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GSP로 보강된 RC보의 전단강도 예측에 관한 연구 = Prediction of the Shear Strength of RC Beams Strengthened with Glass Fiber-Steel Composite Plate(GSP)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50584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보강공법의 단점들을 보완하며, 장점을 최대한으로 이용할 수 있는 신소재를 사용하여 RC보의 전단보강에 관한 실험을 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되는 신소재는 강성이 뛰어난 유리섬유를 연성능력이 좋은 얇은 강판에 함침 시켜 만든 유리섬유-강판 복합재료(Glass fiber-Steel composite Plate:이하 GSP)이다. GSP는 앵커를 사용하여 콘크리트에 완전 부착시키는 공법이므로 조기탈락 방지에 효과적이며, 얇은 강판은 큰 하중으로 인한 보강재 슬립현상 때문에 앵커가장자리의 유리섬유 찢어짐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GSP로 전단보강한 철근콘크리트 보의 전단파괴실험을 수행하고, 분석된 실험결과를 바탕으로 GSP로 보강된 RC보의 전단강도 추정식을 제안하였다. 제안식으로부터 구한 값과 실험값의 비교를 통해 본 연구에서 제안한 추정식의 타당성을 입증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보강공법의 단점들을 보완하며, 장점을 최대한으로 이용할 수 있는 신소재를 사용하여 RC보의 전단보강에 관한 실험을 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되는 신소재는 강성이...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보강공법의 단점들을 보완하며, 장점을 최대한으로 이용할 수 있는 신소재를 사용하여 RC보의 전단보강에 관한 실험을 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되는 신소재는 강성이 뛰어난 유리섬유를 연성능력이 좋은 얇은 강판에 함침 시켜 만든 유리섬유-강판 복합재료(Glass fiber-Steel composite Plate:이하 GSP)이다. GSP는 앵커를 사용하여 콘크리트에 완전 부착시키는 공법이므로 조기탈락 방지에 효과적이며, 얇은 강판은 큰 하중으로 인한 보강재 슬립현상 때문에 앵커가장자리의 유리섬유 찢어짐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GSP로 전단보강한 철근콘크리트 보의 전단파괴실험을 수행하고, 분석된 실험결과를 바탕으로 GSP로 보강된 RC보의 전단강도 추정식을 제안하였다. 제안식으로부터 구한 값과 실험값의 비교를 통해 본 연구에서 제안한 추정식의 타당성을 입증하였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1. 서론
      • 2. 실험
      • 2.1 실험체 제작
      • 2.2 실험보 구성 재료들의 성질
      • Abstract
      • 1. 서론
      • 2. 실험
      • 2.1 실험체 제작
      • 2.2 실험보 구성 재료들의 성질
      • 2.3 실험방법
      • 3. 실험 결과
      • 4. GSP로 전단보강된 RC보의 전단강도 제안식
      • 4.1 전단강도 기준식
      • 4.2 FRP로 보강된 RC보의 전단강도 기준식
      • 4.3 강판으로 보강된 RC보의 전단강도 기준식
      • 4.4 GSP로 보강된 RC보의 전단강도 기준식
      • 5. GSP로 전단강도 제안식과 실험값의 비교
      • 5.1 제안식과 실험값의 비교
      • 5.2 GSP의 전단강도 제안식에 의한 강판보강보 검증
      • 6.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진환, "탄소섬유시트로 보강된 RC 보의 공칭휨모멘트 -2. 해석적 연구-" 대한토목학회 23 (23): 931-938, 2003

      2 정진환, "탄소섬유시트로 보강된 RC 보의 공칭휨모멘트 -1. 실험적 연구-" 대한토목학회 23 (23): 921-929, 2003

      3 (주) 엠프로, "유리/탄소섬유-유공강판복합플레이트를사용한 콘크리트구조물보강기술"

      4 조백순, "강도설계법으로 산정된 탄소섬유시트 보강 철근콘크리트 보의 공칭 휨모 멘트" 콘크리트학회 14 (14): 593-598, 2002

      5 Thanasis C, "Triantafillou "Shear Strengthening of Reinforced Concrete Beams Using Epoxy-Bonded FRP Composites" March-April 107-115, 1998

      6 Bimal Babu Adhikary, "Shear strengthening of RC beams with web-bonded continuous steel plates" 20 (20): 296-307, 2006

      7 Eurocode No.2, "Design of Concrete Structures"

      8 Bimal Babu Adhikary, "Artificial neural network for the prediction of shear capacity of steel plate strengthened RC beams" 18 (18): 409-417, 2004

      1 정진환, "탄소섬유시트로 보강된 RC 보의 공칭휨모멘트 -2. 해석적 연구-" 대한토목학회 23 (23): 931-938, 2003

      2 정진환, "탄소섬유시트로 보강된 RC 보의 공칭휨모멘트 -1. 실험적 연구-" 대한토목학회 23 (23): 921-929, 2003

      3 (주) 엠프로, "유리/탄소섬유-유공강판복합플레이트를사용한 콘크리트구조물보강기술"

      4 조백순, "강도설계법으로 산정된 탄소섬유시트 보강 철근콘크리트 보의 공칭 휨모 멘트" 콘크리트학회 14 (14): 593-598, 2002

      5 Thanasis C, "Triantafillou "Shear Strengthening of Reinforced Concrete Beams Using Epoxy-Bonded FRP Composites" March-April 107-115, 1998

      6 Bimal Babu Adhikary, "Shear strengthening of RC beams with web-bonded continuous steel plates" 20 (20): 296-307, 2006

      7 Eurocode No.2, "Design of Concrete Structures"

      8 Bimal Babu Adhikary, "Artificial neural network for the prediction of shear capacity of steel plate strengthened RC beams" 18 (18): 409-417, 200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9 0.29 0.2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7 0.25 0.534 0.0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