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합성피혁제조업체 근로자들의 요중 N-Methylformamide 농도의 계절적 변이 = Seasonal Variations of the Urinary N-Methylformamide Concentration among Workers at a Synthetic Leather Factor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3000600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본 연구는 여름과 겨울의 계절적 차이에 따른 디메틸포름아미드의 체내 흡수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시행되었다.
      방법: 일개 합성피혁제조업체에서 직접적으로 디메틸포름아미드를 취급하는 22명의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2001년 2월(겨울)과 7월(여름)에 작업환경측정을 통해 기중 DMF농도를 측정하였고 특수건강검진을 실시하여 요중 NMF의 배설량을 측정하고 간기능 검사를 시행하였다. 또한 검사 당일의 평균 기온과 평균 습도를 측정하고 설문지를 통해 알코올 음주 정도, 피부 질환의 유무, 보호구 착용 유무 등을 조사한 후 여름과 겨울의 자료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겨울과 여름의 평균 공기 중의 디메틸포름아미드 기하 평균 농도는 각각 11.55ppm, 13.78ppm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요중엔-메틸포름아미드 배설량의 기하 평균은 겨울이 31.23㎎/g creatinine인 것에 비해 여름이 96.09㎎/g creatinine으로 겨울에 비해 여름의 요중 엔-메틸포름아미드 배설량이 유의하게 높았다(p<0.05). 공기 중 디메틸포름아미드 농도(ppm)에 대한 요중 엔-메틸포름아미드 배설량 (㎎/g creatinine)의 비는 여름(1:6.97)이 겨울(1:2.70)에 비해 약 2.6배 정도 높았다.
      결론: 여름과 겨울의 요중 NMF배설량의 차이는 아마도 연구 대상 사업장의 환기 시설이 미약하고 근로자들이 DMF에 적합한 보호구를 적절하게 사용하지도 않았기 때문이고, 무엇보다도 높은 온도와 습도에서 짧은 옷을 입고 근무함으로써 피부 노출면적이 증가되어 DMF의 피부 흡수의 양이 많아졌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번역하기

      목적: 본 연구는 여름과 겨울의 계절적 차이에 따른 디메틸포름아미드의 체내 흡수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시행되었다. 방법: 일개 합성피혁제조업체에서 직접적으로 디메틸포름아미드를 취...

      목적: 본 연구는 여름과 겨울의 계절적 차이에 따른 디메틸포름아미드의 체내 흡수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시행되었다.
      방법: 일개 합성피혁제조업체에서 직접적으로 디메틸포름아미드를 취급하는 22명의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2001년 2월(겨울)과 7월(여름)에 작업환경측정을 통해 기중 DMF농도를 측정하였고 특수건강검진을 실시하여 요중 NMF의 배설량을 측정하고 간기능 검사를 시행하였다. 또한 검사 당일의 평균 기온과 평균 습도를 측정하고 설문지를 통해 알코올 음주 정도, 피부 질환의 유무, 보호구 착용 유무 등을 조사한 후 여름과 겨울의 자료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겨울과 여름의 평균 공기 중의 디메틸포름아미드 기하 평균 농도는 각각 11.55ppm, 13.78ppm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요중엔-메틸포름아미드 배설량의 기하 평균은 겨울이 31.23㎎/g creatinine인 것에 비해 여름이 96.09㎎/g creatinine으로 겨울에 비해 여름의 요중 엔-메틸포름아미드 배설량이 유의하게 높았다(p<0.05). 공기 중 디메틸포름아미드 농도(ppm)에 대한 요중 엔-메틸포름아미드 배설량 (㎎/g creatinine)의 비는 여름(1:6.97)이 겨울(1:2.70)에 비해 약 2.6배 정도 높았다.
      결론: 여름과 겨울의 요중 NMF배설량의 차이는 아마도 연구 대상 사업장의 환기 시설이 미약하고 근로자들이 DMF에 적합한 보호구를 적절하게 사용하지도 않았기 때문이고, 무엇보다도 높은 온도와 습도에서 짧은 옷을 입고 근무함으로써 피부 노출면적이 증가되어 DMF의 피부 흡수의 양이 많아졌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bjectives: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dentify seasonal variations of urinary concentrations of N-methylformamide(NMF) among workers employed at a synthetic leather factory.
      Methods: Study subjects consisted of 16 male and 6 female workers who were involved in the direct treatment of dimethylformamide(DMF) in a synthetic leather factory. By using health examination data and the results of air measurements and biologic monitoring conducted in February and July, 2001, we identified seasonal variations of the DMF concentrations in the air and NMF concentrations in urine.
      Results: 1) In winter and summer, average temperatures at the working sites were 3.2℃ and 26.5℃, respectively and average humidities were 35.4% and 84.5%, respectively. 2)Airborne DMF concentration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summer(13.78ppm) and winter(11.55ppm). 3)NMF concentrations in urine were found to be significantly higher in summer(96.09㎎/g creatinine) than in winter(31.23㎎/g creatinine) (p<0.001).
      Conclusions: The seasonal difference in the urinary excretion values of NMF may be due to increased dermal absorption of DMF with the higher ambient temperature and humidity in summer and the increased area of exposed skin.
      번역하기

      Objectives: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dentify seasonal variations of urinary concentrations of N-methylformamide(NMF) among workers employed at a synthetic leather factory. Methods: Study subjects consisted of 16 male and 6 female workers who we...

      Objectives: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dentify seasonal variations of urinary concentrations of N-methylformamide(NMF) among workers employed at a synthetic leather factory.
      Methods: Study subjects consisted of 16 male and 6 female workers who were involved in the direct treatment of dimethylformamide(DMF) in a synthetic leather factory. By using health examination data and the results of air measurements and biologic monitoring conducted in February and July, 2001, we identified seasonal variations of the DMF concentrations in the air and NMF concentrations in urine.
      Results: 1) In winter and summer, average temperatures at the working sites were 3.2℃ and 26.5℃, respectively and average humidities were 35.4% and 84.5%, respectively. 2)Airborne DMF concentration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summer(13.78ppm) and winter(11.55ppm). 3)NMF concentrations in urine were found to be significantly higher in summer(96.09㎎/g creatinine) than in winter(31.23㎎/g creatinine) (p<0.001).
      Conclusions: The seasonal difference in the urinary excretion values of NMF may be due to increased dermal absorption of DMF with the higher ambient temperature and humidity in summer and the increased area of exposed skin.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