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이수욱, "한국의 산림토양에 관한 연구(II)" 54 : 25-35, 1981
2 정진현, "한국 산림 토양의 모암별 이화학적 특성" 한국임학회 92 (92): 254-262, 2003
3 농림수산식품부, "특용작물생산실적" 농림수산식품부 56-, 2008
4 농촌진흥청, "토양 및 식물체 분석법" 농촌진흥청 103-120, 2000
5 중화본초편의회, "중화본초" 상해과학기술출판사 888-889, 1999
6 김철환, "자연환경 평가-I. 식물군의 선정" 18 (18): 163-198, 2000
7 이창복, "원색대한식물도감" 향문사 840-, 2003
8 정진현, "우리나라 산림토양의 지역별 이화학적 특성" 한국임학회 91 (91): 694-700, 2002
9 정병간, "우리나라 밭 토양의 화학적 특성" 34 : 326-342, 2001
10 김종원, "식물사회학적 식생조사와 평가방법" 월드사이언스 26-, 2006
1 이수욱, "한국의 산림토양에 관한 연구(II)" 54 : 25-35, 1981
2 정진현, "한국 산림 토양의 모암별 이화학적 특성" 한국임학회 92 (92): 254-262, 2003
3 농림수산식품부, "특용작물생산실적" 농림수산식품부 56-, 2008
4 농촌진흥청, "토양 및 식물체 분석법" 농촌진흥청 103-120, 2000
5 중화본초편의회, "중화본초" 상해과학기술출판사 888-889, 1999
6 김철환, "자연환경 평가-I. 식물군의 선정" 18 (18): 163-198, 2000
7 이창복, "원색대한식물도감" 향문사 840-, 2003
8 정진현, "우리나라 산림토양의 지역별 이화학적 특성" 한국임학회 91 (91): 694-700, 2002
9 정병간, "우리나라 밭 토양의 화학적 특성" 34 : 326-342, 2001
10 김종원, "식물사회학적 식생조사와 평가방법" 월드사이언스 26-, 2006
11 이천용, "산림환경토양학" 보성문화사 350-, 2000
12 정용문, "부여군 부소산의 산림군락 구조"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9 (9): 55-63, 2006
13 한의과대학본초학편집위원회, "본초학" 영림사. 632-633, 2005
14 조현제, "백두대간 남한지역 산림식생의 구조와 종조성" 한국임학회 93 (93): 331-338, 2004
15 유홍섭, "당귀의 종별 생육특성 및 생산성 비교" 한국약용작물학회 12 (12): 43-46, 2004
16 기상청, "기후자료"
17 wageningen, the Netherlands, "wageningen, the Netherlands"
18 김광택, "TWINSPAN에 의해 분류된 점봉산 일대 천연 활엽수림의 군락구조 해석" 한국임학회 91 (91): 523-534, 2002
19 Greig-Smith, "Quantitative plant ecology" Blackwell, Oxford 256-, 1983
20 Kim, "Floristic Characterization of the Temperate Oak Forests in the Korean Penin- sula Using High-rank Taxa" 39 (39): 149-159, 1996
21 Dierssen, "Einfuhrung in die Pflanzensoziologie" Akademie-Verlag 1990
22 Yim, "Distribution of forest vegetation and climate in the Korean Peninsula. Ⅱ. Distribution of climate humid- ity" 26 (26): 157-164, 1976
23 Hill, "Detrended Correspondence Analysis, an improved ordina- tion technique" 42 : 47-58, 1980
24 Hill, "DECORANA-A FORTRAN Pro- gram for Detrended Correspondence Analysis and Reciprocal Averaging" Ithaca, N.Y. Cor- nell Univ. Press 1979
25 "Chinese Virtual Herbarium"
26 Ter Braak, "Canonical correspondence analysis:a new eigenvector technique for multivariate direct gradient analysis" 67 : 1167-1179, 1986
27 Ter Braak, "CANOCO-A FOR- TRAN program for canonical community ordination by correspondence analysis, prin- cipal compo nents analysis and redundancy analysis(version 4.5) TNO institute of ap- plied computer science, statistics department"
28 Ellenberg, "Aufgaben und Methoden der Vergetationskunde" Stuttgart:Eugen Ulmer 136-, 19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