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현행 회계기준에 의해 비용처리되는 무형자산성 지출(연구개발비와 광고선전비)을 수익ㆍ비용대응의 원칙에 의해 자산화한 후의 이익지속계수의 증감에 따른 무형자산성 지...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659265
2003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현행 회계기준에 의해 비용처리되는 무형자산성 지출(연구개발비와 광고선전비)을 수익ㆍ비용대응의 원칙에 의해 자산화한 후의 이익지속계수의 증감에 따른 무형자산성 지...
본 연구에서는 현행 회계기준에 의해 비용처리되는 무형자산성 지출(연구개발비와 광고선전비)을 수익ㆍ비용대응의 원칙에 의해 자산화한 후의 이익지속계수의 증감에 따른 무형자산성 지출의 가치관련성의 차이를 분석한다. 즉, 비용처리된 무형자산성 지출을 자산화한 후 초과이익평가 모형에 의해 추정된 이익지속계수가 비용처리 했을 경우와 비교하여 증가하였다면 이는 성공한 무형자산성 지출로, 또는 감소하였다면 이는 실패한 무형자산성 지출을 나타낸다.
1991년부터 2001년까지 증권거래소에 상장된 기업 중 금융업에 속하지 않는 12월 결산법인인 기업을 대상으로 실증분석한다.
첫째, 최근 10년간의 회계정보의 유용성을 측정한다. 만약, 최근10여년간의 회계정보의 유용성이 감소하였다면, 비용처리된 무형자산성 지출을 자산화했을 경우 수정된 이익 및 순자산의 기업가치 설명력은 미수정된 이익 및 순자산에 비하여 증가하는가를 검토한다.
둘째, Ohlson(1995)모형을 적용하여 무형자산성 지출에 따른 이익지속계수가 자산화한 후에 비용처리한 이익지속계수보다 증가한 집단에서는 그렇지 않은 집단에 비하여 설명력의 차이가 유의하게 증가하는가를 분석한다.
이러한 결과는 최근 산업환경의 변화와 국제 경쟁력의 심화에 따른 무형자산성 지출의 가치관련성 판단에 도움을 줄 것이다. 특히, 무형자산성 지출이 지속적이며, 비중이 높은 기업의 경우 회계정보의 유용성에 관한 문제를 재조명하는 계기를 제공할 것이다. 또한 무형자산성 지출에 대한 현행 기업회계기준의 타당성을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