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acridine orange(AO) 처리에 의해 선발한 Lc. Lactis subsp. cremoris ATCC 11602의 phage 내성균주인 A1의 phage 내성발현 기작에 관하여 검토한 것이다. A1을 40℃에서 배양했을 때 모균주와는 달리 정...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9721691
1993
Korean
570.6
SCOPUS,KCI등재
학술저널
293-298(6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acridine orange(AO) 처리에 의해 선발한 Lc. Lactis subsp. cremoris ATCC 11602의 phage 내성균주인 A1의 phage 내성발현 기작에 관하여 검토한 것이다. A1을 40℃에서 배양했을 때 모균주와는 달리 정...
본 연구는 acridine orange(AO) 처리에 의해 선발한 Lc. Lactis subsp. cremoris ATCC 11602의 phage 내성균주인 A1의 phage 내성발현 기작에 관하여 검토한 것이다. A1을 40℃에서 배양했을 때 모균주와는 달리 정상적인 생장을 나타내면서 phage 내성은 그대로 유지했으며, 이 ??의 세포형태는 모균주의 경우 연쇄상을 A1은 단쇄상의 형태를 나타냈다. 40℃에서 모균주에서의 phage 증식은 정지되었는데 A1의 경우는 미약한 phage 증식을 나타냈다. 모균주와 A1간에 있어서의 단백질 분해력은 배양온도와는 상관없이 큰 차이를 나타냈다.
40℃의 배양온도에서 A1이 나타낸 phage 내성과 세포표면과의 관련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SDS를 처리한 결과 모균주는 거의 대부분 사멸되었으나 A1은 27%가 생존하였다. 1% SDS로 처리한 A1의 phage 흡착율은 모균주와 비슷한 수준(95∼98%)을 나타냈는데 이는 A1 세포벽의 흡착부를 가리고 있던 어떤 물질이 SDS에 의한 분해에 의해 흡착부가 노출됨에 따른 결과로 고려되었다. 이로써 A1의 phage 내성과 온도에 대한 내성은 AO 처리시 세포벽 구조의 변형에 의해 이루어진 현상인 것으로 인정되었다. 40℃에서의 A1에 대한 plasmid 변화를 조사한 결과 plasmid 소실이나 변화가 일어나지 않아 plasmid가 A1의 온도 내성과는 관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hage resistance mechanism of Lactococcus lactis subsp. cremoris ATCC 11602-A1 was investigated. When parent and A1 were incubated at 30 and 40℃, A1 grew well and multiplication of phage(MOI=1) on A1 slightly occurred at 40℃ in contrast with p...
The phage resistance mechanism of Lactococcus lactis subsp. cremoris ATCC 11602-A1 was investigated. When parent and A1 were incubated at 30 and 40℃, A1 grew well and multiplication of phage(MOI=1) on A1 slightly occurred at 40℃ in contrast with parent. There was a great difference of proteolytic activity between parent and A1, irrespective of the temperature. As a result of SDS treatment on culture broth, survival rate of A1 was 27% at the lethal concentration of parent and adsorption rate of phage was increased to 95∼97%, which was considered to come from the exposure of phage receptor site masked by an unknown component. These results suggest that acridine orange (AO) treatment leads to the modification of cell wall, conferring resistance to high temperature and lytic phage. NO change in plasmid profiles of A1 at 30 and 40℃ were found, which suggests that plasmid is not relative to temperature-resistance of A1.
내열성 제한효소인 Svi I을 생성하는 Streptomyces 분리균주의 수리 동정
금속 친화성 액 이상분계 시스템에서 단백질의 분배 향상
Dunaliella salina의 광 제한 현탁 연속배양에 의한 β-carotene의 생산
회전하는 산소전달장치가 부착된 동물세포 배양기의 조업 성능에 관한 고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