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학의 기원과 형성과 관련해서 민속학이 한국 역사와 문화 연구에 어떻게 적용되었는지를 살펴보는 것이 중요하다. 조선 민속학의 학문적 정립은 1930년대 초반 이루어지만 이에 앞서 1920...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0970260
2015
Korean
계고차존 ; 단군 ; 민속학 ; 신화 ; 일제강점기 ; 조선학 ; 최남선 ; Choi Nam-son ; Folkloristics ; Japanese Colonial period ; Kekochazon ; Korean Studies ; Mythology ; Tan-gun
380
KCI등재
학술저널
63-87(25쪽)
2
학회 요청에 의해 무료로 제공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한국학의 기원과 형성과 관련해서 민속학이 한국 역사와 문화 연구에 어떻게 적용되었는지를 살펴보는 것이 중요하다. 조선 민속학의 학문적 정립은 1930년대 초반 이루어지만 이에 앞서 1920...
한국학의 기원과 형성과 관련해서 민속학이 한국 역사와 문화 연구에 어떻게 적용되었는지를 살펴보는 것이 중요하다. 조선 민속학의 학문적 정립은 1930년대 초반 이루어지만 이에 앞서 1920년대 문헌 자료가 절대적으로 부족한 한국 고대사와 단군 연구에 민속학이 활용되기 시작했다. 인문학의 학문적 경계가 불분명했던 1920년대 초반 최남선(1890~1957)은 체계적이고 광범위한 조선학 연구의 필요성을 천명하고 이를 위한 방안으로 민속학을 소개했다.
민족의 신화에 관한 과학적인 연구는 민족단위의 독자성(정체성)을 확인하는 작업과 연장선상에 있다. 최남선은 1920년대 민족적 정체성의 상징인 단군 연구에 민속학을 적용했다. 본고에서는 그의 조선학에서 민속학의 학문적 위상과 의미는 어떠했는지 살펴보기 위해 1910년대 최남선의 조선 역사와 문화 연구를 검토하기 위해 『계고차존』에 나타난 단군 인식에 주목하고자 한다.
본고에서는 1910년대 『계고차존』에 나타난 단군에 관한 이해와 1920년대 민속학이 반영된 단군 인식과의 차이점을 바탕으로 첫째, 근대적 학문의 수용과 조선학의 정립 과정의 연관성 둘째, 민속학적 방법론을 활용한 단군 연구의 내용에 관해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단군 연구에 근대적 학문인 민속학이 어떻게 적용되었는지를 검토함으로써 한국학의 중요한 학문 분과인 민속학의 정립과정을 살펴보고자 했다.
최남선의 1910년대 조선의 역사와 문화에 관한 연구는 1918년 간행된 『계고차존』에서 확인된다. 이글은 문헌학적 방법론을 통해 보통명사 단군과 한사군에 관한 민족적 해석이 돋보인다. 하지만 여전히 민족적 정체성의 기원인 단군과 기자(조선) 등에 관한 해석이 해명 과제로 남았다. 최남선은 1920년대 민속학 외에 인류학·신화학 등의 근대적 학문 방법론을 조선학에 적용하기 시작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t is important that how the folkloristics was applied for the studies of Korean history and culture which are connected with the origin of Korean Studies. The establishment of Korean folkloristics was begun at the early of 1930s. However, before thes...
It is important that how the folkloristics was applied for the studies of Korean history and culture which are connected with the origin of Korean Studies. The establishment of Korean folkloristics was begun at the early of 1930s. However, before these scientific formations, folkloristics was applied to Korean ancient history and the studies of Tan-gun who was regarded as the father of Koreans. For the purpose of these studies, Choi Nam-son (1890-1957 was one of originator who introduced folkloristics to pen up a Korean Studie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scientifical approach on the Nation mythology was closely connected with the identities of a Nation. Choi Nam-son applied the folkloristics to the studies of Tan-gun during the early of 1920s. This thesis focused on his Korean Studies based on Korean folkloristics. On thess themes, I will exam the text Kekochazon that means the deep thinking of the ancient and It was published in 1918. Though the comparing texts between 1910s and 1920s, I am interested in first, the relationship both the introduction of Modern Knowledge and the establishment of Korean Studies second, the application of folkloristics to the studies of Tan-gun.
The text Kekochazon in 1918 was one of the best understanding of Korean ancient history at those days. It was brilliant on the national interpretation of Tan-gun as a common term and Chines colonies which was called Hansakun. Nonetheless this text also has weak points because of the philological approach. So Choi scrutinized another modern knowledge such as anthropology, mythology and so on to solve the mysteries of the origin and the identities of Koreans.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임돈희, "한국민속학사의 재조명" 비교민속학회 5 : 1989
2 표정옥, "최남선의 『三國遺事解題』에 나타난 記憶의문화적 욕망과 신화의 정치적 전략 연구" 국제비교한국학회 21 (21): 375-404, 2013
3 차남희, "최남선의 ‘조선 민족’과 단군" 한국사회역사학회 17 (17): 5-27, 2014
4 최석영, "일제하 무속론과 식민지 권력" 서경문화사 1999
5 스테판 타나카, "일본 동양학의 구조" 문학과지성사 2004
6 전경수, "손진태의 문화인류학 -제국과 식민지의 사이에서-" 민속원 2010
7 김성례, "무속전통의 담론분석-해체와 전망" 2 : 1990
8 "동아일보"
9 엄진성, "단군연구의 철학사적 전개와 전망" 민족문화연구소 (52) : 77-109, 2012
10 "靑春"
1 임돈희, "한국민속학사의 재조명" 비교민속학회 5 : 1989
2 표정옥, "최남선의 『三國遺事解題』에 나타난 記憶의문화적 욕망과 신화의 정치적 전략 연구" 국제비교한국학회 21 (21): 375-404, 2013
3 차남희, "최남선의 ‘조선 민족’과 단군" 한국사회역사학회 17 (17): 5-27, 2014
4 최석영, "일제하 무속론과 식민지 권력" 서경문화사 1999
5 스테판 타나카, "일본 동양학의 구조" 문학과지성사 2004
6 전경수, "손진태의 문화인류학 -제국과 식민지의 사이에서-" 민속원 2010
7 김성례, "무속전통의 담론분석-해체와 전망" 2 : 1990
8 "동아일보"
9 엄진성, "단군연구의 철학사적 전개와 전망" 민족문화연구소 (52) : 77-109, 2012
10 "靑春"
11 "每日申報"
12 남근우, "植民地主義 民俗學의 一考察" 한국학중앙연구원 21 (21): 1998
13 "東明"
14 이영화, "崔南善의 歷史學" 경인문화사 2003
15 保坂祐二, "崔南善의 不咸文化論과 日鮮同祖論" 한일관계사학회 12 : 2000
16 "少年"
17 "別乾坤"
18 石智暎, "六堂 崔南善의 歷史認識; 古代史 硏究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사학회 27 : 1994
19 尹勝俊, "六堂 崔南善의 ‘檀君論’ 硏究"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원 37 : 2009
20 六堂全集編纂委員會, "六堂 崔南善 全集" 현암사 1973
21 "佛敎"
22 남근우, "‘조선민속학’과 식민주의" 동국대학교출판부 2008
23 조은주, "‘나’의 기원으로서의 ‘단군’과 창세기적 문학사상의 의미 - 최남선, 신채호를 중심으로" 한국현대문학회 (29) : 107-139, 2009
24 丁暻淑, "<稽古箚存>을 통해 본 崔南善의 古代史論"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6 : 1982
北愚 桂奉瑀(1880~1959)의 역사민속 서술과 인식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9-12-31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Korean Historical-forklife -> The Journal of Korean Historical-folklife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63 | 0.63 | 0.65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68 | 0.66 | 1.486 | 0.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