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친환경농자재 개발을 위한 서양금혼초(Hypochaeris radicata L.)의 알레로패시 효과 = Allelopathic Effects of Catsear (Hypochaeris radicata L.) for the Development of Environmentally-friendly Agricultural Material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73173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서양금혼초의 군락 형성에 따른 경쟁적 우세원인을 규명하고 친환경농자재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생육특성과 Allelopathy 효과를 알아보았다. 서양금혼초의 생육특성은 예초지역과 비예초지역간의 묘조(苗條) 수, 지상부 직경과 화주 수를 비교한 결과 예초지역의 묘조(苗條) 수, 지상부의 직경과 화주수가 비예초지역보다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고, 서양금혼초의 수용성 추출액에 대한 레드클로버(Trifolium pratense), 들묵새(Festuca myuros), 도깨비바늘(Bidens bipinnata) 등 실험식물 14종 대해 발아와 생장 실험 결과 일반적으로 수용성 추출액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검정식물의 발아율, 유식물의 뿌리털, shoot, root의 생장이 억제되었고 검정식물의 종류와 부위에 따라 억제정도에 있어서 차이를 보였다. 또한 서양금혼초의 수용성 추출액에 대한 실험곰팡이의 생장에 있어서는 Pythium속, Phytophthora속은 수용성 추출액의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성장이 억제되는 경향을 보인 반면, Rhizoctonia속인 경우에는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생장억제 현상이 뚜렷하지 않았다. 이와 같은 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서양금혼초의 예초는 서양금혼초의 Split현상을 유도하여 더 많은 영양번식과 종자번식을 일으켜 군락을 형성하고, 서양금혼초에 함유된 allelochemicals에 의해 타 식물체의 발아와 생장, 미생물의 생장 등에 관여하기 때문에 제주도내 생태계에서 경쟁적 우위를 점하고 있으며, 친환경농자재로서의 활용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번역하기

      서양금혼초의 군락 형성에 따른 경쟁적 우세원인을 규명하고 친환경농자재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생육특성과 Allelopathy 효과를 알아보았다. 서양금혼초의 생육특성은 예초지...

      서양금혼초의 군락 형성에 따른 경쟁적 우세원인을 규명하고 친환경농자재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생육특성과 Allelopathy 효과를 알아보았다. 서양금혼초의 생육특성은 예초지역과 비예초지역간의 묘조(苗條) 수, 지상부 직경과 화주 수를 비교한 결과 예초지역의 묘조(苗條) 수, 지상부의 직경과 화주수가 비예초지역보다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고, 서양금혼초의 수용성 추출액에 대한 레드클로버(Trifolium pratense), 들묵새(Festuca myuros), 도깨비바늘(Bidens bipinnata) 등 실험식물 14종 대해 발아와 생장 실험 결과 일반적으로 수용성 추출액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검정식물의 발아율, 유식물의 뿌리털, shoot, root의 생장이 억제되었고 검정식물의 종류와 부위에 따라 억제정도에 있어서 차이를 보였다. 또한 서양금혼초의 수용성 추출액에 대한 실험곰팡이의 생장에 있어서는 Pythium속, Phytophthora속은 수용성 추출액의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성장이 억제되는 경향을 보인 반면, Rhizoctonia속인 경우에는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생장억제 현상이 뚜렷하지 않았다. 이와 같은 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서양금혼초의 예초는 서양금혼초의 Split현상을 유도하여 더 많은 영양번식과 종자번식을 일으켜 군락을 형성하고, 서양금혼초에 함유된 allelochemicals에 의해 타 식물체의 발아와 생장, 미생물의 생장 등에 관여하기 때문에 제주도내 생태계에서 경쟁적 우위를 점하고 있으며, 친환경농자재로서의 활용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Buxton, E. W., 40 : 145-, 1957

      2 양영환, "제주도 개민들레群落群의 분포와 식생에 관한 연구" 한국자원식물학회 15 (15): 49-55, 2002

      3 Ryang, H. S., "Weeds of Korea" LoBo-Media 612-615, 2004

      4 Putnam. A. R., "The science of allelopathy" John Wiley & Sons 174-187, 1986

      5 Aber, C. J., "Terrestrial Ecosystems" Saunder College Pub 315-316, 1991

      6 Yang, Y. H, "Studies on the Distribution and Vegetation of Naturalized Plants on Jeju Island" Cheju national university 2003

      7 Numata, M., "Studies in Urban Ecosystems" 22-25, 1975

      8 Given, D. R, "Principles and Practice of Plant Conservation" Timber Press 28-31, 1994

      9 Harrington, H. D, "Manual of the plants of Clolrado" Sage Books 666-, 1954

      10 Costilow, R. N., "Manual of methods for general bacteriology" American Society for Microbiology 66-78, 1981

      1 Buxton, E. W., 40 : 145-, 1957

      2 양영환, "제주도 개민들레群落群의 분포와 식생에 관한 연구" 한국자원식물학회 15 (15): 49-55, 2002

      3 Ryang, H. S., "Weeds of Korea" LoBo-Media 612-615, 2004

      4 Putnam. A. R., "The science of allelopathy" John Wiley & Sons 174-187, 1986

      5 Aber, C. J., "Terrestrial Ecosystems" Saunder College Pub 315-316, 1991

      6 Yang, Y. H, "Studies on the Distribution and Vegetation of Naturalized Plants on Jeju Island" Cheju national university 2003

      7 Numata, M., "Studies in Urban Ecosystems" 22-25, 1975

      8 Given, D. R, "Principles and Practice of Plant Conservation" Timber Press 28-31, 1994

      9 Harrington, H. D, "Manual of the plants of Clolrado" Sage Books 666-, 1954

      10 Costilow, R. N., "Manual of methods for general bacteriology" American Society for Microbiology 66-78, 1981

      11 Tukey, H. B. Jr., "Implications of allelopathy in agricultural plant science" 35 : 1-16, 1969

      12 Aarssen, L. W., "Hypochoeris radicata L" 61 : 365-381, 1981

      13 Michiko doi, "Growth and reproduction of Hypochoeris radicata L" 6 : 18-21, 2006

      14 Newsome, A. E., "Ecology of Biological Invasions" Cambridge Univ. Press 1-33, 1986

      15 Park, S. H., "Distribution of naturalized alien plants in Korea"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216-, 2002

      16 Zentymeyer, G. A, "Biological control of Phytophthora root rot of avocado with alfalfa meal" 53 : 1383-1386, 1963

      17 Park, U. K., "Antimicrobial Effect of Litospermi radix (Lithospermum erythrorhizon) Extract" 21 : 97-100, 1992

      18 Lee, H. J., "Antimicrobial Activity of Some Plants Containing Allelochemicals" 22 (22): 51-58, 1999

      19 Pardates, J. R. Jr., "An alelopathic factor in taro residues" 65 (65): 21-24, 1988

      20 Rice. E. L, "Allelopathy-An update" 45 : 15-109, 1979

      21 Wilson, R. E., "Allelopathy as expressed by Helianthus annuus and its role in old-field succession" 95 : 432-448, 1968

      22 Hazeborek, J. P., "Allelopathic substances in Asparagus roots : extraction, characterization, and biological activity" 114 (114): 152-158, 1989

      23 Yoo. H. G, "Allelopathic potential of natural chemical substances in Artemisia scoparia on selected species" 1992

      24 Horsley, S. B, "Allelopathic interference among plants. Ⅱ. Physiological modes of action" School of Continuing Education, College of Environmental Science and Forestry 93-136, 1977

      25 Lodhi, M. A. K., "Allelopathic effect of decaying litter of dominant trees and their association soil in a lowland forest community" 65 (65): 340-344, 1978

      26 Heisey, R. M., "Allelopathic and herbicidal effects of extracts from tree of heaven (Ailantus altissima)" 77 (77): 662-670, 1990

      27 Kim, H. C, "Allelopathic Effects of Artemisia annua" Wonkwang University 1999

      28 Kim C. S, "Alien plants of jeju island" Jeju regional environment technology development center 390-391, 200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2 0.42 0.4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1 0.45 0.61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