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필라테스 운동 기간에 따른 전방머리자세의 개선정도, 통증 자각도 및 운동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었다. 평균 주 2회 이상 필라테스 운동에 참여하...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414628
2024
Korean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73-85(13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필라테스 운동 기간에 따른 전방머리자세의 개선정도, 통증 자각도 및 운동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었다. 평균 주 2회 이상 필라테스 운동에 참여하...
본 연구는 필라테스 운동 기간에 따른 전방머리자세의 개선정도, 통증 자각도 및 운동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었다. 평균 주 2회 이상 필라테스 운동에 참여하고 있는 전방머리자세를 가진 성인 여성 5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운동 기간에 따라 1개월이하∼3개월이하 운동 초기 그룹 A(n=18), 6개월이하∼8개월이하 운동 중기 그룹 B(n=16), 11개월이하∼13개월이하 운동 장기 그룹 C(n=16)로 분류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각 그룹 별로 신체조성(체중, 체지방률, 골격근량, BMI), 전방머리자세, 통증자각도(VAS, NDI), 운동만족도를 측정하였다. 운동 강도는 Warm-up에서는 RPE 9∼13, Main exercise에서는 RPE 13∼17, Cool-down에서는 RPE 12∼15로 구성하였다. 분석 결과, 여성들의 필라테스 운동 참여 기간이 길어진다고 해도 각 그룹별 체조성과 통증자각도(VAS, NDI)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하지만 전방머리자세 정도에서는 운동기간이 길어질수록 경추각의 각도가 개선되는 모습을 보였다. 운동만족도의 경우 신체적 기능, 사교증진, 건강생활에서는 각 그룹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운동능력 및 심리적 안정에서는 각 그룹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는데 운동 초기 그룹A 보다 운동 중, 장기 그룹인 B와 C에서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고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여성들의 장기적인 필라테스 운동 참여는 경추의 정렬과 균형이 개선되어 전방머리자세를 나타내는 경추각에 유의한 향상을 보였고, 운동만족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ilates exercise on the degree of improvement in forward head posture, pain perception, and exercise satisfaction. Methods The study targeted 50 adult women with forward head postur...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ilates exercise on the degree of improvement in forward head posture, pain perception, and exercise satisfaction. Methods The study targeted 50 adult women with forward head posture who participated in Pilates exercise more than twice a week on average, and were classified into the early exercise group A (n=18) with 1 to 3 months of exercise, the mid-exercise group B (n=16) with 6 to 8 months of exercise, and the long-term exercise group C (n=16) with 11 to 13 months of exercise. In this study, body composition (body weight, body fat percentage, skeletal muscle mass, BMI), forward head posture, pain perception (VAS, NDI), and exercise satisfaction were measured for each group. The exercise intensity was composed of RPE 9 to 13 for the warm-up, RPE 13 to 17 for the Main exercise, and RPE 12 to 15 for the cool-down. Results Even though the period of participation in Pilates exercise by women increase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gymnastic and pain perception (VAS, NDI) of each group. However, in terms of forward head posture, the angle of the cervical spine improved as the period of exercise increased. In terms of exercise satisfactio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hysical function, social promotion, and healthy lifestyle among the group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in exercise ability and psychological stability, and it was shown that there was a positive effect in the long-term groups B and C during exercise compared to the early exercise group A. Conclusions Long-term participation in Pilates exercise among women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s in the cervical angle, which indicates a forward head posture, by improving the alignment and balance of the cervical spine, and also had a positive effect on exercise satisfaction.
Effect of Lifeguard Activity Time on HRV-Autonomic Nervous System Changes
청소년의 사회적자본이 신체활동 참여와 학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필드하키 종목 연도별 연구동향 분석: 국내연구를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