestyle which may have a valid influence on the clinical trial results, consult with a clinical nutritionist and include the diet management plan.
      3. Expected Contribution
      - If clinical results based on this protocol demonstrate better clinical outcome than individual treatment, it will help to develop domestic critical pathway of cooperative treatment for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and establish a clinical evidence for the use of Yukgunja-Tang in national health insurance system.
      - It is anticipated that clinical efficacy of cooperative treatments can be evaluated by applying this clinical protocol to the chronic gastrointestinal disorder.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1. 연구의 목적 및 내용
      - 의·한 협진의 안전성과 유효성에 대한 객관적 근거를 구축하기 위한 대규모 임상시험 프로토콜 수립
      - 사회적 현안이 되는 질환 및 양·한방 동시 접근이 우수할 것으로 판단되는 질환에 대한 근거 발굴
      - 한방 임상현장에서 공동으로 사용될 수 있는 의료기술 개발
      2. 연구개발성과
      - 불응성 위식도역류질환에 대한 의·한 협력진료의 안전성과 유효성을 평가하기 위한 대규모 임상시험 프로토콜을 수립함(무작위배정, 이중 맹검, 다기관 임상시험).
      - 약물상호작용에 대한 1상 임상시험을 설계하여 양·한방 공동 치료의 약동약력학적 평가방안 마련함.
      - 참여 연구진간 의료기관별 연구 수행을 위한 연구 분담 및 협력에 대한 구체적 방안 마련.
      - 실제 임상에서 활발하게 사용되고 있고, 어느 정도 근거가 확립되어 있는 양·한방 공동 치료를 선정함.
      - 선행연구, 진료지침 문헌 조사를 통해 임상시험 프로토콜의 상세한 설계를 위한 근거를 마련함.
      - 통계학 전문가의 자문을 구하여 임상적 유의성을 고려한 주평가변수, 피험자수를 설정함.
      - 임상시험 결과에 유효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생활습관의 관리 및 객관적 평가를 위하여 임상영양학 전문가의 자문을 구하여 식이관리방안 추가함.
      3. 연구개발성과의 활용계획(기대효과)
      - 본 프로토콜에 입각한 임상시험의 결과로 개별진료보다 나은 임상적 성과가 입증된다면 위식도역류질환에 대한 의·한 협진 진료지침(CP)을 개발하고, 육군자탕의 건강보험 급여화에 활용할 수 있는 임상 근거 확보에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됨.
      - 만성적 경과를 보이는 다빈도 위장관질환에 본 임상시험 프로토콜을 응용하여 의·한 협력진료의 효능을 평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
      번역하기

      1. 연구의 목적 및 내용 - 의·한 협진의 안전성과 유효성에 대한 객관적 근거를 구축하기 위한 대규모 임상시험 프로토콜 수립 - 사회적 현안이 되는 질환 및 양·한방 동시 접근이 우수할 것�...

      1. 연구의 목적 및 내용
      - 의·한 협진의 안전성과 유효성에 대한 객관적 근거를 구축하기 위한 대규모 임상시험 프로토콜 수립
      - 사회적 현안이 되는 질환 및 양·한방 동시 접근이 우수할 것으로 판단되는 질환에 대한 근거 발굴
      - 한방 임상현장에서 공동으로 사용될 수 있는 의료기술 개발
      2. 연구개발성과
      - 불응성 위식도역류질환에 대한 의·한 협력진료의 안전성과 유효성을 평가하기 위한 대규모 임상시험 프로토콜을 수립함(무작위배정, 이중 맹검, 다기관 임상시험).
      - 약물상호작용에 대한 1상 임상시험을 설계하여 양·한방 공동 치료의 약동약력학적 평가방안 마련함.
      - 참여 연구진간 의료기관별 연구 수행을 위한 연구 분담 및 협력에 대한 구체적 방안 마련.
      - 실제 임상에서 활발하게 사용되고 있고, 어느 정도 근거가 확립되어 있는 양·한방 공동 치료를 선정함.
      - 선행연구, 진료지침 문헌 조사를 통해 임상시험 프로토콜의 상세한 설계를 위한 근거를 마련함.
      - 통계학 전문가의 자문을 구하여 임상적 유의성을 고려한 주평가변수, 피험자수를 설정함.
      - 임상시험 결과에 유효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생활습관의 관리 및 객관적 평가를 위하여 임상영양학 전문가의 자문을 구하여 식이관리방안 추가함.
      3. 연구개발성과의 활용계획(기대효과)
      - 본 프로토콜에 입각한 임상시험의 결과로 개별진료보다 나은 임상적 성과가 입증된다면 위식도역류질환에 대한 의·한 협진 진료지침(CP)을 개발하고, 육군자탕의 건강보험 급여화에 활용할 수 있는 임상 근거 확보에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됨.
      - 만성적 경과를 보이는 다빈도 위장관질환에 본 임상시험 프로토콜을 응용하여 의·한 협력진료의 효능을 평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