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친환경 비주얼 머천다이징(VMD)이 친환경 소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Eco-friendly Visual Merchandising on Green Consumer Behavior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92764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More and more consumers view environmentalism as valuable and more and more companies spur the development of effective green marketing strategy. This study focuses on eco-friendly VMD (visual merchandising) marketing strategy of retailers.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how eco-friendly VMD benefits influence pro-environmental consumerism by mediating consumers’ intrinsic/extrinsic shopping value perception. Data were collected from 320 respondents who have visited retail stores with eco-friendly VMD in the last one month. Statistical analysis shows that eco-friendly VMD benefits consisted of economical, informational, psychological, and social benefit have a positive effect on intrinsic and extrinsic shopping value perception. And both intrinsic and extrinsic shopping value perception have a positive effect on pro-environmental consumerism intention. The psychological benefit of eco-friendly VMD has the most influence on intrinsic shopping value perception while informational benefit and economical benefit have a strong effect on extrinsic shopping value perception. And perceived intrinsic shopping value shows greater influence than extrinsic shopping value on pro-environmental consumerism intention.
      번역하기

      More and more consumers view environmentalism as valuable and more and more companies spur the development of effective green marketing strategy. This study focuses on eco-friendly VMD (visual merchandising) marketing strategy of retailers. The main p...

      More and more consumers view environmentalism as valuable and more and more companies spur the development of effective green marketing strategy. This study focuses on eco-friendly VMD (visual merchandising) marketing strategy of retailers.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how eco-friendly VMD benefits influence pro-environmental consumerism by mediating consumers’ intrinsic/extrinsic shopping value perception. Data were collected from 320 respondents who have visited retail stores with eco-friendly VMD in the last one month. Statistical analysis shows that eco-friendly VMD benefits consisted of economical, informational, psychological, and social benefit have a positive effect on intrinsic and extrinsic shopping value perception. And both intrinsic and extrinsic shopping value perception have a positive effect on pro-environmental consumerism intention. The psychological benefit of eco-friendly VMD has the most influence on intrinsic shopping value perception while informational benefit and economical benefit have a strong effect on extrinsic shopping value perception. And perceived intrinsic shopping value shows greater influence than extrinsic shopping value on pro-environmental consumerism inten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소비자의 친환경 소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기업요인의 선행변수로서 소매점포의 친환경 VMD의 혜택이 소비자의 쇼핑가치 지각에 미치는 영향력을 밝히고, 친환경 소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지각된 쇼핑가치를 외재적 가치와 내재적 가치로 구분하여 이 두 가지 유형의 가치 중에서 어떠한 유형의 가치가 친환경 소비행동을 더 잘 예측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친환경 VMD 매장 이용 경험이 있는 소비자들 320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친환경 VMD에 대한 경제적, 정보적, 심리적, 사회적 혜택 지각은 지각된 쇼핑가치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지각된 쇼핑가치는 친환경 소비행동 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친환경 VMD에 대한 지각된 혜택이 내재적 쇼핑가치 지각에 미치는 영향의 경우 심리적 혜택의 영향력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친환경 VMD에 대한 지각된 혜택이 외재적 쇼핑가치 지각에 미치는 영향의 경우 정보적 혜택과 경제적 혜택의 영향력이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지각된 쇼핑가치가 친환경 소비행동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는 내재적 가치가 외재적 가치보다 영향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소비자의 친환경 소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기업요인의 선행변수로서 소매점포의 친환경 VMD의 혜택이 소비자의 쇼핑가치 지각에 미치는 영향력을 밝히고, 친환경 소비행동에 영...

      본 연구는 소비자의 친환경 소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기업요인의 선행변수로서 소매점포의 친환경 VMD의 혜택이 소비자의 쇼핑가치 지각에 미치는 영향력을 밝히고, 친환경 소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지각된 쇼핑가치를 외재적 가치와 내재적 가치로 구분하여 이 두 가지 유형의 가치 중에서 어떠한 유형의 가치가 친환경 소비행동을 더 잘 예측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친환경 VMD 매장 이용 경험이 있는 소비자들 320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친환경 VMD에 대한 경제적, 정보적, 심리적, 사회적 혜택 지각은 지각된 쇼핑가치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지각된 쇼핑가치는 친환경 소비행동 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친환경 VMD에 대한 지각된 혜택이 내재적 쇼핑가치 지각에 미치는 영향의 경우 심리적 혜택의 영향력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친환경 VMD에 대한 지각된 혜택이 외재적 쇼핑가치 지각에 미치는 영향의 경우 정보적 혜택과 경제적 혜택의 영향력이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지각된 쇼핑가치가 친환경 소비행동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는 내재적 가치가 외재적 가치보다 영향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서정화, "한국 소매점에서의 비주얼머천다이징 개념 정리와 방향" 한국유통과학회 14 (14): 153-160, 2016

      2 전중옥, "패션 VMD 인지 측정 도구 개발을 위한 연구" 한국마케팅관리학회 10 (10): 117-139, 2005

      3 문연희, "친환경제품의 사회적 혜택과 개인적 혜택의 차별적 효과: 대안적 모형의 검증" 한국상품학회 33 (33): 121-129, 2015

      4 김종흠, "친환경 행동의도 및 친환경 소비의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규범과 동기를 중심으로" 한국소비자학회 26 (26): 1-22, 2015

      5 강은아, "인터넷 의류 쇼핑몰 비주얼 머천다이징에 대한 심층 고찰"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6 (6): 409-418, 2016

      6 오송대, "쇼핑관광객의 지각된 쇼핑몰 속성이 쇼핑가치, 만족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 김해 및 여주 아울렛을 중심으로 -" 한국자료분석학회 12 (12): 523-537, 2010

      7 박현희, "브랜드 사전지식, 사전 브랜드 태도, 지각된 품질이 VMD 인지와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산업학회 7 (7): 519-526, 2005

      8 강명주, "브랜드 경험이 즐거움과 체류의도에 미치는 영향 : 백화점을 대상으로" 한국자료분석학회 19 (19): 2049-2059, 2017

      9 변순희, "도시 취업주부의 라이프스타일과 환경친화적 행동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 42 (42): 111-134, 2004

      10 나경수, "대형 점포선택속성이 이미지, 지각적 가치, 만족과 애호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통합적 연구" 한국자료분석학회 18 (18): 903-923, 2016

      1 서정화, "한국 소매점에서의 비주얼머천다이징 개념 정리와 방향" 한국유통과학회 14 (14): 153-160, 2016

      2 전중옥, "패션 VMD 인지 측정 도구 개발을 위한 연구" 한국마케팅관리학회 10 (10): 117-139, 2005

      3 문연희, "친환경제품의 사회적 혜택과 개인적 혜택의 차별적 효과: 대안적 모형의 검증" 한국상품학회 33 (33): 121-129, 2015

      4 김종흠, "친환경 행동의도 및 친환경 소비의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규범과 동기를 중심으로" 한국소비자학회 26 (26): 1-22, 2015

      5 강은아, "인터넷 의류 쇼핑몰 비주얼 머천다이징에 대한 심층 고찰"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6 (6): 409-418, 2016

      6 오송대, "쇼핑관광객의 지각된 쇼핑몰 속성이 쇼핑가치, 만족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 김해 및 여주 아울렛을 중심으로 -" 한국자료분석학회 12 (12): 523-537, 2010

      7 박현희, "브랜드 사전지식, 사전 브랜드 태도, 지각된 품질이 VMD 인지와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산업학회 7 (7): 519-526, 2005

      8 강명주, "브랜드 경험이 즐거움과 체류의도에 미치는 영향 : 백화점을 대상으로" 한국자료분석학회 19 (19): 2049-2059, 2017

      9 변순희, "도시 취업주부의 라이프스타일과 환경친화적 행동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 42 (42): 111-134, 2004

      10 나경수, "대형 점포선택속성이 이미지, 지각적 가치, 만족과 애호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통합적 연구" 한국자료분석학회 18 (18): 903-923, 2016

      11 Babin, B. J., "Work and/or fun: Measuring hedonic and utilitarian shopping value" 20 (20): 644-656, 1994

      12 Kaiser, F. G., "The proposition of a general version of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Predicting ecological behavior" 33 (33): 586-603, 2003

      13 Schwartz, J., "The earth's best friends" 13 : 26-35, 1991

      14 정지희, "The Relationship between Service Quality and Behavioral Intention of Internet Primary Bank" 한국자료분석학회 20 (20): 571-580, 2018

      15 Holbrook, M. B., "The Nature of Customer Value in Service Quality: New Directions in Theory and Practice" Sage 1994

      16 Bhattacharya, C. B., "Strengthening stakeholder-company relationships through mutually beneficial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initiatives" 85 (85): 257-272, 2009

      17 Antil, J. H., "Socially responsible consumers; Profile and implications for public policy" 4 (4): 18-30, 1984

      18 Bitner, M. J., "Servicescapes: The impact of physical surrounding on customers and employees" 56 : 57-71, 1992

      19 Kalinowski, C. M., "Recycling as a reflection of balanced self-interest: A test of the metaeconomics approach" 38 (38): 333-355, 2006

      20 Osterhus, T. L., "Pro-social consumer influence strategies: When and how do they work?" 61 (61): 16-29, 1997

      21 Kotler, P., "Principles of Marketing" Prentice Hall International, Inc. 1997

      22 Rokka, J., "Preference for green packaging in consumer product choices: Do consumers care?" 32 (32): 516-525, 2008

      23 Wang, H. Y., "Predicting mobile hotel reservation adoption: Insight from a perceived value standpoint" 29 (29): 598-608, 2010

      24 Barbarossa, C., "Positive and negative antecedents of purchasing eco-friendly products: A comparison between green and non-green consumers" 134 (134): 229-247, 2016

      25 Balderjahn, I., "Personality variables and environmental attitudes as predictors of ecologically responsible consumption patterns" 17 (17): 51-56, 1988

      26 Davari, A., "Marketing mix strategies for closing the gap between green consumers' pro-environmental beliefs and behaviors" 22 (22): 563-586, 2014

      27 Ryan, M. R., "Intrinsic and extrinsic motivations: Classic definitions and new directions" 25 (25): 54-67, 2000

      28 Moon, Y., "Intimate exchanges: Using computers to elicit self-disclosure from consumers" 26 (26): 323-339, 2000

      29 Amyx, D. A., "Influencers of purchase intentions for ecologically safe products: An exploratory study" 5 : 341-347, 1994

      30 임선희, "IMC관점에서 본 친환경 화장품 판매 공간의 디자인에 관한 연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6 (6): 43-53, 2011

      31 Banerjee, B., "How green is my value: 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nvironmentalism" 21 (21): 147-152, 1994

      32 Peattie, K., "Green marketing" Butterworth-Heinmann 727-756, 2003

      33 Aagerup, U., "Green consumer behavior: Being good or seeming good?" 25 (25): 274-284, 2016

      34 Peattie, K., "Green Marketing" Longman 723-753, 1992

      35 Goldsmith, K., "Getting gold by going green: The importance of fitting the message to the mindset" 36 : 49-52, 2009

      36 Royne, M. B., "From thinking green to buying green: Consumer motivation makes the difference" 37 (37): 37-43, 2016

      37 McDonald, S., "Flying in the face of environmental concern: Why green consumers continue to fly" 31 (31): 1503-1528, 2015

      38 Johnstone, M. L., "Exploring the gap between consumers' green rhetoric and purchasing behaviour" 13 (13): 311-328, 2015

      39 Mathwick, C., "Experiential value: Conceptualization, measurement and application in the catalog and internet shopping environment" 77 (77): 39-56, 2001

      40 Forsythe, S., "Development of a scale to measure the perceived benefits and risks of online shopping" 20 (20): 55-75, 2006

      41 Rintamaki, T., "Decomposing the value of department store shopping into utilitarian, hedonic and social dimensions: Evidence from Finland" 34 (34): 6-24, 2006

      42 Laroche, M., "Cultural differences in environmental knowledge, attitudes, and behaviours of canadian consumers" 19 (19): 267-283, 2002

      43 Lu, L. C., "Consumer personality and green buying intention: The mediate role of consumer ethical beliefs" 127 (127): 205-219, 2015

      44 Zeithaml, V. A., "Consumer perceptions of price, quality, and value: A means-end model and synthesis of evidence" 52 (52): 2-22, 1988

      45 Peter, J. P., "Consumer Behavior: Marketing Strategy Perspectives" Irwin 1987

      46 Cronin, J. J., "Assessing the effects of quality, value and customer satisfaction on consumer behavioral intentions in service environments" 76 (76): 193-218, 2000

      47 Al-Sabbahy, H. Z., "An investigation of perceived value dimensions: Implications for hospitality research" 42 (42): 226-234, 2004

      48 Schwepker, C. H., "An examination of ecologically concerned consumers and their intention to purchase ecologically packaged products" 10 (10): 77-101, 1991

      49 Pickett, G. M., "An analysis of the conserving consumer: A public policy perspective in Allen" 3 : 151-153, 199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6 1.26 1.1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5 0.98 0.956 0.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