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SCOPUS KCI등재

      Lactococcus lactis subsp. cremoris ATCC 11602의 Bacteriophage 내성균주 A1의 특성에 관한 연구 = The Characteristics of Bacteriophage-resistant Lactococcus lactis subsp. cremoris ATCC 11602-A1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972169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acridine orange(AO) 처리에 의해 선발한 Lc. Lactis subsp. cremoris ATCC 11602의 phage 내성균주인 A1의 phage 내성발현 기작에 관하여 검토한 것이다. A1을 40℃에서 배양했을 때 모균주와는 달리 정상적인 생장을 나타내면서 phage 내성은 그대로 유지했으며, 이 ??의 세포형태는 모균주의 경우 연쇄상을 A1은 단쇄상의 형태를 나타냈다. 40℃에서 모균주에서의 phage 증식은 정지되었는데 A1의 경우는 미약한 phage 증식을 나타냈다. 모균주와 A1간에 있어서의 단백질 분해력은 배양온도와는 상관없이 큰 차이를 나타냈다.
      40℃의 배양온도에서 A1이 나타낸 phage 내성과 세포표면과의 관련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SDS를 처리한 결과 모균주는 거의 대부분 사멸되었으나 A1은 27%가 생존하였다. 1% SDS로 처리한 A1의 phage 흡착율은 모균주와 비슷한 수준(95∼98%)을 나타냈는데 이는 A1 세포벽의 흡착부를 가리고 있던 어떤 물질이 SDS에 의한 분해에 의해 흡착부가 노출됨에 따른 결과로 고려되었다. 이로써 A1의 phage 내성과 온도에 대한 내성은 AO 처리시 세포벽 구조의 변형에 의해 이루어진 현상인 것으로 인정되었다. 40℃에서의 A1에 대한 plasmid 변화를 조사한 결과 plasmid 소실이나 변화가 일어나지 않아 plasmid가 A1의 온도 내성과는 관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acridine orange(AO) 처리에 의해 선발한 Lc. Lactis subsp. cremoris ATCC 11602의 phage 내성균주인 A1의 phage 내성발현 기작에 관하여 검토한 것이다. A1을 40℃에서 배양했을 때 모균주와는 달리 정...

      본 연구는 acridine orange(AO) 처리에 의해 선발한 Lc. Lactis subsp. cremoris ATCC 11602의 phage 내성균주인 A1의 phage 내성발현 기작에 관하여 검토한 것이다. A1을 40℃에서 배양했을 때 모균주와는 달리 정상적인 생장을 나타내면서 phage 내성은 그대로 유지했으며, 이 ??의 세포형태는 모균주의 경우 연쇄상을 A1은 단쇄상의 형태를 나타냈다. 40℃에서 모균주에서의 phage 증식은 정지되었는데 A1의 경우는 미약한 phage 증식을 나타냈다. 모균주와 A1간에 있어서의 단백질 분해력은 배양온도와는 상관없이 큰 차이를 나타냈다.
      40℃의 배양온도에서 A1이 나타낸 phage 내성과 세포표면과의 관련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SDS를 처리한 결과 모균주는 거의 대부분 사멸되었으나 A1은 27%가 생존하였다. 1% SDS로 처리한 A1의 phage 흡착율은 모균주와 비슷한 수준(95∼98%)을 나타냈는데 이는 A1 세포벽의 흡착부를 가리고 있던 어떤 물질이 SDS에 의한 분해에 의해 흡착부가 노출됨에 따른 결과로 고려되었다. 이로써 A1의 phage 내성과 온도에 대한 내성은 AO 처리시 세포벽 구조의 변형에 의해 이루어진 현상인 것으로 인정되었다. 40℃에서의 A1에 대한 plasmid 변화를 조사한 결과 plasmid 소실이나 변화가 일어나지 않아 plasmid가 A1의 온도 내성과는 관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hage resistance mechanism of Lactococcus lactis subsp. cremoris ATCC 11602-A1 was investigated. When parent and A1 were incubated at 30 and 40℃, A1 grew well and multiplication of phage(MOI=1) on A1 slightly occurred at 40℃ in contrast with parent. There was a great difference of proteolytic activity between parent and A1, irrespective of the temperature. As a result of SDS treatment on culture broth, survival rate of A1 was 27% at the lethal concentration of parent and adsorption rate of phage was increased to 95∼97%, which was considered to come from the exposure of phage receptor site masked by an unknown component. These results suggest that acridine orange (AO) treatment leads to the modification of cell wall, conferring resistance to high temperature and lytic phage. NO change in plasmid profiles of A1 at 30 and 40℃ were found, which suggests that plasmid is not relative to temperature-resistance of A1.
      번역하기

      The phage resistance mechanism of Lactococcus lactis subsp. cremoris ATCC 11602-A1 was investigated. When parent and A1 were incubated at 30 and 40℃, A1 grew well and multiplication of phage(MOI=1) on A1 slightly occurred at 40℃ in contrast with p...

      The phage resistance mechanism of Lactococcus lactis subsp. cremoris ATCC 11602-A1 was investigated. When parent and A1 were incubated at 30 and 40℃, A1 grew well and multiplication of phage(MOI=1) on A1 slightly occurred at 40℃ in contrast with parent. There was a great difference of proteolytic activity between parent and A1, irrespective of the temperature. As a result of SDS treatment on culture broth, survival rate of A1 was 27% at the lethal concentration of parent and adsorption rate of phage was increased to 95∼97%, which was considered to come from the exposure of phage receptor site masked by an unknown component. These results suggest that acridine orange (AO) treatment leads to the modification of cell wall, conferring resistance to high temperature and lytic phage. NO change in plasmid profiles of A1 at 30 and 40℃ were found, which suggests that plasmid is not relative to temperature-resistance of A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