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서유기(西遊記)』의 화과산(花果山)에 대한 불교적 독해 = A Buddhist reading about Mountain of Flowers and Fruits(花果山) in Journey to the West(西遊記)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89003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서유기』의 花果山이 갖는 의미에 대한 불교적 질문과 그에대한 응답의 흔적들이다. 花果山에 대한 묘사에는 비유와 상징이 중층적으로 발견되는데, 그것은 그 공간을 신비화하는 수준에 머물지 않는다. 이에 『서유기』의 전체 이야기를 감안하여 花果山이 갖는 의미를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손오공의 고향으로서 花果山은 둘로 나뉘는 경계선으로서의 의미를 갖는다. 하나에서 둘, 셋, 만물로 확산해나갈 수도 있고, 만물에서 하나로 수렴해 들어올 수도 있다. 무엇보다 花果山에 대한 묘사는 하나와 만물의 둘 아닌 중도의 이치를 다양한 비유와 상징으로 드러내보여 준다. 손오공은 몇 번에 걸쳐 花果山에 귀환하는데 그 중 중요한 의미를 갖는것이 두 번 있다. 첫 번 째의 귀환은 수보리 존자에게서 도술을 배운 뒤 일어난다. 이 때 손오공은 花果山에 귀환하여 무상, 고, 무아의 삼법인에 반하는 만행을 저지른다. 그것은 궁극적 실체성에 대한 집착으로 이해된다. 두 번째의 귀환은 모양을 바꿔 나타나는 백골정 요괴를 거듭 때려죽인 뒤 일어난다. 삼장은 팔계의 주장에 움직여 손오공을 쫓아내는데, 손오공은 花果山에 귀환하여 자아왕국을 재건한다. 이것은 色에 집착하는팔계와 공성에 집착하는 손오공 간에 일어나는 갈등을 비유한다. 그것은 팔계와 손오공이 각기 집착을 내려놓고 둘이 함께 하는 것으로 해소된다. 『서유기』에는 유ㆍ불ㆍ도의 동시적 긍정이 발견되고, 불교의 경우만가지고 보더라도 근본불교, 대승불교, 밀교, 선불교는 물론 반야ㆍ화엄ㆍ법화의 도리에 대한 통섭의 의도가 뚜렷하다. ‘불교적 독해’라는 본고의 논제는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일정한 경향성을 뜻하는 말로 쓰였다.
      번역하기

      본고는 『서유기』의 花果山이 갖는 의미에 대한 불교적 질문과 그에대한 응답의 흔적들이다. 花果山에 대한 묘사에는 비유와 상징이 중층적으로 발견되는데, 그것은 그 공간을 신비화하는...

      본고는 『서유기』의 花果山이 갖는 의미에 대한 불교적 질문과 그에대한 응답의 흔적들이다. 花果山에 대한 묘사에는 비유와 상징이 중층적으로 발견되는데, 그것은 그 공간을 신비화하는 수준에 머물지 않는다. 이에 『서유기』의 전체 이야기를 감안하여 花果山이 갖는 의미를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손오공의 고향으로서 花果山은 둘로 나뉘는 경계선으로서의 의미를 갖는다. 하나에서 둘, 셋, 만물로 확산해나갈 수도 있고, 만물에서 하나로 수렴해 들어올 수도 있다. 무엇보다 花果山에 대한 묘사는 하나와 만물의 둘 아닌 중도의 이치를 다양한 비유와 상징으로 드러내보여 준다. 손오공은 몇 번에 걸쳐 花果山에 귀환하는데 그 중 중요한 의미를 갖는것이 두 번 있다. 첫 번 째의 귀환은 수보리 존자에게서 도술을 배운 뒤 일어난다. 이 때 손오공은 花果山에 귀환하여 무상, 고, 무아의 삼법인에 반하는 만행을 저지른다. 그것은 궁극적 실체성에 대한 집착으로 이해된다. 두 번째의 귀환은 모양을 바꿔 나타나는 백골정 요괴를 거듭 때려죽인 뒤 일어난다. 삼장은 팔계의 주장에 움직여 손오공을 쫓아내는데, 손오공은 花果山에 귀환하여 자아왕국을 재건한다. 이것은 色에 집착하는팔계와 공성에 집착하는 손오공 간에 일어나는 갈등을 비유한다. 그것은 팔계와 손오공이 각기 집착을 내려놓고 둘이 함께 하는 것으로 해소된다. 『서유기』에는 유ㆍ불ㆍ도의 동시적 긍정이 발견되고, 불교의 경우만가지고 보더라도 근본불교, 대승불교, 밀교, 선불교는 물론 반야ㆍ화엄ㆍ법화의 도리에 대한 통섭의 의도가 뚜렷하다. ‘불교적 독해’라는 본고의 논제는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일정한 경향성을 뜻하는 말로 쓰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reviews the meaning of mountain of flowers and fruits as portrayed in Journey to the West, by looking at it from a Buddhist perspective. The descriptions of mountain of Flowers and fruits carry layers of analogy and symbolism that go beyond giving the space a mysterious feel. As such, this paper seeks to review the meaning of mountain of flowers and fruits by considering the overall narrative of Journey to the West. Mountain of flowers and fruits are meaningful in that it is the border that divides two worlds and is also the hometown of Monkey King . It is a place where things increase from one to two, three and infinity, but also a place where infinity is boiled down to one. Above all, the descriptions of mountains of flowers and fruits show various analogies and symbolisms used to portray the principle of the middle ground and moderation. Monkey King returns to mountains of flowers and fruits on several occasions, but among them there are two times when the return carries special meaning. The first return happens after learning magic skills from Subhuti. At this point, after his return, Monkey King commits the atrocity of going against the three principles that rule mankind, which is the Zen state and the sense of losing oneself to become one with the universe. This is understood as his obsession over ultimate specificity. The second return happens after beating to death the White Bone Demon that keeps transforming himself. Monk Xuanzang shoos Monkey King after being persuaded by Eight-Commandment Pig, and Monkey King returns to the mountain of flowers and fruits to rebuild his Self kingdom. This is a symbolism referring to the conflict between Eight-Commandment Pig who obsesses over carnal desires and Monkey King who obsesses over titles. The conflict is resolved when both sides move away from their obsessions. The Journey to the West shows simultaneous nodding to and acceptance of Confucius ideas, Buddhist concepts and Zen ideas. Even with Buddhist ideas, the various branches including Hinayana Buddhism, Mahayana Buddhism, Vajrayana, Zen Buddhism and the Prajna, Avatamsaka and Tiantai Sect are clearly incorporated together. The topic of a Buddhist reading takes this into account to refer to a certain tendency found in the literary work.
      번역하기

      This paper reviews the meaning of mountain of flowers and fruits as portrayed in Journey to the West, by looking at it from a Buddhist perspective. The descriptions of mountain of Flowers and fruits carry layers of analogy and symbolism that go beyond...

      This paper reviews the meaning of mountain of flowers and fruits as portrayed in Journey to the West, by looking at it from a Buddhist perspective. The descriptions of mountain of Flowers and fruits carry layers of analogy and symbolism that go beyond giving the space a mysterious feel. As such, this paper seeks to review the meaning of mountain of flowers and fruits by considering the overall narrative of Journey to the West. Mountain of flowers and fruits are meaningful in that it is the border that divides two worlds and is also the hometown of Monkey King . It is a place where things increase from one to two, three and infinity, but also a place where infinity is boiled down to one. Above all, the descriptions of mountains of flowers and fruits show various analogies and symbolisms used to portray the principle of the middle ground and moderation. Monkey King returns to mountains of flowers and fruits on several occasions, but among them there are two times when the return carries special meaning. The first return happens after learning magic skills from Subhuti. At this point, after his return, Monkey King commits the atrocity of going against the three principles that rule mankind, which is the Zen state and the sense of losing oneself to become one with the universe. This is understood as his obsession over ultimate specificity. The second return happens after beating to death the White Bone Demon that keeps transforming himself. Monk Xuanzang shoos Monkey King after being persuaded by Eight-Commandment Pig, and Monkey King returns to the mountain of flowers and fruits to rebuild his Self kingdom. This is a symbolism referring to the conflict between Eight-Commandment Pig who obsesses over carnal desires and Monkey King who obsesses over titles. The conflict is resolved when both sides move away from their obsessions. The Journey to the West shows simultaneous nodding to and acceptance of Confucius ideas, Buddhist concepts and Zen ideas. Even with Buddhist ideas, the various branches including Hinayana Buddhism, Mahayana Buddhism, Vajrayana, Zen Buddhism and the Prajna, Avatamsaka and Tiantai Sect are clearly incorporated together. The topic of a Buddhist reading takes this into account to refer to a certain tendency found in the literary work.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