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통합교육과정 이론과 현실 적용의 난점 = An attempt to study on the problems related with integrated curriculum in Korea National Curriculu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6008940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교육과정 이론에 따른 교육과정 조직방식으로서 통합교육과정에 대한 이론과 개발 사례를 제시하고, 한국의 현실에 적용하기 위한 난점을 논의함으로써 통합 교육과정 활성화를 위한 논의 대상을 모색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우선 교육과정 이론의 발전과 이에 따른 통합의 방식에 대해 논의하였다. 교육과정이론은 교과를 강조하는 분야와 활동을 강조하는 분야로 구분되었다. 이들 각 이론에서는 나름대로 교과를 통합적으로 조직하려는 유형이 제시되고 있었다. 다음으로 통합 교육과정의 유형과 구체적 개발사례를 제시하였다. 통합교육과정의 유형은 한국에서 제시한 경우보다 외국의 사례를 도입하여 이에 따라 사례를 제시하고 있다. 여기서는 실제 외국 이론에 따라 개발된 통합 교육과정 사례를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한국의 국가수준 교육과정과의 관계에서 실천 가능성에 대한 한계를 지적하였다. 여기에서는 국가수준 교육과정 개발체제, 문서체제, 교과서, 통합에 대한 인식, 교사간 경쟁체제 등에 대한 난점을 논의하였다. 그 결과 국가수준 교육과정과 교과서 제도의 유연화가 필요하며, 이에 따른 인적.물적인 제도적 뒷받침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교육과정 이론에 따른 교육과정 조직방식으로서 통합교육과정에 대한 이론과 개발 사례를 제시하고, 한국의 현실에 적용하기 위한 난점을 논의함으로써 통합 교육과정 활성화를 ...

      본 연구는 교육과정 이론에 따른 교육과정 조직방식으로서 통합교육과정에 대한 이론과 개발 사례를 제시하고, 한국의 현실에 적용하기 위한 난점을 논의함으로써 통합 교육과정 활성화를 위한 논의 대상을 모색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우선 교육과정 이론의 발전과 이에 따른 통합의 방식에 대해 논의하였다. 교육과정이론은 교과를 강조하는 분야와 활동을 강조하는 분야로 구분되었다. 이들 각 이론에서는 나름대로 교과를 통합적으로 조직하려는 유형이 제시되고 있었다. 다음으로 통합 교육과정의 유형과 구체적 개발사례를 제시하였다. 통합교육과정의 유형은 한국에서 제시한 경우보다 외국의 사례를 도입하여 이에 따라 사례를 제시하고 있다. 여기서는 실제 외국 이론에 따라 개발된 통합 교육과정 사례를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한국의 국가수준 교육과정과의 관계에서 실천 가능성에 대한 한계를 지적하였다. 여기에서는 국가수준 교육과정 개발체제, 문서체제, 교과서, 통합에 대한 인식, 교사간 경쟁체제 등에 대한 난점을 논의하였다. 그 결과 국가수준 교육과정과 교과서 제도의 유연화가 필요하며, 이에 따른 인적.물적인 제도적 뒷받침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research attempted to explore issues and problems related with integrated curriculum in Korea national curriculum. For this end, first, the development of the curriculum theory and integrated curriculum were discussed. It was found that integrated curriculum was related to organize of the curriculum theory. Second, the model of the integrated curriculum was discussed. The development of models in the integrated in Korea were not much accumulated. The majority of integrated curriculum theory introduce the other countries. Third, difficulties in seeking integrated curriculum was discussed. The realistic difficult points were the system of the Korea national curriculum development, the organization of the Korea national curriculum document, the system of textbook, the perception in integrated curriculum, and stress on competition in teachers etc. In conclusion, it was convinced that the fundamental questions to be provided with integrated curriculum should be flexibility of the Korea national curriculum.
      번역하기

      The research attempted to explore issues and problems related with integrated curriculum in Korea national curriculum. For this end, first, the development of the curriculum theory and integrated curriculum were discussed. It was found that integrated...

      The research attempted to explore issues and problems related with integrated curriculum in Korea national curriculum. For this end, first, the development of the curriculum theory and integrated curriculum were discussed. It was found that integrated curriculum was related to organize of the curriculum theory. Second, the model of the integrated curriculum was discussed. The development of models in the integrated in Korea were not much accumulated. The majority of integrated curriculum theory introduce the other countries. Third, difficulties in seeking integrated curriculum was discussed. The realistic difficult points were the system of the Korea national curriculum development, the organization of the Korea national curriculum document, the system of textbook, the perception in integrated curriculum, and stress on competition in teachers etc. In conclusion, it was convinced that the fundamental questions to be provided with integrated curriculum should be flexibility of the Korea national curriculum.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I. 서론
      • II. 교육과정 이론의 발전과 통합 교육과정
      • 1. 교육과정 이론의 발전과 통합 교육과정
      • 2. 교육과정에서 통합교육과정 모형
      • 요약
      • I. 서론
      • II. 교육과정 이론의 발전과 통합 교육과정
      • 1. 교육과정 이론의 발전과 통합 교육과정
      • 2. 교육과정에서 통합교육과정 모형
      • III. 통합 교육과정의 한국에의 적용에 따른 난점
      • 1. 교육과정 개정 방식
      • 2. 교육과정 문서체제
      • 3. 국정과 검정 위주의 교과서 제도
      • 4. 각급학교별 통합 교육과정에 대한 인식의 차이
      • 5. 교사간의 협력보다 경쟁을 강조하는 체제
      • IV. 통합교육과정 촉진을 위한 과제
      • 참고문헌
      • 부록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윤병희, "현행 교육과정 분석․평가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1991

      2 이경섭, "현대교육과정론" 형설출판사 1984

      3 김대현, "학교중심의 통합교육과정 개발" 양서원 1995

      4 김재복, "통합교육과정" 교육과학사 2000

      5 박영무, "통합교육과정" 원미사 2006

      6 이영만, "통합교육과정" 학지사 2001

      7 박순경,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선진화 방안 연구(Ⅰ)-총괄-"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8

      8 박창언, "예술․체육계열 교과통합 교육과정 운영모형 개발연구" 교육인적자원부 2006

      9 이돈희, "세기적 전환과 교육학적 성찰" 교육과학사 2003

      10 최영수, "듀이의 ‘교과의 진보적 조직’에 비추어 본 통합교육과정의 재개념화" 한국교육철학회 (35) : 467-500, 2008

      1 윤병희, "현행 교육과정 분석․평가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1991

      2 이경섭, "현대교육과정론" 형설출판사 1984

      3 김대현, "학교중심의 통합교육과정 개발" 양서원 1995

      4 김재복, "통합교육과정" 교육과학사 2000

      5 박영무, "통합교육과정" 원미사 2006

      6 이영만, "통합교육과정" 학지사 2001

      7 박순경,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선진화 방안 연구(Ⅰ)-총괄-"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8

      8 박창언, "예술․체육계열 교과통합 교육과정 운영모형 개발연구" 교육인적자원부 2006

      9 이돈희, "세기적 전환과 교육학적 성찰" 교육과학사 2003

      10 최영수, "듀이의 ‘교과의 진보적 조직’에 비추어 본 통합교육과정의 재개념화" 한국교육철학회 (35) : 467-500, 2008

      11 박승배, "교육과정학의 이해" 학시자 2007

      12 김복영, "교육과정 담론의 새 지평" 원미사 2001

      13 Kliebard, "The Struggle for the American Curriculum 1893-1958" Routledge & Kagan Paul 1986

      14 Adler,M, "The Paideia Proposal:An Educatinal Manisesto" MacMillan 1982

      15 Forgarty,R, "The Mindful School: How to Integrate the Curricula" IRI/Skylight Publishing, Inc 1991

      16 Bobbitt,F, "The Curriculum" Iloughton Mifflin Company 1918

      17 Drake,S.M, "Planning Integrated Curriculum" ASCD 1993

      18 Jacobs,H.H, "Interdisciplinary Curriculum:Design and Implementation" ASCD 1989

      19 Bobbitt,F, "How to Make a Curriculum" Houghton Mifflin 1924

      20 Ingram,J.B, "Curriculum Integration and Life-long Education" UNESCO 197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8-04-18 학회명변경 한글명 : 문화교육학회 -> 한국문화교육학회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for Culture Education (KSCE) -> The Korean Society for Culture and Arts Education Studies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4 0.84 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2 1.01 1.133 0.3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