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규합춍셔(閨閤叢書)』의 파생법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95539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규합춍셔(閨閤叢書)』 (가람문고본, 1869)를 연구 자료로 삼고 문헌에 나타난 근대국어의 파생법을 살펴보려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규합춍셔』는 빙허각 이씨(憑虛閣 李氏, 1759~1824)에 의해 저술된 한글 문헌으로, 부녀자를 대상으로 한 여성생활백과사전의 성격을 띤다. 그리고 의(衣)․식(食)․주(住)의 다양한 주제를 담고 있기 때문에 문헌에 나타나는 어휘 또한 풍부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들 어휘의 형성 방법을 밝히기 위해 접두사 파생법과 접미사 파생법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먼저, 접두사 파생법은 명사 파생 접미사 ‘뫼/묍-, (生)-//찰/-, /참-, 풋-, -’과 동사 파생 접두사 ‘즛-’에 의해 형성된 것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접미사 파생법은 명사 파생 접미사 ‘-, -음, -의/이, -질’과 동사 파생 접미사 ‘--’, 사동 파생 접미사 ‘-기1-, -리-, -우-, -이1-, -히1-’, 피동 파생 접미사 ‘-기2-, -이2-, -히2-’ ‘-이1-’와 형용사 파생 접미사 ‘--, -롭-, -업-, -지-, --’와 부사 파생 접미사 ‘-로, -오/우, -이, -히’에 의하여 실현된 형태를 파악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의 성과는 세 가지로 정리할 수 있는데, 근대국어 접사들의 실현 용례를 다양하게 제시하였다는 점과 ‘막걸이(>막걸리)’의 형태가 『규합춍셔』처음 나타났다는 점, 그리고 ‘슈결지다’의 의미를 분석했다는 점이다.
      번역하기

      본 논문은 『규합춍셔(閨閤叢書)』 (가람문고본, 1869)를 연구 자료로 삼고 문헌에 나타난 근대국어의 파생법을 살펴보려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규합춍셔』는 빙허각 이씨(憑虛閣 李氏, 17...

      본 논문은 『규합춍셔(閨閤叢書)』 (가람문고본, 1869)를 연구 자료로 삼고 문헌에 나타난 근대국어의 파생법을 살펴보려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규합춍셔』는 빙허각 이씨(憑虛閣 李氏, 1759~1824)에 의해 저술된 한글 문헌으로, 부녀자를 대상으로 한 여성생활백과사전의 성격을 띤다. 그리고 의(衣)․식(食)․주(住)의 다양한 주제를 담고 있기 때문에 문헌에 나타나는 어휘 또한 풍부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들 어휘의 형성 방법을 밝히기 위해 접두사 파생법과 접미사 파생법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먼저, 접두사 파생법은 명사 파생 접미사 ‘뫼/묍-, (生)-//찰/-, /참-, 풋-, -’과 동사 파생 접두사 ‘즛-’에 의해 형성된 것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접미사 파생법은 명사 파생 접미사 ‘-, -음, -의/이, -질’과 동사 파생 접미사 ‘--’, 사동 파생 접미사 ‘-기1-, -리-, -우-, -이1-, -히1-’, 피동 파생 접미사 ‘-기2-, -이2-, -히2-’ ‘-이1-’와 형용사 파생 접미사 ‘--, -롭-, -업-, -지-, --’와 부사 파생 접미사 ‘-로, -오/우, -이, -히’에 의하여 실현된 형태를 파악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의 성과는 세 가지로 정리할 수 있는데, 근대국어 접사들의 실현 용례를 다양하게 제시하였다는 점과 ‘막걸이(>막걸리)’의 형태가 『규합춍셔』처음 나타났다는 점, 그리고 ‘슈결지다’의 의미를 분석했다는 점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nalyzing the derivation of 『Gyuhapchyongseo(閨閤叢書)』 published in 1869. 『Gyuhapchyongseo』 was written by Bingheogak Lee and it"s function is like an encyclopedia for women. Also this book has advantages that many words appear because it has various topics about the necessities of life. Thus, for defining word-formation of 『Gyuhapchyongseo』, this study nvestigated the derivation by prefix and suffix.
      As a result, prefix derivation was revealed that deriving noun prefix is ‘moi/moip-(뫼/묍-), sʌiŋ-((生)-), chʌl/schʌl/chal/chʌp-(//찰/-), chʌm/cham-(/참-), put-(풋-), hʌit-(-)’ and deriving verb prefix is ‘jeut-(즛-)’. And suffix derivation was labeled as four kinds that derives noun, verb, adjective, adverb. First, noun derivational suffix was showed ‘-gʌi(-), -eum(-음), -ui/i(-의/이), -jil(-질)’. Second, verb derivational suffix was classed as ‘-hʌ-(--)’ and causative verb ‘-gi1-(-기1-), -ri-(-리-), -u-(-우-), -i1-(-이1-), -hi1-(-히1-)’ and passive verb ‘-gi2-(-기2-), -i2-(-이2-), -hi2-(-히2-)’. Third, ‘-dʌp-(--), -lop-(-롭-), -eop-(-업-), -ji-(-지-), -hʌ-(--)’ were used to adjective derivational suffix. Fourth, ‘-lo(-로), -o/u(-오/우), -i(-이), -hi(-히)’ performed a role of suffix to derive adverb. Through above analysis, this study got three different results that is to propose many examples in 『Gyuhapchyongseo』 and verify about form of ‘makgeoli(>makgeolli)(막걸이(>막걸리)’ by the Korean alphabet, and explain about meaning of ‘shyugyeoljida(슈결지다)’.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nalyzing the derivation of 『Gyuhapchyongseo(閨閤叢書)』 published in 1869. 『Gyuhapchyongseo』 was written by Bingheogak Lee and it"s function is like an encyclopedia for women. Also this book has advantages tha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nalyzing the derivation of 『Gyuhapchyongseo(閨閤叢書)』 published in 1869. 『Gyuhapchyongseo』 was written by Bingheogak Lee and it"s function is like an encyclopedia for women. Also this book has advantages that many words appear because it has various topics about the necessities of life. Thus, for defining word-formation of 『Gyuhapchyongseo』, this study nvestigated the derivation by prefix and suffix.
      As a result, prefix derivation was revealed that deriving noun prefix is ‘moi/moip-(뫼/묍-), sʌiŋ-((生)-), chʌl/schʌl/chal/chʌp-(//찰/-), chʌm/cham-(/참-), put-(풋-), hʌit-(-)’ and deriving verb prefix is ‘jeut-(즛-)’. And suffix derivation was labeled as four kinds that derives noun, verb, adjective, adverb. First, noun derivational suffix was showed ‘-gʌi(-), -eum(-음), -ui/i(-의/이), -jil(-질)’. Second, verb derivational suffix was classed as ‘-hʌ-(--)’ and causative verb ‘-gi1-(-기1-), -ri-(-리-), -u-(-우-), -i1-(-이1-), -hi1-(-히1-)’ and passive verb ‘-gi2-(-기2-), -i2-(-이2-), -hi2-(-히2-)’. Third, ‘-dʌp-(--), -lop-(-롭-), -eop-(-업-), -ji-(-지-), -hʌ-(--)’ were used to adjective derivational suffix. Fourth, ‘-lo(-로), -o/u(-오/우), -i(-이), -hi(-히)’ performed a role of suffix to derive adverb. Through above analysis, this study got three different results that is to propose many examples in 『Gyuhapchyongseo』 and verify about form of ‘makgeoli(>makgeolli)(막걸이(>막걸리)’ by the Korean alphabet, and explain about meaning of ‘shyugyeoljida(슈결지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머리말
      • 2. 접두사 파생법
      • 3. 접미사 파생법
      • 4. 맺음말
      • 참고문헌
      • 1. 머리말
      • 2. 접두사 파생법
      • 3. 접미사 파생법
      • 4. 맺음말
      • 참고문헌
      • <국문초록>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