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북한체제성립기 아동가요의 계승과 전망 = Passing down of Children's Music during the Period of Establishment of the North Korean Regime and the Prospec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23002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gure out how the children's music in the period of establishment of the North Korean regime was passed down to the Kim Jong-il era in order to explore the orientation of North Korean children's music that was passed down from the time of division to the Kim Jong-il era and the possibility of using the music as education to be prepared for unification. The national homogeneity of South and North Koreas has been somewhat weakened due to the long severance from the time of the Korean War to today. In this respect, it is worth noting that the 10 years after the liberation is a period of national homogeneity before the two Koreas were divided to go completely different paths. To that end, in Chapter 2, the political and music histories of North Korea during the period of the establishment of the North Korean regime after liberation were examined, and the association between the political and social situations in North Korea and the themes of children's music creation and the musical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In Chapter 3, the aspect of creation of children's songs during the period of the establishment of the North Korean regime and the musical aspects of the songs included in major songbooks published in North Korea were analyzed. In Chapter 4, how the children's music during the period of the establishment of the North Korean regime was passed down to the Kim Jong-il era and the possibility of using the music as education to be prepared for unification were explored. Through the foregoing, two children's songs in which the propaganda of the North Korean regime is not revealed were discovered, and the possibility of using them as education to be prepared for the unification was identified.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gure out how the children's music in the period of establishment of the North Korean regime was passed down to the Kim Jong-il era in order to explore the orientation of North Korean children's music that was passed 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gure out how the children's music in the period of establishment of the North Korean regime was passed down to the Kim Jong-il era in order to explore the orientation of North Korean children's music that was passed down from the time of division to the Kim Jong-il era and the possibility of using the music as education to be prepared for unification. The national homogeneity of South and North Koreas has been somewhat weakened due to the long severance from the time of the Korean War to today. In this respect, it is worth noting that the 10 years after the liberation is a period of national homogeneity before the two Koreas were divided to go completely different paths. To that end, in Chapter 2, the political and music histories of North Korea during the period of the establishment of the North Korean regime after liberation were examined, and the association between the political and social situations in North Korea and the themes of children's music creation and the musical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In Chapter 3, the aspect of creation of children's songs during the period of the establishment of the North Korean regime and the musical aspects of the songs included in major songbooks published in North Korea were analyzed. In Chapter 4, how the children's music during the period of the establishment of the North Korean regime was passed down to the Kim Jong-il era and the possibility of using the music as education to be prepared for unification were explored. Through the foregoing, two children's songs in which the propaganda of the North Korean regime is not revealed were discovered, and the possibility of using them as education to be prepared for the unification was identifi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북한체제성립기 아동가요가 김정일 시대에 계승된 양상을 파악하여 분단 이후 김정일 시대까지 관통하는 북한 아동음악의 지향과 통일대비 교육으로의 활용 가능성을 탐색하는 데 있다. 남북한은 한국전쟁 이후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오랜 단절로 민족적 동질성이 약화한 측면이 있다. 그런 점에서 광복 후 10년간은 남북한이 전혀 다른 길로 양분되기 이전의 민족적 동질성을 갖는 시기라는 점에서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2장에서는 광복 후 북한체제성립기의 북한 정치사와 음악사를 고찰하고 북한의 정치․사회적 상황과 아동 음악 창작주제의 연관성 및 음악적 특징을 분석하였다. 3장에서는 북한체제성립기 아동가요의 창작양상과 북한에서 출간된 주요 노래집에 수록된 악곡의 음악적 양상을 분석하였다. 4장에서는 북한체제성립기의 아동가요가 김정일 시대에 계승된 양상과 통일대비 교육으로써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이를 통해 북한의 체제선전이 드러나지 않는 아동가요 2편을 발굴하였고, 남북한 통일대비 교육으로써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북한체제성립기 아동가요가 김정일 시대에 계승된 양상을 파악하여 분단 이후 김정일 시대까지 관통하는 북한 아동음악의 지향과 통일대비 교육으로의 활용 가능성을 탐...

      본 연구의 목적은 북한체제성립기 아동가요가 김정일 시대에 계승된 양상을 파악하여 분단 이후 김정일 시대까지 관통하는 북한 아동음악의 지향과 통일대비 교육으로의 활용 가능성을 탐색하는 데 있다. 남북한은 한국전쟁 이후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오랜 단절로 민족적 동질성이 약화한 측면이 있다. 그런 점에서 광복 후 10년간은 남북한이 전혀 다른 길로 양분되기 이전의 민족적 동질성을 갖는 시기라는 점에서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2장에서는 광복 후 북한체제성립기의 북한 정치사와 음악사를 고찰하고 북한의 정치․사회적 상황과 아동 음악 창작주제의 연관성 및 음악적 특징을 분석하였다. 3장에서는 북한체제성립기 아동가요의 창작양상과 북한에서 출간된 주요 노래집에 수록된 악곡의 음악적 양상을 분석하였다. 4장에서는 북한체제성립기의 아동가요가 김정일 시대에 계승된 양상과 통일대비 교육으로써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이를 통해 북한의 체제선전이 드러나지 않는 아동가요 2편을 발굴하였고, 남북한 통일대비 교육으로써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리히림, "해방 후 조선음악" 조선작곡가동맹중앙위원회 1956

      2 리히림, "해방 후 조선음악" 문예출판사 1979

      3 라화일, "해방 후 조선음악" 조선작곡가동맹중앙위원회 1956

      4 조성환, "한국전쟁 당시의 윤이상 동요연구 1952년에 간행된 <국민학교 새음악>을 중심으로" 남북문화예술학회 (2) : 303-337, 2008

      5 예술교육출판사, "조선의 노래" 예술교육출판사 1995

      6 문예출판사, "조선음악전집 6" 문예출판사 1985

      7 문학예술출판사, "조선노래 대전집" 문학예술출판사 2004

      8 홍성만, "음악(인민학교 제4학년용)" 교육도서출판사 1999

      9 정행운, "음악(인민학교 제3학년용)" 교육도서출판사 2000

      10 김석히, "음악(인민학교 제2학년용)2판" 교육도서출판사 1999

      1 리히림, "해방 후 조선음악" 조선작곡가동맹중앙위원회 1956

      2 리히림, "해방 후 조선음악" 문예출판사 1979

      3 라화일, "해방 후 조선음악" 조선작곡가동맹중앙위원회 1956

      4 조성환, "한국전쟁 당시의 윤이상 동요연구 1952년에 간행된 <국민학교 새음악>을 중심으로" 남북문화예술학회 (2) : 303-337, 2008

      5 예술교육출판사, "조선의 노래" 예술교육출판사 1995

      6 문예출판사, "조선음악전집 6" 문예출판사 1985

      7 문학예술출판사, "조선노래 대전집" 문학예술출판사 2004

      8 홍성만, "음악(인민학교 제4학년용)" 교육도서출판사 1999

      9 정행운, "음악(인민학교 제3학년용)" 교육도서출판사 2000

      10 김석히, "음악(인민학교 제2학년용)2판" 교육도서출판사 1999

      11 김석히, "음악(인민학교 제2학년용)2판" 교육도서출판사 2002

      12 위재홍, "음악(인민학교 제1학년용)" 교육도서출판사 1997

      13 장계남, "음악(인민학교 제1학년용)" 교육도서출판사 1990

      14 배인교, "북한의 체제 성립기 아동가요와 민족적 성격" 한국민요학회 58 (58): 45-71, 2020

      15 문경숙, "미군정 시대의 한국음악교육 실태: 1945~1948" 한국음악교육학회 43 (43): 21-46, 2014

      16 이종석, "[단행본] (새로 쓴)현대 북한의 이해" 역사비평사; 서울 2000

      17 배인교, "6.25전쟁기 북한음악지형과 화선(火線)음악" 한국음악사학회 (16) : 67-95, 2016

      18 배인교, "1950~1960년대 북한 아동가요의 지향" 인문학연구원 80 : 41-84, 2019

      19 로익화, "(전시가요집)결전의 길로" 문학예술종합출판사 199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1 평가예정 신규평가 신청대상 (신규평가)
      2020-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2019-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3-17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국악과교육 -> 국악교육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4 0.24 0.2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 0.28 0.513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