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반향 눈 운동 동안에 관찰되는 운동 자극의 3차원 경로 지각 왜곡 = Perceptual distortion of the 3D path of a moving object during disconjugate eye movem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13983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움직이는 대상의 3차원 경로가 반향 눈 운동에 의하여 체계적으로 왜곡되어 지각되는지를 규명하는 것이었다. 실험이 진행되는 동안에 피험자들은 깊이차원에서 움직이는 추적 점을 추적하면서 배경과 상이한 명도를 갖는 움직이는 대상의 윗부분과 아랫부분 중에서 피험자에게 가까운 쪽이 어느 쪽인지를 보고하였다. 피험자들은 움직이는 대상의 3차원 경로를 반향 눈 운동의 방향에 따라서 체계적으로 왜곡하여 지각하였으며, 움직이는 대상의 주위에 존재하는 참조대상은 3차원 경로지각 왜곡을 완벽하게 소멸시키지는 못하지만 3차원 경로지각의 왜곡정도를 감소시켰다. 이와 같은 실험결과는 우리의 시각체계가 반향 눈 운동에 의하여 발생하는 양안시차를 눈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적절하게 보정하지 못하며, 반향 눈 운동에 의해 발생한 양안시차를 보정하는데 참조자극 정보를 부분적으로 이용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움직이는 대상의 3차원 경로가 반향 눈 운동에 의하여 체계적으로 왜곡되어 지각되는지를 규명하는 것이었다. 실험이 진행되는 동안에 피험자들은 깊이차원에서 움직이는...

      본 연구의 목적은 움직이는 대상의 3차원 경로가 반향 눈 운동에 의하여 체계적으로 왜곡되어 지각되는지를 규명하는 것이었다. 실험이 진행되는 동안에 피험자들은 깊이차원에서 움직이는 추적 점을 추적하면서 배경과 상이한 명도를 갖는 움직이는 대상의 윗부분과 아랫부분 중에서 피험자에게 가까운 쪽이 어느 쪽인지를 보고하였다. 피험자들은 움직이는 대상의 3차원 경로를 반향 눈 운동의 방향에 따라서 체계적으로 왜곡하여 지각하였으며, 움직이는 대상의 주위에 존재하는 참조대상은 3차원 경로지각 왜곡을 완벽하게 소멸시키지는 못하지만 3차원 경로지각의 왜곡정도를 감소시켰다. 이와 같은 실험결과는 우리의 시각체계가 반향 눈 운동에 의하여 발생하는 양안시차를 눈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적절하게 보정하지 못하며, 반향 눈 운동에 의해 발생한 양안시차를 보정하는데 참조자극 정보를 부분적으로 이용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e research was to examine whether the perception of the three dimensional path of a moving object was systematically distorted by disconjugate eye movements. Subjects were required to report which part of the path of a vertically moving luminance- defined target object was closer to themselves while pursuing an object translating in depth dimension. Systematic perceptual distortion of the 3D path of the vertically moving luminance-defined object was found during disconjugate eye movements. Presence of a reference stimulus reduced the amount of perceptual distortion, although it did not completely remove it. This result implies that the eye movement-induced disparities are not completely compensated for with eye position information and that reference information might be importantly used in the compensation of eye movement-induced disparitie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e research was to examine whether the perception of the three dimensional path of a moving object was systematically distorted by disconjugate eye movements. Subjects were required to report which part of the path of a vertically movi...

      The purpose of the research was to examine whether the perception of the three dimensional path of a moving object was systematically distorted by disconjugate eye movements. Subjects were required to report which part of the path of a vertically moving luminance- defined target object was closer to themselves while pursuing an object translating in depth dimension. Systematic perceptual distortion of the 3D path of the vertically moving luminance-defined object was found during disconjugate eye movements. Presence of a reference stimulus reduced the amount of perceptual distortion, although it did not completely remove it. This result implies that the eye movement-induced disparities are not completely compensated for with eye position information and that reference information might be importantly used in the compensation of eye movement-induced dispariti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Treatise on physiological optics" 1867/1925

      2 "The influence of retinal adaptation and location on the The Tohoku Journal of Experimental Medicine" 397-405, 1950

      3 "The effect of the static reference on the perception of the target shape during pursuit eye movement" 2006

      4 "The VideoToolbox software for visual psychophysics: Transforming numbers into movies" 437-442, 1997

      5 "The Psychophysics Toolbox" 433-436, 1997

      6 "Temporal aspects of position constancy during ocular pursuit" 1986

      7 "Systematic perceptual distortion of 3D slant by disconjugate eye movements" 46 : 2328-2335, 2006

      8 "Systematic distortion of 2D shape during pursuit eye-movements" 42 : 2569-2575, 2002

      9 "Separate simultaneous processing of egocentric and relative positions." 40 : 2557-2563, 2000

      10 "Position constancy during pursuit eye movements:an investigation of the Filehne illusion" 25 : 71-84, 1973

      1 "Treatise on physiological optics" 1867/1925

      2 "The influence of retinal adaptation and location on the The Tohoku Journal of Experimental Medicine" 397-405, 1950

      3 "The effect of the static reference on the perception of the target shape during pursuit eye movement" 2006

      4 "The VideoToolbox software for visual psychophysics: Transforming numbers into movies" 437-442, 1997

      5 "The Psychophysics Toolbox" 433-436, 1997

      6 "Temporal aspects of position constancy during ocular pursuit" 1986

      7 "Systematic perceptual distortion of 3D slant by disconjugate eye movements" 46 : 2328-2335, 2006

      8 "Systematic distortion of 2D shape during pursuit eye-movements" 42 : 2569-2575, 2002

      9 "Separate simultaneous processing of egocentric and relative positions." 40 : 2557-2563, 2000

      10 "Position constancy during pursuit eye movements:an investigation of the Filehne illusion" 25 : 71-84, 1973

      11 "Neural control of vergence eye movements. In The Visual Neurosciences" MIT Press 2003

      12 "Judging object velocity during smooth pursuit eye movements" 316-32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4-0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심리학회지:실험 ->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 Korean Journal of Cognitive and Biological Psychology
      KCI등재
      2009-02-02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실험심리학회 -> 한국인지및생물심리학회
      영문명 : Korean Society For Experimental Psychology -> Korean Society For Cognitive and Biological Psychology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4 0.44 0.3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6 0.44 0.731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