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현 시점에서 군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군사회복지사제도의 조기 도입 등 실질적인 제도화가 시급하다 는 전제하에 먼저 문헌연구를 통해 ‘군사회복지병과 창설방안’을 도출...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현 시점에서 군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군사회복지사제도의 조기 도입 등 실질적인 제도화가 시급하다 는 전제하에 먼저 문헌연구를 통해 ‘군사회복지병과 창설방안’을 도출...
본 연구는 현 시점에서 군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군사회복지사제도의 조기 도입 등 실질적인 제도화가 시급하다 는 전제하에 먼저 문헌연구를 통해 ‘군사회복지병과 창설방안’을 도출하고, 이에 대한 실효성(현실화) 증진을 위해 현역장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이를 면밀히 분석하여 한국군 실정에 부합된 사회복지병과 창설방안 을 모색함으로써 군사회복지제도화 증진을 위한 정책적 대안을 제시하였다. 조사연구는 각급부대 장교 67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미회수 및 불성실 답변, 내용기재가 미비한 설문 지 40부를 제외한 630부를 본 연구의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문헌연구를 통해 도출한 ‘군사회복지병과 창설방안’에 대해 대다수 장교들이 적절한 방안이라는 견해와 함께 이를 현실화하기 위한 조직편성 및 지휘체계, 사회복지병과 장교의 부대배치, 초임장교 임관자격 및 계급, 충원방법 등에 대한 욕구가 그 어느 때 보다 다양하고 강하게 표출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우리 한국군에도 현역장교의 임관을 골자로 하는 군사회복지병과의 창설을 포함한 전문 군사회복지사 제도 가 시급히 도입되어야 하며, 이를 구체화 하고 실현하기 위한 정책적 추진이 뒷받침 되어야 할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suggests the policies to increase the welfares of military society by drawing ‘establishment of a military branch of social work‘ through document research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actual systems for increasing the quality of live...
This study suggests the policies to increase the welfares of military society by drawing ‘establishment of a military branch of social work‘ through document research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actual systems for increasing the quality of lives of military officers at this point and by searching for the measures to establish a military branch of social work which are suitable for the Korean military and by analyzing the outcomes of the survey conducted on current commissioned officers. The survey was conducted on 670 commissioned officers per each unit and 630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analysis except for the unanswered, insincerely answered or inadequate 40 questionnaires. The outcomes are as follow. Most commissioned officers agree with the appropriateness of the establishment of a military branch of social work drawn from document research and they express the strongest and most diverse desire for forming the organization, command system, displaying commissioned officers in military branch of social work, qualification for appointing new commissioned officers, ranks, methods of recruiting and etc. more than ever. Therefore, Korean military should introduce a social worker service system promptly including the establishment of a military branch of social work, focusing on the appointment of current commissioned officers. Also, promotion of policies to specify and realize this is necessary as well.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유흥위, "한국의 군사회복지제도화 방안에 관한 연구" 2 (2): 31-64, 2009
2 류흥위, "한국의 군사회복지정책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공주대학교 대학원 2008
3 현진희, "한국의 군사회복지 실천" 2011
4 탁여송, "한국 군인의 복지욕구와 군사회복지 실천에 관한 연구" 서울기독대학교 대학원 2013
5 이흥윤, "한국 군사회복지정책의 형성과정에 관한 연구" 광주대학교 대학원 2012
6 방은상, "한국 군사회복지실천의 방향 -군 복지정책 방향에서 군사회복지제도의 도입을 중심으로-" 한국군사회복지학회 4 (4): 5-17, 2011
7 구승신, "신세대 병사의 군 생활 적응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4
8 조흥식, "새 정부 군사회복지의 전망과 과제연구" 2013
9 탁여송, "병영생활전문상담관 제도와 군사회복지 실천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군사회복지학회 6 (6): 93-124, 2013
10 유흥위, "군사회복지학의 정립과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17-52, 2010
1 유흥위, "한국의 군사회복지제도화 방안에 관한 연구" 2 (2): 31-64, 2009
2 류흥위, "한국의 군사회복지정책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공주대학교 대학원 2008
3 현진희, "한국의 군사회복지 실천" 2011
4 탁여송, "한국 군인의 복지욕구와 군사회복지 실천에 관한 연구" 서울기독대학교 대학원 2013
5 이흥윤, "한국 군사회복지정책의 형성과정에 관한 연구" 광주대학교 대학원 2012
6 방은상, "한국 군사회복지실천의 방향 -군 복지정책 방향에서 군사회복지제도의 도입을 중심으로-" 한국군사회복지학회 4 (4): 5-17, 2011
7 구승신, "신세대 병사의 군 생활 적응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4
8 조흥식, "새 정부 군사회복지의 전망과 과제연구" 2013
9 탁여송, "병영생활전문상담관 제도와 군사회복지 실천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군사회복지학회 6 (6): 93-124, 2013
10 유흥위, "군사회복지학의 정립과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17-52, 2010
11 정효현, "군사회복지제도의 법적체계화 연구" 1 (1): 139-163, 2008
12 이흥윤, "군사회복지정책의 전개과정 분석 연구 : 주요정책 참여자들의 활동을 중심으로" 한국군사회복지학회 6 (6): 67-99, 2013
13 박미은, "군사회복지의 현황과 과제" 77-87, 2010
14 조흥식, "군사회복지의 비전- 한국군사회복지학회의 창립과 전망" 2006
15 윤재성, "군사회복지사제도의 도입방안에 대한 군인의 인식에 관한 연구" 원광대학교 대학원 2008
16 박미은, "군사회복지사제도 도입의 필요성과 전망" 6-15, 2005
17 서혜석, "군사회복지사 자격의 제도화에 관한 연구" 1 (1): 47-69, 2008
18 김창곤, "군사회복지사 자격과 교육훈련연구" 13-38, 2013
19 문선화, "군사회복지사 양성의 방향과 과제" 9-24, 2009
20 한인영, "군사회복지사 도입의 필요성 고찰 -미국의 군사회복지사 활동을 중심으로" (가을) : 2000
21 김연이, "군사회복지 도입의 필요성과 제도화 방안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2007
22 박경일, "군 장병의 생활문제와 군사회복지의 도입방안에 관한 연구" 1 (1): 1-28, 2008
23 이대식, "군 의료사회복지의 문제점 및 발전방안" 1 (1): 115-137, 2008
24 한태근, "군 사회복지사 제도 도입 필요성과 제도화 방안에 관한 연구 : 현황 및 사례분석에 기초한 논의"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6
25 박귀영, "군 사회복지사 자격제도와 양성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군사회복지학회 6 (6): 189-220, 2013
26 최정락, "군 복지 증진을 위한 전문 인력 도입에 관한 연구" 광운대학교 대학원 2007
27 이흥윤, "군 가족지원정책의 활성화를 위한 사회복지시스템의 활용방안" 2 (2): 1-24, 2009
28 정원철, "관심병사의 군 생활경험과 과정에 관한 연구" 한국청소년학회 19 (19): 91-115, 2012
29 Daley, J. G., "Social Work Practice in the Military" 45 : 182-184, 1999
30 David, L. Garber, "Military Social Work" Encyclopedia of Social Work 1995
31 Daley, J. G., "Military Social Work" 437-448, 2003
32 Adams, H. J., "History and development of military social work" 1996
33 Daley, J. G., "Advances in Social Work" Indiana University 2006
대학생의 군입대 시점 분석- 대학 입학성적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
육군병사들의 군 조직공정성에 대한 인식과 군 생활 적응의 관계
軍생활 중 자살행동 경험의 의미와 과정 연구 - 후방지역 軍전역자의 회고를 중심으로 -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2.11 | 2.11 | 2.4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2.47 | 2.33 | 2.154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