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부랴트 민족 서사시 『게세르』에 나타나는 유머 분석 = An Analysis of Humor in Burjat Epos Gèsèr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04791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게세르』는 러시아 부랴트 족의 구전 민족 서사시로 100년 전쯤 채록되어 책의 형태로 출판 된 이래 학문의 전 분야에서 중요한 연구대상으로서 그 존재가치를 인정받아왔다. 이제까지의 연구 업적을 모두 검토하고 목록을 작성하는 것은 그 나름대로 의미가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 연구 논문에서는 이전의 연구 성과에서 간과되었던 유머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제까지 『게세르』 연구자들의 주목을 받지 못한 주제 ‘유머 분석’은 이 작품을 보다 흥미롭게 감상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 작품의 이해에 새로운 지평을 열어 줄 것으로 기대한다.
      『게세르』의 중요성과 무게 및 내용의 심오함에 비추어 볼 때 ‘유머’라는 주제가 연구자들의 관심을 끌지 못한 것은 자못 자연스러운 일이다. 그러나 구전 문학이 생존하게 되는 데에 있어서 ‘유머’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는다. 러시아어 번역본을 기준으로 800쪽이 넘는 『게세르』에 유머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한다면 이 작품을 암송하는 ‘게세르 연창자’나 암송을 듣는 청자 입장에서는 견디기 힘든 일이다. 결과적으로 『게세르』의 현존에 ‘유머’가 한 역할은 절대적인 것으로 ‘게세르 연창자’에게 흥을 돋우게 해 주었으며 청자에게는 재미를 제공했다.
      이 논문에서는 수많은 유머 이론 중 대표적인 네 가지를 적용하여 『게세르』에 나타나는 유머를 분석하고 있다. 그 중 첫 번째는 ‘우월이론(superiority theory of humor)’다. 이 이론의 근간은 눈앞에서 일어나고 있는 상황에 등장하는 인물들보다 시청자나 독자가 우월하다고 느낄 때 유머가 발생한다는 것이다. 물론 이 경우 시청자나 독자는 일어나고 있는 상황으로부터 직접적인 위험에 노출되어 있지 않아야 한다. 이 이론에 부합하는 적절한 예는 『게세르』의 ‘첫 번째 가지’에서 쉽게 찾을 수 있다. 서쪽의 선한 신인 ‘한 후르마스’와 동쪽의 악신 ‘아타이 울란’과의 싸움 장면이 대단한 유머를 내포하고 있다. 결혼식 초대를 하고 그 초대를 잊고 참석하지 않은 것이 싸움의 발단이다. 이 싸움의 과정에서 ‘한 후르마스’가 ‘아타이 울란’의 싸대기를 갈기고 있으며 이에 대한 응대로 ‘아타이 울란’은 큰 소리를 지르는 것으로 응대한다. 신들의 싸움이다. 독자인 우리 인간의 입장에서 보면 정상적인 어른들의 다툼이라기보다는 어린 아이들의 싸움과 유사하다. 그래서 우리는 ‘우월적’ 입장에 놓이게 되며 웃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선신’과 ‘악신’의 다툼과 문제 해결 방법이 ‘인간적’이다 못해 ‘유치’한 단계까지 하강함으로 유머가 발생하고 있는 것이다. 민족의 대 영웅 서사시의 첫 부분에서 이러한 유머가 배치됨으로 암송을 하는 ‘게세르 연창자’나 듣는 청자의 입장에서는 작품 속으로 몰입할 수 있는 ‘흥미’를 확보하게 된다.
      두 번째 이론은 ‘불일치 이론(incongruity theory)'이다. 이 이론의 근간은 주어진 상황에서 관찰자가 기대치를 갖게 되는데 결과가 이 기대치와 어긋날 때 유머가 발생한다는 것이다. 이 이론에 근거하여 분석할 수 있는 적절한 예는 『게세르』에서 ’한 후르마스‘와 그의 세 아들과의 대화에서 찾을 수 있다. 지구상에 지독한 가뭄이 있어 이를 해결하지 않을 경우 인류에게 큰 재앙이 닥칠 것이 자명하다. 따라서 누군가가 지상으로 내려가 해결하여야 하는 상황이다. 이에 아버지 ’한 후르마스‘가 차 ...
      번역하기

      『게세르』는 러시아 부랴트 족의 구전 민족 서사시로 100년 전쯤 채록되어 책의 형태로 출판 된 이래 학문의 전 분야에서 중요한 연구대상으로서 그 존재가치를 인정받아왔다. 이제까지의 ...

      『게세르』는 러시아 부랴트 족의 구전 민족 서사시로 100년 전쯤 채록되어 책의 형태로 출판 된 이래 학문의 전 분야에서 중요한 연구대상으로서 그 존재가치를 인정받아왔다. 이제까지의 연구 업적을 모두 검토하고 목록을 작성하는 것은 그 나름대로 의미가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 연구 논문에서는 이전의 연구 성과에서 간과되었던 유머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제까지 『게세르』 연구자들의 주목을 받지 못한 주제 ‘유머 분석’은 이 작품을 보다 흥미롭게 감상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 작품의 이해에 새로운 지평을 열어 줄 것으로 기대한다.
      『게세르』의 중요성과 무게 및 내용의 심오함에 비추어 볼 때 ‘유머’라는 주제가 연구자들의 관심을 끌지 못한 것은 자못 자연스러운 일이다. 그러나 구전 문학이 생존하게 되는 데에 있어서 ‘유머’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는다. 러시아어 번역본을 기준으로 800쪽이 넘는 『게세르』에 유머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한다면 이 작품을 암송하는 ‘게세르 연창자’나 암송을 듣는 청자 입장에서는 견디기 힘든 일이다. 결과적으로 『게세르』의 현존에 ‘유머’가 한 역할은 절대적인 것으로 ‘게세르 연창자’에게 흥을 돋우게 해 주었으며 청자에게는 재미를 제공했다.
      이 논문에서는 수많은 유머 이론 중 대표적인 네 가지를 적용하여 『게세르』에 나타나는 유머를 분석하고 있다. 그 중 첫 번째는 ‘우월이론(superiority theory of humor)’다. 이 이론의 근간은 눈앞에서 일어나고 있는 상황에 등장하는 인물들보다 시청자나 독자가 우월하다고 느낄 때 유머가 발생한다는 것이다. 물론 이 경우 시청자나 독자는 일어나고 있는 상황으로부터 직접적인 위험에 노출되어 있지 않아야 한다. 이 이론에 부합하는 적절한 예는 『게세르』의 ‘첫 번째 가지’에서 쉽게 찾을 수 있다. 서쪽의 선한 신인 ‘한 후르마스’와 동쪽의 악신 ‘아타이 울란’과의 싸움 장면이 대단한 유머를 내포하고 있다. 결혼식 초대를 하고 그 초대를 잊고 참석하지 않은 것이 싸움의 발단이다. 이 싸움의 과정에서 ‘한 후르마스’가 ‘아타이 울란’의 싸대기를 갈기고 있으며 이에 대한 응대로 ‘아타이 울란’은 큰 소리를 지르는 것으로 응대한다. 신들의 싸움이다. 독자인 우리 인간의 입장에서 보면 정상적인 어른들의 다툼이라기보다는 어린 아이들의 싸움과 유사하다. 그래서 우리는 ‘우월적’ 입장에 놓이게 되며 웃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선신’과 ‘악신’의 다툼과 문제 해결 방법이 ‘인간적’이다 못해 ‘유치’한 단계까지 하강함으로 유머가 발생하고 있는 것이다. 민족의 대 영웅 서사시의 첫 부분에서 이러한 유머가 배치됨으로 암송을 하는 ‘게세르 연창자’나 듣는 청자의 입장에서는 작품 속으로 몰입할 수 있는 ‘흥미’를 확보하게 된다.
      두 번째 이론은 ‘불일치 이론(incongruity theory)'이다. 이 이론의 근간은 주어진 상황에서 관찰자가 기대치를 갖게 되는데 결과가 이 기대치와 어긋날 때 유머가 발생한다는 것이다. 이 이론에 근거하여 분석할 수 있는 적절한 예는 『게세르』에서 ’한 후르마스‘와 그의 세 아들과의 대화에서 찾을 수 있다. 지구상에 지독한 가뭄이 있어 이를 해결하지 않을 경우 인류에게 큰 재앙이 닥칠 것이 자명하다. 따라서 누군가가 지상으로 내려가 해결하여야 하는 상황이다. 이에 아버지 ’한 후르마스‘가 차 ...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Гэсэр: Бурятский героический эпос, In Перевод с бурятского Вл. Солоухина" Современник 1988

      2 Aquinas. Thomas, "The Summa Theologica"

      3 Greig, J.Y.T., "The Psychology of Laughter and Comedy" Allen Publication 1923

      4 Gruner. Charles R., "The Game of Humor: A Comprehensive Theory of Why We Laugh" Transaction Publishers 1997

      5 Morreal. John, "Taking Laughter Seriousl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1983

      6 Attardo. Salvatore, "Humorous Texts: A Semantic and Pragmatic Analysis" Mouton de Gruyter 88-89, 2001

      7 Hartz. Glen A., "Humor: The Beauty and the Beast" 28 (28): 299-309, 1991

      8 Blatz. William E., "A Study of Laughter in the Nursery School Child" The U. of Toronto Press 1936

      1 "Гэсэр: Бурятский героический эпос, In Перевод с бурятского Вл. Солоухина" Современник 1988

      2 Aquinas. Thomas, "The Summa Theologica"

      3 Greig, J.Y.T., "The Psychology of Laughter and Comedy" Allen Publication 1923

      4 Gruner. Charles R., "The Game of Humor: A Comprehensive Theory of Why We Laugh" Transaction Publishers 1997

      5 Morreal. John, "Taking Laughter Seriousl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1983

      6 Attardo. Salvatore, "Humorous Texts: A Semantic and Pragmatic Analysis" Mouton de Gruyter 88-89, 2001

      7 Hartz. Glen A., "Humor: The Beauty and the Beast" 28 (28): 299-309, 1991

      8 Blatz. William E., "A Study of Laughter in the Nursery School Child" The U. of Toronto Press 193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3-11 학회명변경 영문명 : TKAFMS -> KAMS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5-02-26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Association For Mongolian Studies -> TKAFMS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7 0.37 0.3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4 0.33 0.501 0.0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