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건강기능식품 관련 지식정도 및 교육 요구도 조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87652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의 건강기능식품 관련 지식 정도와 교육 요구도를 파악하기 위함이다.
      간호학과 대학생 586명을 대상으로, 2015년 5월에서 6월까지 자가 보고식 설문조사로 시행되었다. 연구결과, 간호대학생의 건강기능식품 사용 지식정도는 평균 15.45점이었으며, 건강기능식품 사용 교육 요구도는 평균 3.45점이었다. 간호대학생의 건강기능식품 사용 지식정도와 교육 요구도는 순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호대학생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건강기능식품 사용 지식정도와 교육 요구도를 보면, 지식정도에서 성별에 따라 남자가 여자 보다 지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간호대학생의 건강기능식품 관련 지식정도와 교육 요구도를 유도하기 위한 체계적이고 포괄적인 교육프로그램이 개발되고 그 효과를 확인하는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의 건강기능식품 관련 지식 정도와 교육 요구도를 파악하기 위함이다. 간호학과 대학생 586명을 대상으로, 2015년 5월에서 6월까지 자가 보고식 설문조사로 시...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의 건강기능식품 관련 지식 정도와 교육 요구도를 파악하기 위함이다.
      간호학과 대학생 586명을 대상으로, 2015년 5월에서 6월까지 자가 보고식 설문조사로 시행되었다. 연구결과, 간호대학생의 건강기능식품 사용 지식정도는 평균 15.45점이었으며, 건강기능식품 사용 교육 요구도는 평균 3.45점이었다. 간호대학생의 건강기능식품 사용 지식정도와 교육 요구도는 순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호대학생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건강기능식품 사용 지식정도와 교육 요구도를 보면, 지식정도에서 성별에 따라 남자가 여자 보다 지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간호대학생의 건강기능식품 관련 지식정도와 교육 요구도를 유도하기 위한 체계적이고 포괄적인 교육프로그램이 개발되고 그 효과를 확인하는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supplements knowledge and educational needs of nursing student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elf-reported structured questionnaire using convenient sampling survey from 586 students enrolled in the nursing department from May to June, 2015. The average score of supplements knowledge and educational needs were 15.45 and 3.45 respectively.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supplements knowledge and educational needs. As a result, the mens score of supplements knowledge is higher than womens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nursing student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comprehensive program to improve for inducing the effective supplements knowledge and educational needs in nursing student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supplements knowledge and educational needs of nursing student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elf-reported structured questionnaire using convenient sampling survey from 586 students e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supplements knowledge and educational needs of nursing student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elf-reported structured questionnaire using convenient sampling survey from 586 students enrolled in the nursing department from May to June, 2015. The average score of supplements knowledge and educational needs were 15.45 and 3.45 respectively.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supplements knowledge and educational needs. As a result, the mens score of supplements knowledge is higher than womens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nursing student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comprehensive program to improve for inducing the effective supplements knowledge and educational needs in nursing student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Abstract
      • I. 서론
      • II. 연구방법
      • III. 연구결과
      • 요약
      • Abstract
      • I. 서론
      • II. 연구방법
      • III. 연구결과
      • IV. 논의
      • IV. 논의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현숙, "한국 일부 청소년의 건강기능식품용 비타민·무기질 보충제 섭취 실태 및 관련 요인 조사" 한국식생활문화학회 28 (28): 415-423, 2013

      2 황미숙, "충북지역 일부 학교 영양(교)사의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인식 및 교육 요구"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7 (27): 81-93, 2011

      3 이주은, "체육교육전공 대학생들의 단백질 보충제 섭취실태"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3 (43): 1607-1613, 2014

      4 김인경, "지각된 근골격계 문제를 가진 여성노인의 건강기능식품 이용행태" 한국가정간호학회 20 (20): 24-32, 2013

      5 한국건강기능식품협회, "자료실: 건강기능식품및 강의자료"

      6 하귀현, "일부 대학생의 식품의 영양성분표시에 대한 인지도 평가" 한국콘텐츠학회 8 (8): 291-300, 2008

      7 김소영, "인천지역 대학생의 건강기능식품 섭취 실태와 건강기능식품 섭취 유무에 따른 식습관, 식이 섭취 및 식사의 질 조사" 한국영양학회 46 (46): 166-176, 2013

      8 김선효, "우리나라 일부 대학생의 건강기능식품 섭취 실태 및 섭취 요인 연구" 한국식생활문화학회 25 (25): 150-159, 2010

      9 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의약품정보포털: 건강기능식품"

      10 온정, "성인의 연령에 따른 건강기능식품 섭취실태와 정보 요구도 분석"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17 (17): 26-37, 2012

      1 이현숙, "한국 일부 청소년의 건강기능식품용 비타민·무기질 보충제 섭취 실태 및 관련 요인 조사" 한국식생활문화학회 28 (28): 415-423, 2013

      2 황미숙, "충북지역 일부 학교 영양(교)사의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인식 및 교육 요구"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7 (27): 81-93, 2011

      3 이주은, "체육교육전공 대학생들의 단백질 보충제 섭취실태"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3 (43): 1607-1613, 2014

      4 김인경, "지각된 근골격계 문제를 가진 여성노인의 건강기능식품 이용행태" 한국가정간호학회 20 (20): 24-32, 2013

      5 한국건강기능식품협회, "자료실: 건강기능식품및 강의자료"

      6 하귀현, "일부 대학생의 식품의 영양성분표시에 대한 인지도 평가" 한국콘텐츠학회 8 (8): 291-300, 2008

      7 김소영, "인천지역 대학생의 건강기능식품 섭취 실태와 건강기능식품 섭취 유무에 따른 식습관, 식이 섭취 및 식사의 질 조사" 한국영양학회 46 (46): 166-176, 2013

      8 김선효, "우리나라 일부 대학생의 건강기능식품 섭취 실태 및 섭취 요인 연구" 한국식생활문화학회 25 (25): 150-159, 2010

      9 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의약품정보포털: 건강기능식품"

      10 온정, "성인의 연령에 따른 건강기능식품 섭취실태와 정보 요구도 분석"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17 (17): 26-37, 2012

      11 최정화, "서울 일부지역 대학생의 비타민·무기질 보충제 섭취 실태 및 관련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영양학회 48 (48): 352-363, 2015

      12 김인경, "노인 소화기 암환자의 건강기능식품 사용에 관한 연구" 노인간호학회 12 (12): 51-61, 2010

      13 한국일보, "건강기능식품시장 4년 급성장"

      14 식품의약품안전처, "건강기능식품 이용실태 및인식도 설문조사" 2012

      15 매일경제, "건강기능식품 사용 설문조사"

      16 이현숙, "건강기능식품 기능성평가 교육요구도에 관한 연구" 한국식생활문화학회 24 (24): 331-337, 2009

      17 매일경제, "건강기능식품 95%는 과학적으로 효과 입증 안됐다"

      18 김수올, "간호보건계열 대학생의 건강 관련요인, 영양지식 및 식생활 태도" 한국학교보건학회 28 (28): 158-167, 2015

      19 A, Morawska, "The nutritional awareness of functional food among university students in Poland" 67 (67): 163-167, 2016

      20 F. Faul, "Statistical power analyses using G*Power 3. 1 : Tests for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es" 41 : 1149-1160, 2009

      21 L. B. Seeff, "Herbal products and the liver: a review of adverse effects and mechanisms" 148 (148): 517-532, 2015

      22 F. Stickel, "Hepatotoxicity of herbal and dietary supplements : an update" 89 (89): 851-865, 2015

      23 K. L. Barnes, "Consumption and reasons for use of dietary supplements in an Australian university population" 32 (32): 524-530, 2016

      24 식품의약품안전처, "2015 식품의약품통계연보: 건강기능식품 부작용 보고 현황" 210-, 201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5-04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 Contents Society ->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1 1.21 1.2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9 1.25 1.573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