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식민지시기 한시 작가로서의 崔益翰 -연작체 만시 哭兒二十五絶을 중심으로 = Changhae Choe Ik-hwan as a Chinese Classic Poet in the Colonial Period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6021472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그동안 사회주의 사상을 가진 국학자로 평가 받아온 최익한(1897~1957이후)을 식민지시기 한시 작가의 한 사람이라는 측면에서 고찰하였다. 그는 그동안 홍명희, 변영만, 정인보와 ...

      이 논문은 그동안 사회주의 사상을 가진 국학자로 평가 받아온 최익한(1897~1957이후)을 식민지시기 한시 작가의 한 사람이라는 측면에서 고찰하였다. 그는 그동안 홍명희, 변영만, 정인보와 더불어 식민지시기를 대표하는 논객이자 문필가로 평가받았다. 특히 그의 『실학파와 정다산』이라는 저술은 남북한 학계에서 실학 연구의 고전적 노작으로 손꼽힌다. 최익한을 비롯한 네 사람은 모두한문을 제1의 문어로 지녔던 이들로서, 신문·잡지 등 근대매체에 직간접으로 참여하여 국문으로도 많은 저술을 남겼다는 점에서도 공통된다. 즉 전통적 한학소양을 담지한 채, 국문으로 근대적 문필 활동도 아울러 전개했던 통섭적 지식인들이었다. 최익한은 면우 곽종석의 고제로서 후일 일본 유학을 거치며 사회주의 운동가로 전환적인 삶을 살았다. 그러나 그는 한문 전통에 대해, 그 역사적 한계성을 지적하면서도 또 동시에 전통을 이해해야 한다는 입장을 지녔다. 그가 이룩한 실학파와 정다산 연구 결과는 이러한 자세의 산물이었다. 즉 그는 "새로운 창조를 위해서 먼저 전통을 이해하지 않으면 안 된다"는 입장을 지녔다. 이 논문에서는 특히 옥사한 장남 최재소를 읊은 연작체의 곡아(哭兒) 시를 새롭게 주목하여, 집중적으로 분석하였다. 최익한은 이 한시에서 자식을 잃은아비로서의 개인적 슬픔을 곡진하게 토론하여 한 편의 애도시로서 높은 성취를 달성하였다. 그런데 이러한 애도의 정감은 개인적 차원의 슬픔을 표현하는 차원을 넘어, 피압박 식민지지식인이 겪어야 하는 울분과 독립에의 열망을 매우 전중(典重)하게 형상화하는 지평으로 나아갔다. 즉 이 곡아 시 25수는 1930년대를 대표하는 민족적 서정이면서, 동시에 식민지시기 한문학의 주요 성과라 할만하다. 요컨대 최익한의 만시는 1930년대의 한시가 식민지 현실에 대응하며 서정 장르로서 그 역할을 감당하고 있었다는 표징이라 할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examines Choe Ik-hwan (1897~1957) as a chief representative Chinese classic poet in the colonial period though he has so far been considered as a scholar in Korean studies who was engaged in the socialist philosophy. He has thus far been re...

      This paper examines Choe Ik-hwan (1897~1957) as a chief representative Chinese classic poet in the colonial period though he has so far been considered as a scholar in Korean studies who was engaged in the socialist philosophy. He has thus far been recognized as a representative controversialist and author in parallel with Hong Myeong-hi, Byeon Yeong-man, and Jeong In-bo. In particular, one of his writings, The Silhak School and Jeong Dasan, distinguishes itself as a classical contribution to the study in Silhak in both South and North Korea. Choe Ik-hwan, as well as the other three figures, was a person who had Chinese Classic as his first written language, and they were similar in thatthey left many writings in Korean as they directly or indirectly participated in modern media like newspapers and magazines. In other words, they were interdisciplinary intellectuals who were engaged in modern authoring activities in Korean while maintaining their merits in traditional Chinese classics. This paper pays novel attention to and intensively analyzes his poem, Gok-A ``A Crying Child,`` in which he sang his eldest son who had died in prison. Choe had a remarkable achievement in this work as a mourning poem by sincerely expressing his personal grief as a father who had lost his son. However, this sentiment of mourning proceeded to such a horizon that it very canonically illustrated a repressed colonial intellectual`s resentment and desire for independence. In other words, this poem, Gok-Aconsisting of 25 sections, is a representative national lyric in the 1930`s, and at the same time can be evaluated as a poetic work that can represent the Chinese classics in the colonial period. In sum, Choe`s mourning poem is an important token that says Chinese classic poetry played a role as a lyric genre that coped with the colonial realities in the 1930`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진균, "한문학과 근대 전환기" 다운샘 250-252, 2009

      2 송찬섭, "최익한전집 1: 실학파와 정다산" 서해문집 2011

      3 양성숙, "최익한 선생의 서대문형무소 옥중 시" 대한민국순국선열유족회 166 : 94-105, 2004

      4 최구소, "창해학인의 哭兒二十五絶" 울진문화원 5 : 1990

      5 송찬섭, "조카가 작성한 최익한 연보" 역사학연구소 20 : 281-, 2011

      6 박홍식, "일제강점기 정인보鄭寅普·안재홍安在鴻·최익한崔益翰의 다산茶山 연구" 재단법인다산학술문화재단 (17) : 45-93, 2010

      7 송찬섭, "일제 해방 초기 최익한의 실학 연구, In 한국사학사연구" 나남출판 1997

      8 최기영, "애류 권덕규의 생애와 저술, In 한국사학사연구" 나남출판 476-505, 1997

      9 "대한민국 독립유공자 공훈록 10" 국가보훈처 1993

      10 玄相允, "기당 현상윤 전집" 나남 2008

      1 김진균, "한문학과 근대 전환기" 다운샘 250-252, 2009

      2 송찬섭, "최익한전집 1: 실학파와 정다산" 서해문집 2011

      3 양성숙, "최익한 선생의 서대문형무소 옥중 시" 대한민국순국선열유족회 166 : 94-105, 2004

      4 최구소, "창해학인의 哭兒二十五絶" 울진문화원 5 : 1990

      5 송찬섭, "조카가 작성한 최익한 연보" 역사학연구소 20 : 281-, 2011

      6 박홍식, "일제강점기 정인보鄭寅普·안재홍安在鴻·최익한崔益翰의 다산茶山 연구" 재단법인다산학술문화재단 (17) : 45-93, 2010

      7 송찬섭, "일제 해방 초기 최익한의 실학 연구, In 한국사학사연구" 나남출판 1997

      8 최기영, "애류 권덕규의 생애와 저술, In 한국사학사연구" 나남출판 476-505, 1997

      9 "대한민국 독립유공자 공훈록 10" 국가보훈처 1993

      10 玄相允, "기당 현상윤 전집" 나남 2008

      11 이병기, "가람일기" 신구문화사 1974

      12 金澤榮, "韶濩堂集" 한국고전번역원

      13 李承熙, "韓溪遺稿" 국사편찬위원회 1978

      14 한영규, "韓國漢詩における傷逝の傳統と植民地時期の挽詩" 동경대대학원 인문사회계연구과 2011

      15 權純命, "陽齋集"

      16 文鏞, "謙山文集"

      17 鄭載星, "苟齋文集"

      18 田愚, "艮齋集" 한국고전번역원

      19 河啓洛, "玉峯文集"

      20 柳潛, "澤齋集"

      21 黃瑗, "江湖旅人詩稿未定艸" 순천대박물관 2002

      22 宋鎬完, "毅齋文集"

      23 "東亞日報"

      24 "朝鮮日報"

      25 張錫英, "晦堂先生文集"

      26 "春秋"

      27 朴膺鍾, "易堂稿"

      28 김진균, "崔益翰의 전통주의 비판과 전통 이해의 방식" 열상고전연구회 (27) : 119-156, 2008

      29 "三千里"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2 0.92 0.9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7 0.92 1.76 0.2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