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의 흐름 속에서 문학의 각 장르는 독립적이면서도 상호 영향관계를 가지면서 발전해 오고 있다. 헝가리문학에서도 예술문학과 민중문학간에도 상호 영향관계가 성립한다. 여러 시대를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716359
2009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시대의 흐름 속에서 문학의 각 장르는 독립적이면서도 상호 영향관계를 가지면서 발전해 오고 있다. 헝가리문학에서도 예술문학과 민중문학간에도 상호 영향관계가 성립한다. 여러 시대를 ...
시대의 흐름 속에서 문학의 각 장르는 독립적이면서도 상호 영향관계를 가지면서 발전해 오고 있다. 헝가리문학에서도 예술문학과 민중문학간에도 상호 영향관계가 성립한다. 여러 시대를 거쳐 헝가리문학의 예술문학은 민중문학에 주로 소재선택에 영향을 주고, 민중문학은 후세의 예술문학의 시 형식과 내용에 영향을 끼치며 상호보완적으로 발전해왔다. 즉 본 연구에서는 그 동안 민속문학으로 분류되어온 민중 발라드(folk ballad, traditional ballad)를 피지배층의 민중문학으로 보고자 한다. 헝가리문학에서 민중문학인 발라드와 그 전통이 후세의 예술문학에 어떠한 영향들을 끼쳐 왔는지를 작품의 구체적 예를 통하여 역사적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이는 그 동안 문학 논의가 한 장르 내에서 이루어지거나 상이민족 또는 상이국가간의 비교문학적 논의에 국한되었던 점에서 벗어나, 동일민족 또는 동일국가내의 소위 상하문학 장르간 문학적 영향관계를 시대에 따라 논의하는 것은 문학논의의 새로운 지평을 여는 작업이며, 결과적으로 발라드의 헝가리문학사상 중요성을 인식시키고 저급문학 또는 이미 죽은 대중문학으로서 치부되어온 발라드의 문학적 가치를 재평가할 수 있으리라고 기대한다.
또한 헝가리 발라드를 분석대상으로 삼은 이유는 그 유형이 분명히 두드러지며, 누구나 구연할 수 있는 보편적인 장르이며, 형식적으로도 정제된 율문이기에 그 형식적인 분석도 용이하게 성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발라드 연구의 방법으로는 민속학적, 문학적 그리고 음악적인 방법이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발라드의 사설을 중점적으로 연구하는 문학적 방법을 택한다. 발라드 연구가 여타 학문인 역사지리학, 설화학, 사회학, 종교학, 심리학 등과도 밀접한 관련성을 갖고 있지만 그러한 학문적인 분석은 가능한 한 절제한다. 또한 자료의 활용에 있어서는 현지조상방법보다는 여건상 문헌이용방법에 치중할 수밖에 없었음을 밝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